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몽촌토성
서울 몽촌토성 Mongchon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Seoul |
|
대표명칭 | 서울 몽촌토성 |
---|---|
영문명칭 | Mongchon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Seoul |
한자 | 서울 夢村土城 |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2동 88-3번지 |
지정(등록) 종목 | 사적 제297호 |
지정(등록)일 | 1982년 7월 22일 |
분류 |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지 |
시대 | 백제 |
수량/면적 | 482,164㎡ |
웹사이트 | 서울 몽촌토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목차
해설문
국문
설치 지역: 곰말다리
몽촌토성은 남한산에서 뻗어 내려온 자연 구릉을 최대한 활용해서 만든 토성이다. 성벽 바깥쪽은 경사면을 깎아 급경사를 만들고 오목한 곳은 흙을 채워 튼튼한 성벽을 만들었다.
성벽의 전체 길이는 2,285m이고 높이는 6~40m로 지점에 따라 차이가 크다. 발굴 당시 확인된 성벽의 높이는 12~17m였으나 올림픽공원을 조성하면서 원래 성벽 위에 흙을 돋우어 높아진 상태이다.
성벽 안쪽 네 지점에는 주위보다 3~5m 높은 단이 있어서 망루 역할을 한다. 성벽 바깥쪽은 성내천이 몽촌토성을 감싸고 흘러 자연스럽게 해자* 역할을 한다. 뒤로 보이는 곰말다리 아래 호수도 원래는 해자였다.
몽촌토성의 ‘몽촌’은 토성 안에 있던 마을 이름인 ‘곰말’에서 비롯됐다. 곰은 꿈이라는 뜻의 옛말로 ‘곰말’은 꿈마을이라는 뜻이다. 이 이름이 한자식 표기인 몽촌으로 바뀌었다.
- 해자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 주위를 둘러서 판 못
- 건축방법, 규모, 망루/해자, 몽촌 뜻
설치 지역: 야생화단지
몽촌토성에서는 백제 한성기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1만여 점의 유물과 유적이 발굴되었다. 최고 지배세력이 거주했을 궁궐터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돌을 이용해 기초를 만든 건물지와 움집터, 독무덤, 저장구덩이, 토기, 돌절구 등이 출토되어 당시 중요한 세력이 거주했음은 분명해 보인다. 특히 화살촉, 뼈갑옷 등 무기류가 다량 출토되어 군사적 요지로 활용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로써 학계에서는 몽촌토성을 백제 한성기 남성(南城)으로 보고, 북성(北城)인 풍납토성에 비견되는 방어적 성격이 강한 별궁으로 이해하고 있다.
몽촌토성은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유물을 볼 때, 475년에 한성이 고구려에 의해 함락된 이후 일정 기간 동안 고구려 군대가 주둔하면서 사용했고, 6세기 후반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한 이후에는 점차 신라의 마을로 변해간 것으로 짐작된다. 이후 조선시대에 촌락이 형성되어 오늘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다.
- 발굴 유물과 고구려, 신라 유적
설치 지역: 발굴조사 현장
몽촌토성은 자연 구릉에 세운 토성으로 성벽의 길이는 2,285m이고 내부 면적은 216,000㎡이다. 자연지형을 이용할 수 없는 곳은 흙을 쌓거나 경사면을 만들어 성벽 형태를 갖추었다.
토성 안에서는 1만여 점 넘는 유물이 출토됐다. 그중 동전 무늬*가 찍힌 도자기 조각이 중국 서진(西晉 265~316)의 유물로 알려지면서 몽촌토성을 3세기 말에서 4세기 초에 축조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삼국사기에는 475년에 고구려군이 먼저 한성의 북쪽 성을 7일 밤낮으로 공격해 성이 함락하자 남쪽 성에 있던 백제 개로왕이 성을 빠져 나와 서쪽으로 도망치다가 잡혀 죽음을 당했다는 기사가 나온다. 학계에서는 북쪽 성을 지금의 풍납토성, 남쪽 성을 몽촌토성으로 보고 있다.
최근에 시행한 발굴에서는 제일 위층에서 20기 이상의 통일신라시대 집 자리와 우물 등 마을 흔적을 발견하였다. 이로 보아 신라가 한강 진출 이후에 몽촌토성을 차지한 것으로 보인다. 그 아래층에서는 고구려 도로와 백제 도로를 연속하여 발굴하였고 네모난 나무틀을 짜서 만든 집수 시설도 발견하였다. 계속된 발굴로 천오백 년 전에 사라진 몽촌토성의 역사가 되살아나고 있다.
