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부산진성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9월 8일 (일) 00:21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부산진지성.jpg |사진출처= |대표명칭=부산진지성 |영문명칭= |한자=釜山鎭支城 |주소=부산광역시 동구 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부산진지성
부산진지성.jpg
대표명칭 부산진지성
한자 釜山鎭支城
주소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 99 (범일동)
지정(등록) 종목 시도기념물 제7호
지정(등록)일 1972년 6월 26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24,198㎡
웹사이트 "부산진지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임진왜란 때인 1593년(선조 26) 일본군에 의해 부산진성이 함락된 후, 일본 장수 모리 테루모토〔毛利輝元〕가 부산진성을 허물고 진성의 서북쪽 산 정상에 본성(本城)인 증산왜성(倭城)을 쌓았다. 그리고 동남쪽 해안가에는 본성을 방어하기 위하여 지성(支城)인 자성대왜성(倭城)을 쌓았다. 임진왜란이 끝난 조선후기 조선 수군은 자성대왜성을 고쳐서 부산진첨사영(釜山鎭僉使營)으로 사용하였다. 당시 성의 동서남북에 각각 문루(門樓, 성문 위에 세운 높은 집 또는 다락)가 있었으며 진동문(鎭東門), 금루관(金壘關), 진남문(鎭南門), 구장루(龜藏樓)라 하였다. 일제강점기에 시가지 정비계획에 따라 성이 철거되면서 옛 모습은 거의 사라졌지만, 현재 최고 10m정도 높이로 비스듬히 경사진 일본식 성벽이 공원 곳곳에 남아 있다. 1974년 부산진지성 정화공사로 동문인 진동문, 서문인 금루관, 장대인 진남대(鎭南臺)가 복원되었다. 진남대 옆에는 임진왜란 때 참전한 명나라의 장군 천만리(千萬里)의 후손이 세운 ‘천만리영양천공비(千萬里潁陽千公碑)’가 남아있고, 동문 위쪽으로는 고려말 왜구 토벌에 공을 세운 최영(崔瑩)장군 비각이 보존되어 있다. 부산진지성(부산진성)은 당시 일본식 성곽의 축조수법뿐만 아니라 왜성을 이용한 부산진성의 축조수법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임진왜란 때인 1593년 일본군이 부산 지역에 주둔하면서 일본식으로 쌓은 석성이다.

원래 이 지역에는 부산포를 지키는 조선의 성곽이 있었다고 한다. 모리 테루모토가 이끌던 일본군이 원래 있던 성곽을 허물고 왜성(본성)을 새로 쌓았으며, 이곳에는 본성을 방어하기 위한 지성을 쌓았다. 임진왜란이 끝난 이후에는 조선 수군이 왜성을 고쳐서 부산진성을 쌓았고 관아로 사용했다.

일제강점기에 시가지 정비계획에 따라 일부 성벽만을 남기고 성이 철거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의 높이는 최저 1.5m, 최고 10m이다. 1974년 동문인 진동문, 서문인 금루관, 장대인 진남대를 새로 지었다.

진남대 옆에는 명나라 출신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하기 위해 조선에 왔다가 귀화한 천만리 장군을 기리는 비석이 세워져 있다. 진동문 옆에는 고려 말 왜구를 토벌한 최영 장군의 비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