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방동 패총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9월 13일 (수) 15:13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범방동 패총 |영문명칭= |한자=凡方洞 貝塚 |주소=부산광역시 강서구 범방동 1833 |소...)
범방동 패총 |
|
대표명칭 | 범방동 패총 |
---|---|
한자 | 凡方洞 貝塚 |
주소 | 부산광역시 강서구 범방동 1833 |
지정(등록) 종목 |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4호 |
지정(등록)일 | 1996년 5월 25일 |
분류 | 유적건조물/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육상유물산포지/선사유물 |
수량/면적 | 6,137㎡ |
웹사이트 | 범방동 패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패총(貝塚)이란 수렵, 어로*, 채집을 하며 살아온 옛날 사람들이 먹고 버린 조개껍데기와 생활 쓰레기가 함께 쌓여 이루어진 유적으로, 조개더미 또는 조개무지라고도 한다.
범방동 패총은 기원전 5,000년 무렵에서 기원전 2,000년 무렵 사이에 형성된 조개무지로, 1991년 부산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발굴은 일부만 이루어졌으며, 발굴되지 않은 나머지 패총은 현재 보존되어 있다.
패총 층위는 13개의 자연 퇴적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층에서는 신석기 시대의 문화와 생활상을 잘 보여주는 빗살무늬토기, 돌도끼, 돌칼, 숫돌, 뼈 연모, 결합식 낚싯바늘, 갈돌, 갈판, 장신구 등과 각종 조개류를 비롯한 물고기, 동물뼈 등이 출토되었다. 이밖에 어패류와 동물, 견과류 등을 조리하던 둥근 화덕자리와 뼈로 만든 뒤꽂이**, 옥 장신구를 착용한 어린아이 무덤도 발견되었다.
범방동 패총은 신석기에 사용되던 다양한 유물이 출토된 유적으로 당시 어민의 생활과 문화를 연구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유적에서 출토된 일본 조몬토기(繩文土器)와 흑요석제 석기는 선사 시대 한일문화 교류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어로(漁撈): 고기나 수산물 따위를 잡거나 거두어들이는 일.
- 뒤꽂이: 쪽을 찐 머리 뒤에 덧꽂는 비녀 이외의 장식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