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현포대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7월 2일 (월) 01:57 판 (새 문서: {{문화유산정보 |사진=논현포대.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B%85%BC%ED%98%84&searchCondition2=&s_kdcd...)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논현포대
대표명칭 논현포대
한자 論峴砲臺
주소 인천광역시 남동구 호구포로 203-31
지정번호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6호
지정일 1982.03.02
시대 조선
수량/면적 2좌 / 1,826㎡



해설문

국문

19세기 후반 외세의 침입이 빈번해지자 인천과 부평 연안의 군사방어시설을 강화하기 위하여 고종 16년인 1879년에 쌓은 포대이다. 일명 호구(虎口) 포대로도 불리는 이 포대는 인천항 부근의 묘도포대, 제물포포대 등과 함께 화도진에 소속되었다가 1894년 화도진이 철폐되면서 폐쇄되었다. 당시 제작된 「화도진도」에는 2개의 포좌 앞으로 갯골수로가 흐르는 것이 확인되는데, 논현포대는 이 수로를 따라 침입하는 소형 선박을 방어할 목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짐작된다. 포대는 포좌의 아랫부분에 막돌을 깔고 중단과 상단에 장대석을 쌓았으며 그 위에 흙을 쌓아올린 형식이다. 포좌는 이동식 중포 2문이 설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시각자료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