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한응인 묘역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8월 3일 (토) 22:14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한응인묘역.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101570000 한응인 묘역]", 국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응인 묘역
"한응인 묘역",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한응인 묘역
한자 韓應寅 墓域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 산86-6
지정(등록) 종목 시도기념물 제157호
지정(등록)일 1995년 8월 7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기타
수량/면적 일원
웹사이트 "한응인 묘역",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곳은 조선 중기 문신인 한응인(1554~1614)의 묘이다. 한응인은 청주(淸州) 한씨로 조선 선조 10년(1577) 문과에 급제한 후 승정원주서·성균관 직강 등을 역임하다 선조 21년 정여립의 모반 사건을 적발하여 1등 공신에 올랐다. 선조 24년 일본의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명나라를 공격하기 위하여 조선에 길을 빌려달라고 했던 사실을 명에 알리고 이듬해 돌아오는 길에 왜란이 일어나자 개성에서 피난길에 오른 선조를 만나 왕을 따라 평양으로 갔다. 이후 제도도순찰사(諸道都巡察使)로 임진강을 방어하였으나 왜장 가토 기요마사의 군대에 패했다. 이후 명나라에 가서 구원병을 요청하였고, 명나라의 무장 이여송이 원군을 이끌고 오자 중국어에 능한 그가 맞이하였다. 이듬해 호조판서로 군량미 보급에 힘썼다. 이후 이조·병조판서를 거쳐 선조 40년에 우의정에 올랐다. 선조로부터 영창대군을 보호하라는 유훈을 받았으나 광해군 5년(1613) 계축옥사에 연루되어 경기도 광주(현 안산시 상록구 사사동)에서 유배 생활을 하다가 이듬해 세상을 떠났다.

한응인은 부인 전주 이씨와 함께 묻혔으며 묘비와 신도비는 조성 당시의 것이다. 신도비는 옥개석에 기와지붕의 공포 모양을 조각해 놓음으로써 비석의 몸체가 짓눌리는 듯한 압박감을 덜어 주어 안정감 있게 보이도록 한 것이 특색이다.


  • 계축옥사: 대북(大北)이 영창대군 및 반대파를 제거하기 위해 일으킨 옥사.
  • 신도비: 생전의 행적을 기록하여 묘 앞에 세우는 비.
  • 공포: 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머리에 짜 맞추어 댄 나무쪽.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