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와룡암

HeritageWiki
이고은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9월 9일 (월) 09:5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와룡암
"와룡암", 디지털진안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와룡암
한자 臥龍庵
주소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 주양리 135번지
지정(등록) 종목 문화재자료 제18호
지정(등록)일 1984년 4월 1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당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와룡암",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와룡암은 긍구당 김중정이 병자호란 때 벼슬을 버리고 세상을 피해 숨어서 살던 중 유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조선 효종 때인 1650년에 건축한 암자이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양식이다. 본래는 주자천 건너편 암반 위에 있었는데 물 때문에 왕래가 불편하자 조선 순조 때인 1827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김중정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636년 첨지중추부사의 벼슬을 지냈다. 병자호란 당시 친명파의 한 사람으로, 병자호란 이후 할아버지 김충립과 함께 진안 용담의 주천으로 이주하여 후학 양성에 힘썼다.

영문

Waryongam Hermitage was built by Kim Jung-jeong, a civil official of the late Joseon period, in 1650. The purpose was to educate young scholars.

Kim Jung-jeong, born in Seoul, resigned his post when the humiliating treaty was made during the Manchu Invasions of 1636-1637. He moved to Jinan in 1637.

The original building stood on a rock opposite the Jujacheon Stream. Because the stream made visits inconvenient, the building was moved to the current site in 1827.

영문 해설 내용

와룡암은 조선 후기의 문신 김중정이 1650년에 후학 양성을 위해 지은 암자이다. / 서당이다.

김중정은 서울 출신으로, 병자호란 때 치욕적인 화의가 이루어지자 벼슬을 버리고 1637년에 진안으로 이주하였다.

원래 건물은 주자천 건너편 암반 위에 있었다. 물 때문에 왕래가 불편하여 1827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참고

  • 김중정”, 디지털진안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