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댁(아산 외암마을)
교수댁 敎授宅 |
|
종합안내판: 아산 외암마을 |
해설문
국문
교수댁은 조선 시대 말에 무과에 급제한 후 성균관 대사성, 명성황후 혼전향관(魂殿享官), 탁지부 협판, 궁내부 특진관 등을 지냈고, 독립운동을 하다 순국한 퇴암(退庵) 이성렬(李聖烈, 1888∼1913)이 살던 집이다. 훗날 성균관 교수를 지낸 이용구(李用龜, 1854∼?)가 이 집에 살았다고 해서 ‘교수댁’으로 불린다.
원래 사랑채, 안채, 행랑채, 별채가 있었으나 지금은 안채와 행랑채, 사당만 남아 있다. 사랑채가 없어지기는 했지만 이 집도 마을의 다른 집처럼 ‘┛’자 모양의 사랑채를 두고 뒤쪽에 ‘┏’ 자 모양의 안채를 둔 ‘ㅁ’자 모양의 집이다.
교수댁의 정원은 건재고택, 송화댁과 함께 외암마을을 대표한다. 정원의 크기는 건재고택이나 송화댁보다 작지만, 다른 지방의 양반집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아름다움을 보여 준다. 설화산에서 흘러들어온 수로를 마당으로 끌어들여 휘돌아 나가게 하는 연못을 만들었으며,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목을 정원수로 삼아 자연친화적인 요소를 강조하였다.
교수댁의 사랑채 정원은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가까이에 자리를 잡은 건재고택의 사랑채 정원과 마찬가지로 연못과 견수로(遣水路)*로 구성되어 있다. 연못은 구부러진 곡지(曲池) 형태이며 돌로 호안**을 쌓았다. 견수로는 본래 있던 농수로를 다듬은 것으로 자연석을 쌓아 산속의 물길처럼 만들었다. 견수로에는 배 모양의 주선석(舟船石)을 놓아 물을 헤치며 올라가는 배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견수로에 놓은 다리는 정원을 한 바퀴 돌아볼 수 있도록 만든 장치이며, 폭포는 물소리를 들으면서 물이 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도록 만든 경관 요소이다. 연못과 견수로 주변에는 다양한 수목을 심어 관상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정원에서 자연적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 견수로(遣水路): 연못으로 물을 끌어들이는 물길
- 호안: 흐르는 물로부터 제방을 보호하기 위해 쌓은 구조물
영문
Gyosudaek House (Oeam Village, Asan)
Gyosudaek House was the residence of the military official and independence activist Yi Seong-ryeol (1888-1913). Yi held various high-ranking official posts at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and died in the fight for Korea’s independence at the star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he house's name Gyosudaek means "House of the Professor" and refers to the house's subsequent owner Yi Yong-gu (1854-?), who served as a professor at the National Confucian Academy (Seonggyungwan).
The house consists of a servant's/gate quarters, a men’s quarters, a women’s quarters, and several auxiliary buildings including an ancestral shrine. There also used to be a detached quarters, which no longer remains. The women’s and men’s quarters, which each have an L-shaped layout, form a square layout with a courtyard in the middle that is divided by a stone wall.
The garden in front of the men's quarters is considered one of the three representative gardens of Oeam Village, together with those of Geonjae House and Songhwadaek House. Built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garden features an artificial stream and a pond, which are of a smaller scale than those of the other two houses. The stream, which flows through the courtyard before exiting the premises, was repurposed from an existing irrigation channel that diverted water flowing from Seolhwasan Mountain. To make it appear more like a mountain stream, the channel was decorated with unhewn rocks. A rock shaped like a boat was placed in the stream to symbolize sailing upstream through the water. A bridge was built over the stream so that one could take a walk around the garden, while a waterfall was constructed to allow one to view the falling water. Various trees were also planted around the pond and the stream to evoke a sense of natural beauty.
- 다른 자료에 행량채를 문간채라고 하는데 어떤 표현이 좋을지 확인하면 좋을 것 같아요. 행량채/문간채를 민박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 같아요.
- 행량채, 사랑채, 안채 외에 기와 부속 건물 3동, 초가 건물 1동이 있는 것 같은데 안채 오른쪽에 있는 건물은 사당일 것 같아요. 현재 내용에는 부속 건물 3동에 대한 내용이 없고 실제로는 별채 밖에 안 없어진 것 같아요. 전체적으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 일반 사진, 위성 사진으로 보아 사랑채와 안채를 나누는 돌담이 있어요.
영문 해설 내용
교수댁은 이성렬(1888-1913)이 살던 집이다. 이성렬은 조선 말 고위 관직을 지내고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을 하다 순국하였다. 이후 이용구(1854-?)가 이 집을 인수하여 살게 되었는데, 그가 성균관에서 유생들의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를 지냈기 때문에 교수댁으로 불린다.
원래는 ‘ㄱ’자 모양의 안채와 사랑채가 안마당을 중심으로 ‘ㅁ’자 모양을 이루고, 행랑채, 별채, 사당까지 갖춘 큰 규모의 집이었다. 지금은 안채, 행랑채, 사당만 남아있지만, 사랑채 앞에 조성된 정원은 건재고택, 송화댁의 정원과 함께 외암마을을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정원은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건재고택, 송화댁의 정원과 마찬가지로 물길과 연못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크기는 조금 작다. 설화산에서 흘러내려온 물을 마당으로 끌어들여 휘돌아 나가도록 수로를 놓았는데, 이 수로는 원래 있던 농수로를 다듬은 것으로 자연석을 쌓아 산속의 물길처럼 만들었다. 물길에는 배 모양의 돌을 놓아 물을 헤치며 올라가는 배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정원을 한 바퀴 돌아볼 수 있도록 물길에 다리를 설치했고, 물이 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폭포를 만들기도 하였다. 물길과 연못 주변에는 다양한 나무를 심어 자연적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