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귀래정(안동)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0 한중연 안내문안 작성

기존 국문

이 건물은 고성이씨 안동 입향조 이증(李增)의 둘째 아들인 낙포(洛浦) 이굉(李浤)이 지은 정자이다. 이굉은 25세에 진사, 40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상주목사(尙州牧使), 개성유수(開城留守) 등을 지내다가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귀양을 가기도 하였다. 조선 중종(中宗) 8년(1513)에 안동으로 내려와 낙동강이 합쳐지는 경치 좋은 이 곳에 정자를 짓고 도연명의 귀거래(歸去來)의 뜻으로 정자의 명칭을 삼았다. 이중환(李重煥)은 『택리지(擇里志)』에서 안동의 수많은 정자 가운데 귀래정과 임청각(臨淸閣) 군자정(君子亭), 하회(河回)의 옥연정(玉淵亭)을 으뜸으로 꼽고 있다.

이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2칸, 배면 4칸의 ‘T’자형 팔작지붕으로 앞면에는 대청을 두고 뒷면에는 온돌방을 꾸몄으며, 마루 주위에만 둥근기둥을 사용하였을 뿐 그 외에는 모두 사각기둥을 사용하였다. 규모가 작고 꾸밈새가 검소하나 앞면에 큰 마루가 있어 별당으로서의 여유와 운치가 있는 집이다.

수정 국문

초고

이 건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이굉(李浤, 1441~1516)이 벼슬에서 물러한 후 지은 정자이다. 정자의 이름은 도연명의 시 ‘귀거래사’에서 따온 것이다. 이굉의 본관은 고성(固城)이며, 아버지 이증(李增)이 안동에 처음 자리를 잡았다. 이굉은 1480년(성종 11) 문과에 급제하여 상주목사, 개성유수 등을 거쳤다. 1504년(연산군 10) 김굉필(金宏弼, 1454~1504)과 사림들이 화를 입었던 갑자사화 때 영해(지금의 영덕)로 유배를 갔지만, 1506년 중종의 반정 때 풀려났다. 1513(중종 8) 벼슬에서 물러나 낙동강과 임하호가 만나는 이곳으로 귀거래하여 만년을 보냈다.

귀래정은 ‘ㅗ’자형 건물로 전면 2칸, 측면 2칸의 대청과 그 뒤에 4칸의 배면으로 구성되었다. 정자는 북동향으로 낙동강을 바라보고 있다. 원래 강변에 보다 가까이 인접하여 낙동강과 안동시를 한눈에 내려다보았으나, 정자 앞 도로공사로 인해 뒤로 물러나게 되었다.

1차 수정

귀래정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이굉(李浤, 1441~1516)이 벼슬에서 물러난 후 고향에 돌아와 지은 정자이다. 정자의 이름은 중국 시인 도연명(陶淵明, 365~427)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서 따온 것이다.

이굉은 고성이씨 가운데 안동에 처음 들어온 이증(李增, 1419~1480)의 둘째 아들이다. 이굉은 1480년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지냈으며, 1504년 갑자사화 때 영해(지금의 영덕)로 유배를 갔다가 1506년 중종이 즉위한 이후 풀려났다. 1513년에는 벼슬에서 물러나 고향에 귀래정을 짓고 만년을 보냈다.

귀래정은 ‘ㅗ’자형 건물로 중앙의 대청과 양옆의 온돌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자는 북동향으로 낙동강을 바라보고 있다. 원래는 강변에 더 가까이 인접하여 낙동강과 안동시를 한눈에 내려다보았으나, 정자 앞 도로공사로 인해 뒤로 물러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