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명량대첩비
해남 명량대첩비 Monument for the Victory at Myeongnyang Battle, Haenam |
|
대표명칭 | 해남 명량대첩비 |
---|---|
영문명칭 | Monument for the Victory at Myeongnyang Battle, Haenam |
한자 | 海南 鳴梁大捷碑 |
주소 |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안길 34(동외리 955-6) |
지정(등록) 종목 | 보물 |
지정(등록)일 | 1969년 6월 16일 |
분류 |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
시대 | 조선 숙종 14년(1688) |
수량/면적 | 1기 |
웹사이트 | 해남 명량대첩비,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
해설문
국문
해남 명량대첩비는 1597년 9월 16일의 명량대첩을 승리로 이끈 이순신 장군의 공적을 기록한 비이다. 건립연대는 1688년(숙종 14)이다. 196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비문 앞면 상단에는 ‘통제사충무이공명량대첩비(統制使忠武李公鳴梁大捷碑)’라는 비 이름이 있다. 김만중(金萬重)의 글씨이다. 비문은 21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명량대첩 후 1685년(숙종 11)에 이순신의 공적을 기리고자, 이민서(李敏敍)가 글을 지었다. 비문의 내용은 이민서의 문집 『서하집』, 『이충무공전서』에 수록되어 있다. 비문에는 1597년(선조30) 이순신이 진도 벽파정에 진을 설치하고 우수영과 진도 사이 바다의 빠른 물살을 이용하여 10여척의 배로 왜적함대를 무찌른 상황이 자세히 적혀있다. 비문의 글씨는 이정명(李正英)이 썼다. 비를 세운 것은 1688년(무진년, 숙종14)으로 전라우수사 박신주(朴新胄)가 주도하였고, 감독은 한시달(韓時達)이 하였다.
비는 개석, 비신, 하대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석은 팔작지붕 형태로 용마루에는 두 마리의 용이 정교하게 조각하였다. 하대석은 직육면체 형태로 연꽃, 연봉오리가 새겨졌다. 명량대첩비는 조선 후기 해남현 고지도에 ‘충무공비각(忠武公碑閣)’으로 표현되어 있다.
비신의 전면 좌·우측과 하단부에 긁힌 흔적이 있다. 1943년 조선총독부는 명량대첩비를 ‘반 시국적 고적’으로 규정하고, 철거하여 경복궁 근정전에 묻었다. 1945년 광복 후 1947년 해남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그 뒤 해남 지역의 모금 운동으로 문내면 학동리 1187-7에 비각이 건립되었으나, 국도 18호선의 확장 공사로 인해 2011년 원래 위치로 이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