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 해저터널
통영 해저터널 Tongyeong Undersea Tunnel |
|
대표명칭 | 통영 해저터널 |
---|---|
영문명칭 | Tongyeong Undersea Tunnel |
한자 | 統營 海底터널 |
주소 | 경상남도 통영시 당동 406번지 외 18필지 미수동 907-1 외 14필지 |
지정(등록) 종목 | 국가등록문화재 제201호 |
지정(등록)일 | 2005년 9월 14일 |
분류 | 등록문화재/기타/공공용시설 |
시대 | 일제강점기 |
수량/면적 | 터널 1기, 길이 483m, 폭 5m, 높이 3.5m |
웹사이트 | 통영 해저터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통영 해저터널은 1932년 만들어진 동양 최초의 해저 구조물로서, 통영과 미륵도를 연결하는 터널이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의 이주가 본격화됨에 따라 두 지역 간 거리 단축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길이 483m, 폭 5m, 높이 3.5m, 해수면 아래 최대 10m 깊이 규모의 철근콘크리트조로 이루어져 있다.
비록 공사의 시행이 일제에 의한 것이라고 해도, 우리의 인력과 자재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있다.
영문
Tongyeong Undersea Tunnel
This undersea tunnel was built in 1932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o connect Tongyeong and Mireukdo Island. Made of reinforced concrete, this tunnel is the first undersea structure built in East Asia.
The construction of this tunnel aimed to reduce the travel distance between the island and the mainland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Japanese people settling in the area. The tunnel measures 483 m in length, 5 m in width, and 3.5 m in height. At its deepest point, the tunnel passes 10 m beneath the seabed.
With the completion of Tongyeongdaegyo Bridge in 1998, vehicles became prohibited, and the tunnel can now be accessed only by pedestrians.
영문 해설 내용
이 터널은 일제강점기인 1932년 통영과 미륵도를 연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동양 최초의 해저 구조물이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들의 이주가 본격화됨에 따라, 두 지역의 거리를 단축하기 위해 만들었다. 터널은 길이 483m, 폭 5m, 높이 3.5m 규모이고, 해수면 아래 깊이는 최대 10m 이다.
1998년에 통영대교가 완공되면서 이 터널은 차량 운행이 금지되어 도보로만 통행이 가능하다.
참고자료
- 통영 해저터널 기록화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7.
- 동양 최초의 바다 밑 터널, 통영 해저터널, 지역N문화 역사문화유산 https://ncms.nculture.org/legacy/story/2936 -> 터널을 만든 지역은 판데목이라는 곳인데, 임진왜란 한산대첩 때 많은 왜군이 이순신의 학익진에 대패해 판데목 부근에서 수장됐다고 한다. 일본인들이 조상의 유해 위로 건너다닐 수 없어서 해저터널을 팠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 해저터널 입구에는 ‘용문달양(龍門達陽)’이란 글씨가 씌어있다. 터널을 뚫을 당시의 일본인 통영 읍장이 쓴 글인데, '용문을 지나면 밝은 세상이 나온다'라는 뜻이다. 미륵도 쪽의 출입구가 산양면이기도 하다. / 통영운하는 1927년 5월부터 1932년 12월까지 5년 6개월에 걸쳐 길이 1,420m, 너비 550m, 수심 3m의 규모로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