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운정사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천운정사
Cheonunjeongsa Hall
천운정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천운정사
영문명칭 Cheonunjeongsa Hall
한자 天雲精舍
주소 경상북도 상주시 외답2길 46 (외답동)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76호
지정(등록)일 1987년 12월 29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천운정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천운정사는 조선 영조 때 활약한 성리학자 이만부(1664∼1732)가 숙종 23년(1697)에 상주로 이사와 독서와 교육, 지역 선비들의 모임 장소로 지은 정사이다. 헌종 12년(1846)과 고종 29년(1892)에 낡은 곳을 고쳤고, 고종 30년에 천운당을 영구히 보존하기 위해서 유학자들이 모임을 만들기도 했다. 천운정사는 상주에서 평생 학문을 통해 수많은 책과 후학을 길러낸 이만부의 삶과 철학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또한, 문헌을 통해 당시 정사의 건축과 조경 방법이나 자연과의 조화와 관계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다.

식산의 북쪽 산비탈 지형을 이용해 천운당, 화단, 조감당을 3개의 단으로 구성하고, 외곽으로 돌담을 쌓아 경계를 지었다. 천운당은 앞면 3칸, 옆면 3칸인데, 부엌과 방 2칸에 방 앞으로 다락처럼 높게 만든 누마루 2칸이 돌출된 ‘ㄱ’자형이다. 부엌 쪽은 지붕이 맞닿은 ‘ㅅ’자 모양이고 누마루 쪽은 옆면에도 처마가 뻗어 화려하다. 기둥 위에 지붕 하중을 받치는 뼈대의 짜임새나 창과 문은 간소하나 당시 제작기술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이만부가 지은 『노곡기』에는 현재 남아 있는 천운당과 연못인 조감당 외에도 민지정, 종정교, 세한단, 애련암 등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영문

Cheonunjeongsa Hall

This study hall was built around 1700 by Yi Man-bu (1664-1732), a Confucian scholar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as a space for reading, learning, and gathering with fellow local scholars. It was located as a detached quarters within the premises of Yi’s house, but no other buildings of the house remain. The name Cheonunjeongsa means “Study Hall of Heaven and Clouds” and comes from a verse composed by the Chinese poet Zhu Xi (1130-1200) that says “The light of the heavens and the shadow of the clouds hang in the air together.”

Yi Man-bu did not pursue an official career and instead dedicated his life to his studies. His family had lived for generations in the capital, but because of his closeness to the scholars of the Gyeongsang-do area, he moved here in 1697, where he taught his students and left many writings.

This study hall was repaired in 1846 and 1892, and again in 1990 after it was designated as Gyeongsangbuk-do National Folklore Cultural Heritage No. 76. The hall has an L-shaped layout and was built on top of a tall stone foundation. On the left wing where the stairs are, there is a kitchen and an underfloor-heated room. On the right wing which extends forward, there is a wooden-floored hall. The left wing features is an elaborate hip-and-gable roof, while the right wing has a simple gable roof.

영문 해설 내용

천운정사는 조선시대의 성리학자 이만부(1664-1732)가 1700년 무렵에 지은 건물이다. 그가 살던 집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건물로, 독서, 교육, 지역 선비들과의 모임 장소로 사용됐다. 정사의 이름은 주자(朱子)가 지은 ‘하늘 빛과 구름 그림자가 함께 감도는구나[天光雲影共排徊]’라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이만부는 평생 벼슬을 하지 않고 오직 학문에 전념하였다. 원래 대대로 서울에서 살았으나, 영남 지역의 학자들과 친분이 있었기 때문에 1697년 상주 지역으로 이사하였고, 이곳에서 후학을 양성하면서 많은 저술을 남겼다.

천운정사는 1846년과 1892년에 보수되었고, 1987년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76호로 지정된 이후에는 1990년에 보수되었다.

ㄱ자형의 정사 건물은 돌로 쌓은 높은 석축 위에 지어졌다. 왼쪽의 계단이 있는 곳은 부엌이고, 그 옆은 온돌방이며, 오른쪽은 마루방이다. 온돌방이 있는 건물의 왼쪽은 화려한 팔작지붕을 얹었고, 마루방 쪽은 간결한 맞배지붕을 얹었다.

참고자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443700760000&pageNo=1_1_1_1 -> 기본 정보 확인
  • 겨울섬, 개인블로그 https://gotn.tistory.com/639 -> 이만부(李萬敷)는 1697년에 34세로 서울에서 상주로 이거하여 천운정을 짓고는 독서와 교육, 선비의 집회 장소로 사용하였으며, 학문과 교육 문학과 서도에 일가를 이룬 공간인 식산정사(息山精舍) 중 유일하게 보존된 천운정(天雲亭)이며, 이 정사의 원래 이름은 천운당(天雲堂)으로 1700년에 세워졌으나 천운당보다는 천운정으로 널리 알려졌고, 1846년과 1892년에 중수하였고, 1893년 5월에는 천운당을 영구히 보존하기 위해서 사림에서 계를 조직 하기도 했습니다.
  • 평생 학문을 벗 삼은 이만부의 혼을 찾아서, 오마이뉴스, 2009.5.2.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23152 -> 그렇게 내려온 이만부 선생은 논실(외답동)에 터를 잡고 '식산정사'라는 당호를 붙이고 집을 지었다. 지금은 이만부 선생의 서재였던 '천운정사'만이 남아 이만식 선생의 자취를 느낄 수 있다. 천운정사는 이만부 선생이 1700년경에 건립한 곳으로 선생이 지은 정사 중 유일하게 보존되고 있는 건물이다. 1987년 12월 29일 경상북도민속자료 제76호로 지정되어 1990년 7월 상주시에서 보수하였다. 이만부 선생은 주자의 시구 중 "반무방당일감개(半畝方塘一鑑開) 천광운영공배회(天光雲影共徘徊)"에서 인용하여 '천운재(天雲齋)'라 하였다. 특히 이 집은 건축학적으로 가치가 크다.
  • 수산,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kil0930/704 -> 노옥기 내용 : 예부터 마을의 집들이 서쪽을 끼고 있는 동편의 조그마한 터에 노동서당이 있고 또 그 동쪽이 내가 자리잡은 터이다. 계곡물 동편에 집을 짓고 서쪽에 창문을 내고 북쪽은 방으로 하였다. 그리고는 그 당(堂)은 천운(天雲)이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