해인도(합천 해인사)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해인도
Haeindo Labyrinth
김상준 기자,합천 해인사 해인도 따라돌기, 2014.10.13 기사, 경남도민신문.
대표명칭 해인도
영문명칭 Haeindo Labyrinth
한자 海印圖
주소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해설문

국문

해인도는 의상대사(義湘大師, 625-702)가 당나라 유학 시절 화엄사상을 요약한 210자 7언 30구의 게송(偈頌, 부처의 공덕이나 교리를 담은 노래 글귀)을 만(卍)자를 발전시킨 도안에 써넣은 것이다. 도안 중심에서 ‘법성원융무이상(法性圓融無二相)’이라는 구절로 시작하여 ‘구래부동명위불(舊來不動名爲佛)’로 끝나기까지 210자의 게송(揭頌) 이 배치되어 있다. 미로와 같이 54번 꺾어 도는 동안 그 내용을 마음에 체득하면서 따라가면 깨달음에 도달하는 원리이다. 결국은 출발점으로 되돌아오게 되는데, 이것은 본래의 모습이 곧 부처님임을 의미한다.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 화엄법계도(華嚴法界圖), 법계도서인(法界圖書印), 법성도(法性圖) 등으로도 불린다.

法性圓融無二相 법의성품 원융하여 두모습이 아님이여.
諸法不動本來寂 모든법은 부동하여 본래부터 고요하니
無名無相絶一切 이름없고 모습없어 모든것이 다끊어져
證智所知非餘境 증득해야 아는바요 다른경계 아님이라
眞性甚深極微妙 참성품이 깊고깊어 미묘하고 지극해서
不守自性隨緣成 자기성품 지키잖고 인연따라 이루었네.
一中一切多中一 하나속에 일체이고 일체속에 하나이니
一卽一切多卽一 하나가곧 일체이고 일체가곧 하나여서
一微塵中含十方 작은하나 티끌속에 시방세계 머금었고
一切塵中亦如是 일체모든 티끌속에 하나하나 그러하네
無量遠劫卽一念 셀수없는 오랜세월 한생각에 사무치고
一念卽是無量劫 일찰나의 한생각이 무량겁에 사무치네.
九世十世互相卽 구세십세 무량세월 걸림없이 상웅하여
仍不雜亂隔別成 혼란하지 아니하고 따로따로 이뤄졌네.
初發心時便正覺 초발심의 그순간에 바른깨침 이미얻고
生死般若常共和 남과죽음 열반세계 항상서로 함께하니
理事冥然無分別 이치현상 은연하여 분별할수 없음이여
十佛普賢大人境 열부처님 보현보살 대성인의 경계일세.
能仁海印三昧中 부처님의 해인삼매 선정중에 깊이들어
繁出如意不思議 부사의한 여의진리 마음대로 나투시어
雨寶益生滿虛空 중생위한 보배비가 온허공에 가득하여
衆生隨器得利益 중생들의 근기따라 모두이익 얻어지네
是故行者還本際 그러므로 수행자가 본래자리 돌아올제
叵息妄想必不得 망상심을 쉬지않곤 얻을수가 가히없네.
無緣善巧捉如意 분별없는 좋은방편 마음대로 휘어잡고
歸家隨分得資糧 본고향에 돌아갈제 분수따라 양식얻네
以陀羅尼無盡寶 신령스런 다라니는 한량없는 보배이니
莊嚴法界實寶殿 온법계를 장엄하여 보배궁전 이루어서
窮坐實際中道床 진여실상 중도자리 오롯하게 앉았으니
舊來不動名爲佛 옛적부터 변함없는 부처라고 이름하네.

영문

Haeindo Labyrinth of Haeinsa Temple, Hapcheon

This labyrinth is a physical interpretation of a diagram created by the eminent monk Uisang (625-702). The diagram visually represents his poem called the Song of Dharma Nature (Beopseongge), which was composed during his stay in Tang China. The poem summarizes the core idea of Huayan thought, a Buddhist philosophy rooted in the Avatamsaka Sutra (Flower Garland Sutra). It consists of 210 characters arranged in 30 lines, with 7 characters in each line.

Uisang used the swastika (卍) as the basis for his diagram, upon which he placed all 210 characters of the poem. In Buddhism, the swastika is a symbol of auspiciousness.

In the central courtyard of Haeinsa Temple, Uisang's diagram has been interpreted as a physical labyrinth. The lines of the diagram are made of rectangular stones that create a path consisting of 54 turns which one should pass while chanting the Song of Dharma Nature. The labyrinth is designed to begin and end at the same point, which symbolizes that the world we live in, i.e. the world of the Buddha, is one of singularity.

영문 해설 내용

해인도는 의상(625-702)이 당나라 유학 시절 지은 법성게의 시구를 적은 도상이다. 이 시에는 『화엄경』에 바탕을 둔 화엄사상의 핵심이 요약되어 있다. 1행에 7자씩 총 30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상은 만(卍)자를 바탕으로 한 도상에 전체 210자의 게송을 배치하였다. 불교에서 만(卍)자는 상서로운 상징으로 통한다.

해인사의 중심 마당에는 의상의 해인도가 형상화되어 있다. 장방형의 돌을 놓아 미로를 만들었으며, 법성게를 외우며 54번을 꺾어 돌아 미로를 따라 돌게 되어 있다. 해인도는 출발점과 도착점이 같은데, 이러한 구조는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계가 곧 부처의 세계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참고 자료

  • 구광루 내용 추가?

->구광루라는 이름은 부처님께서 아홉 곳에서 설법하시면서 그 때마다 이마에서 빛을 뿜어내셨다는 화엄경의 이야기에서 따온 것이다. 이 누각은 법당에 들어갈 수 없는 일반 대중들이 모여 예불하고 설법을 듣는 곳으로서 지어졌다.

  • 우리나라에서는 불교 의식이 집행될 때 법계도를 그리고 법성게를 독송하면서 의식을 집행하므로 불자들에게 친숙해 있다 - 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