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월재
HeritageWiki
대월재 |
|
대표명칭 | 대월재 |
---|---|
한자 | 對越齋 |
주소 | 경상북도 구미시 고아읍 들성로 133 (원호리)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
지정(등록)일 | 2002년 7월 15일 |
분류 |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당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1동(棟) |
웹사이트 | 대월재,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
해설문
국문
대월재는 조선 중기 구암 김취문(久庵 金就文)이 강학* 공간으로 지은 건물이다. 김취문은 조선 중종 때부터 명종 때까지 주요 관직에 있었던 청백리**이다.
‘대월재’라는 이름은 주자***의 책『경재잠(敬齋箴)』에서 따온 것으로 현판의 글씨는 조선 후기의 명필 해관 윤용구가 썼다.
건물은 조선 중종 38년(1543) 들성 거정동(웃골)에 처음 지어졌고 임진왜란 때 전쟁에 휘말려 일부가 소실되었다. 이후 대월재는 숙종 3년(1677)에 복원하여 서당과 종회소(宗會所)로 활용하였고, 고종 5년(1868)에 다시 고쳐 지었다. 이후 2010년에 지금의 위치로 건물을 옮겨 오늘날에 이른다.
- 강학(講學): 학문을 닦고 연구함.
- 청백리(淸白吏): 조선시대에, 재물 욕심이 없고 청렴한 모범 관료에게 수여한 칭호.
- 주자(朱子): 중국 송나라의 유학자 주희를 높여 부르는 말.
영문
영문 해설 내용
대월재는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학자인 김취문(1509-1570)이 1543년 고향인 원호리 들성마을에 강학공간으로 처음 지었다. 임진왜란 때 일부가 소실되어 1677년에 다시 지었고, 마을의 서당과 김취문의 후손인 선산김씨 문중의 종회소로도 쓰였다. 1868년에 다시 고쳐지었으며, 2010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김취문은 1537년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지냈다. 어려서부터 성품이 강직하였고, 관직을 지내면서도 청렴결백하여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대월재라는 이름은 주자의 『경재잠(敬齋箴)』에서 따온 것으로, 상제를 우러러 마주하는 듯한 지극한 정성을 뜻한다. 현판의 글씨는 명필 윤용구(1853-1939)가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