- 동전 무늬가 찍힌 도자기 조각 (사진첨부)
- 발굴 유물, 최근 발굴조사 결과(고구려, 신라 유적)
영문
Mongchon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Seoul
설치 지역: 곰말다리
Mongchontoseong is an earthen fortification (called toseong in Korean) built between the late 3rd and early 4th century by the Baekje kingdom (18 BCE-660 C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E-668 CE). Baekje was founded in Hanseong (today’s Seoul area) and constructed its capital city with two fortifications. Mongchontoseong was the southern fortification, and the Earthen Fortification in Pungnap-dong (Historic Site No. 11) was the northern fortification. Here, the kingdom reached its zenith in the mid-4th century. However, in 475, another Korean kingdom, Goguryeo, expanded its power to the Hangang River area and took Hanseong, so Baekje moved its capital to Ungjin (today’s Gongju in Chungcheongnam-do).
This area was first excavated in 1983, after the area was selected as a site for sports facilities for the 1988 Summer Olympics. Four earthen platforms, which were 3-5 m higher than the surrounding area, were found inside the earthen walls, and they are presumed to have been used as watchtowers. Seongnaecheon Stream, flowing outside the walls, functioned as a natural moat. The pond here, below the Gommal Bridge, was originally a part of the moat.
The earthen rampart of Mongchontoseong measures about 2.3 km in length and ranges from 6 to 40 m in height.
The name “Mongchon” comes from the village which was located within the fortification. The village was called "Gommal" which is believed to have come from the phrase "dream village,” and "Mongchon" is the Sino-Korean word for "dream village."
설치 지역: 야생화단지
Mongchontoseong is an earthen fortification (called toseong in Korean) built between the late 3rd and early 4th century by the Baekje kingdom (18 BCE-660 C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E-668 CE). Baekje was founded in Hanseong (today’s Seoul area) and constructed its capital city with two fortifications. Mongchontoseong was the southern fortification, and the Earthen Fortification in Pungnap-dong (Historic Site No. 11) was the northern fortification. Here, the kingdom reached its zenith in the mid-4th century. However, in 475, another Korean kingdom, Goguryeo, expanded its power to the Hangang River area and took Hanseong, so Baekje moved its capital to Ungjin (today’s Gongju in Chungcheongnam-do).
Since 1983, there have been numerous excavations here through which nearly 10,000 remains and artifacts were discovered, such as building sites, pit house sites, jar coffin tombs, storage pits, earthenware, and stone mortars. Other excavated artifacts include weapons, such as arrowheads and bone armors, and shards of pottery produced in Western Jin China (265-316).
There are also various remains and artifacts belonging to other kingdoms of that period – Goguryeo and Silla. This is because this area was sequentially taken by these kingdoms. The Goguryeo army stayed in this fortification after they seized it from Baekje in 475. In the late 6th century, the area was taken by Silla, after which it transformed into a village over time.
설치 지역: 발굴조사 현장
Mongchontoseong is an earthen fortification (called toseong in Korean) built between the late 3rd and early 4th century by the Baekje kingdom (18 BCE-660 C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E-668 CE). Baekje was founded in Hanseong (today’s Seoul area) and constructed its capital city with two fortifications. Mongchontoseong was the southern fortification, and the Earthen Fortification in Pungnap-dong (Historic Site No. 11) was the northern fortification. Here, the kingdom reached its zenith in the mid-4th century. However, in 475, another Korean kingdom, Goguryeo, expanded its power to the Hangang River area and took Hanseong, so Baekje moved its capital to Ungjin (today’s Gongju in Chungcheongnam-do).
Since 1983, there have been numerous excavations here through which nearly 10,000 remains and artifacts were discovered, such as building sites, pit house sites, jar coffin tombs, storage pits, earthenware, and stone mortars. Other excavated artifacts include weapons, such as arrowheads and bone armors, and shards of pottery produced in Western Jin China (265-316). In the 2010s, remains of paved roads and a water collecting facility were found in this area.
There are also various remains and artifacts belonging to other kingdoms of that period – Goguryeo and Silla. This is because this area was sequentially taken by these kingdoms. The Goguryeo army stayed in this fortification after they seized it from Baekje in 475. In the late 6th century, the area was taken by Silla, after which it transformed into a village over time.
