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홍산 만덕교비

HeritageWiki
Kurt1166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9월 23일 (월) 20:35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홍산 만덕교비
대표명칭 홍산 만덕교비
한자 鴻山 萬德橋碑
주소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 북촌리 11-2번지
지정번호 시도기념물 제3호
지정일 1973년 12월 24일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기/2㎡
웹사이트 "홍산 만덕교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홍산 만덕교비는 홍산천에 놓았던 돌다리인 만덕교를 기념하기 위해 조선 숙종 때인 1681년에 세운 비석이다. 만인에게 덕을 끼친다는 뜻을 지닌 만덕교는 1946년 큰 홍수로 부서졌다가 최근에 복원되었다. 비석은 원래 다리 옆에 있었으나, 홍수로 다리가 부서지면서 홍산초등학교로 옮겼다가 지금의 자리인 홍산객사 안으로 옮겨왔다.

비의 앞면에는 다리 이름의 뜻과 함께, 객사 동쪽에 시내가 있지만 다리가 없어 오랜 기간에 걸쳐 무지개 모양의 이 다리를 놓았다고 적혀 있다. 비의 뒷면에는 다리를 세우는데 관여한 사람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

이 비는 조선 후기 홍산현 안으로 들어가는 동쪽 입구 역할을 했던 만덕교에 대해 기록한 비석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영문

Mandeokgyo stele in Hongsan

This stele was erected in 1681 to commemorate the stone bridge Mandeokgyo laid across Honsancheon stream.

Mandeokgyo is located 200 m to the East from Guesthouse in Hongsan and serves as a gate leading to Hongsan-eup. Originally it was placed next to the bridge but after the bridge was destroyed during a flood in 1946 the stele was moved to Hongsan primary school and later to the current location. Mandeokgyo bridge we can see today was constructed in 1994.

The inscrip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stele is saying that an arch bridge/a rainbow-shaped bridge was built across the stream to the East from the Guesthouse. The inscription at the back lists the name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Mandeok (萬德) in the name of the bridge means “Bestowing virtue upon all people.”

영문 해설 내용

이 비석은 홍산천에 놓은 돌다리인 만덕교를 기념하기 위해 1681년에 세운 비석이다.

만덕교는 홍산객사에서 동쪽으로 약 200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홍산 읍내로 들어가는 관문과 같은 역할을 했다. 비석도 원래 다리 옆에 있었으나, 1946년 홍수로 다리가 부서지면서 홍산초등학교로 옮겼다가 다시 지금의 자리인 홍산객사 경내로 옮겨왔다. 현재 남아 있는 만덕교는 1994년에 새로 만든 것이다.

비의 앞면에는 객사 동쪽 시내에 무지개 모양의 다리를 놓았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고, 뒷면에는 다리를 세우는 데 관여한 사람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만덕’은 ‘만인에게 덕을 끼친다’는 뜻이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