영문 해설 내용
설치 지역: 곰말다리
몽촌토성은 삼국시대인 3세기 말에서 4세기 초에 백제에 의해 만들어진 토성이다. 백제는 기원전 18년 한성(현재의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건국되었다. 한강 유역에 2개의 성으로 이루어진 도성을 완성하였으며, 이곳에서 4세기 중반 전성기를 누렸다. 몽촌토성은 남성에 해당하며, 북성은 현재의 풍납동 토성(사적 제11호)이다. 그러나 북쪽의 고구려가 세력을 키우면서 새로 한강 주변 지역을 차지하게 되었고, 백제는 475년 도읍을 웅진(현재의 충청남도 공주 지역)으로 옮겼다.
이 지역이 1988년 서울올림픽을 위한 체육시설 건립 예정지로 정해지면서, 1983년부터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성벽 안쪽의 네 지점에서는 주위보다 3-5m 높은 토단이 발견되었는데, 망루의 역할을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셩벽 바깥쪽을 둘러싼 성내천은 자연적인 해자 역할을 하였다. 이곳 곰말다리 아래 호수도 원래는 해자였다.
몽촌토성의 전체 길이는 2.3km이고, 높이는 6-40m이다.
이름의 ‘몽촌’은 ‘꿈마을’이라는 뜻이며, 토성 안에 있던 마을 이름인 곰말에서 비롯됐다.
설치 지역: 야생화단지
몽촌토성은 삼국시대인 3세기 말에서 4세기 초에 백제에 의해 만들어진 토성이다. 백제는 기원전 18년 한성(현재의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건국되었다. 한강 유역에 2개의 성으로 이루어진 도성을 완성하였으며, 이곳에서 4세기 중반 전성기를 누렸다. 몽촌토성은 남성에 해당하며, 북성은 현재의 풍납동 토성(사적 제11호)이다. 그러나 북쪽의 고구려가 세력을 키우면서 새로 한강 주변 지역을 차지하게 되었고, 백제는 475년 도읍을 웅진(현재의 충청남도 공주 지역)으로 옮겼다.
이 지역은 1983년부터 발굴조사가 이루어졌으며, 현재까지도 발굴조사가 계속되고 있다. 지금까지 발굴된 유물과 유적은 1만여 건에 달하며, 건물지, 움집터, 독무덤, 저장구덩이, 토기, 돌절구 등이 있다. 화살촉과 뼈갑옷 등 무기류도 다량 출토되었고, 중국 서진(265-316)의 유물인 도자기 조각도 발견되었다.
고구려와 신라의 유물, 유적도 함께 발견되고 있다. 이는 고구려와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했었기 때문이다. 475년 한성이 고구려에 의해 함락된 후 이 토성에 고구려 군대가 주둔했고, 6세기 후반에는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하면서 이곳이 신라의 마을로 변했다.
설치 지역: 발굴조사 현장
몽촌토성은 삼국시대인 3세기 말에서 4세기 초에 백제에 의해 만들어진 토성이다. 백제는 기원전 18년 한성(현재의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건국되었다. 한강 유역에 2개의 성으로 이루어진 도성을 완성하였으며, 이곳에서 4세기 중반 전성기를 누렸다. 몽촌토성은 남성에 해당하며, 북성은 현재의 풍납동 토성(사적 제11호)이다. 그러나 북쪽의 고구려가 세력을 키우면서 새로 한강 주변 지역을 차지하게 되었고, 백제는 475년 도읍을 웅진(현재의 충청남도 공주 지역)으로 옮겼다.
이 지역은 1980년대 초반부터 발굴조사가 이루어졌으며, 현재까지도 발굴조사가 계속되고 있다. 지금까지 발굴된 유물과 유적은 1만여 건에 달하며, 건물지, 움집터, 독무덤, 저장구덩이, 토기, 돌절구 등이 있다. 화살촉과 뼈갑옷 등 무기류도 다량 출토되었고, 중국 서진(265-316)의 유물인 도자기 조각도 발견되었다.
2010년대 들어 이루어진 발굴조사에서는 포장도로와 집수시설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또한 고구려의 도로와 건물지, 20기 이상의 통일신라시대 집자리와 우물 등 고구려와 신라의 유물, 유적도 함께 발견되고 있다. 이는 고구려와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했었기 때문이다. 475년 한성이 고구려에 의해 함락된 후 이 토성에 고구려 군대가 주둔했고, 6세기 후반에는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하면서 이곳이 신라의 마을로 변했다.
참고
- “백제왕도유적 발굴조사”, 백제학연구, 한성백제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