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교수댁(아산 외암마을)

HeritageWiki
Maria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5월 3일 (수) 04:41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교수댁 敎授宅
Goto.png 종합안내판: 아산 외암마을



해설문

국문

교수댁은 조선 시대 말에 무과에 급제한 후 성균관 대사성, 명성황후 혼전향관(魂殿享官), 탁지부 협판, 궁내부 특진관 등을 지냈고, 독립운동을 하다 순국한 퇴암(退庵) 이성렬(李聖烈, 1888∼1913)이 살던 집이다. 훗날 성균관 교수를 지낸 이용구(李用龜, 1854∼?)가 이 집에 살았다고 해서 ‘교수댁’으로 불린다.

원래 사랑채, 안채, 행랑채, 별채가 있었으나 지금은 안채와 행랑채, 사당만 남아 있다. 사랑채가 없어지기는 했지만 이 집도 마을의 다른 집처럼 ‘┛’자 모양의 사랑채를 두고 뒤쪽에 ‘┏’ 자 모양의 안채를 둔 ‘ㅁ’자 모양의 집이다.

교수댁의 정원은 건재고택, 송화댁과 함께 외암마을을 대표한다. 정원의 크기는 건재고택이나 송화댁보다 작지만, 다른 지방의 양반집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아름다움을 보여 준다. 설화산에서 흘러들어온 수로를 마당으로 끌어들여 휘돌아 나가게 하는 연못을 만들었으며,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목을 정원수로 삼아 자연친화적인 요소를 강조하였다.

교수댁의 사랑채 정원은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가까이에 자리를 잡은 건재고택의 사랑채 정원과 마찬가지로 연못과 견수로(遣水路)*로 구성되어 있다. 연못은 구부러진 곡지(曲池) 형태이며 돌로 호안**을 쌓았다. 견수로는 본래 있던 농수로를 다듬은 것으로 자연석을 쌓아 산속의 물길처럼 만들었다. 견수로에는 배 모양의 주선석(舟船石)을 놓아 물을 헤치며 올라가는 배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견수로에 놓은 다리는 정원을 한 바퀴 돌아볼 수 있도록 만든 장치이며, 폭포는 물소리를 들으면서 물이 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도록 만든 경관 요소이다. 연못과 견수로 주변에는 다양한 수목을 심어 관상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정원에서 자연적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 견수로(遣水路): 연못으로 물을 끌어들이는 물길
  • 호안: 흐르는 물로부터 제방을 보호하기 위해 쌓은 구조물

영문

Gyosudaek House (Oeam Village, Asan)

Gyosudaek House belonged to Yi Seong-nyeol (1888-1913). Yi served high-ranking official post at the end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and died in 1913 fighting for Korea’s independe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After his death, the house came into possession of Yi Yong-gu (1854-?), whose occupation as a professor, called gyosu in Korean, at Seonggyugwan Confucian Academy became the origin of the house’s name.

The house originally consisted of a women’s quarters, men’s quarters, servants’ quarters, detached quarters, and a shrine*. The women’s and the men’s quarters, each with an L-shaped layout, form a square with an inner courtyard. The buildings of the house which still remain are the women’s quarters, the servants’ quarters, and the shrine**. The garden constructed in front of the men’s quarters of this house is considered one of the village’s three representative gardens which also include the gardens of the houses Geonjae and Songhwa.

The garden was buil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just like the two other gardens consists of an artificial stream and a pond but of a smaller scale. The water for the garden is drawn from a stream running down Seolhwasan Mountain. A preexisting field waterway was turned into a water channel facilitating the outflow of water from the garden. The water channel is made out of unhewn stones to imitate a mountain stream. A rock shaped like a boat was placed in the stream*** as if sailing upstream a turbulent river. A bridge was built over the stream, so that one could take a walk around the garden. A waterfall was also made to enjoy the view of falling water. Various trees were planted around the pond and the stream to imitate the beauty of nature.


  • Also, gate quarters?
    • I can definitely see another L-shaped building, presumably, the men’s quarters on satellite images.
      • Is 물길 and 수로 the same thing?

영문 해설 내용

교수댁은 이성렬(1888-1913)이 살던 집이다. 이성렬은 조선 말 고위 관직을 지내고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을 하다 순국하였다. 이후 이용구(1854-?)가 이 집을 인수하여 살게 되었는데, 그가 성균관에서 유생들의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를 지냈기 때문에 교수댁으로 불린다.

원래는 ‘ㄱ’자 모양의 안채와 사랑채가 안마당을 중심으로 ‘ㅁ’자 모양을 이루고, 행랑채, 별채, 사당까지 갖춘 큰 규모의 집이었다. 지금은 안채, 행랑채, 사당만 남아있지만, 사랑채 앞에 조성된 정원은 건재고택, 송화댁의 정원과 함께 외암마을을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정원은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건재고택, 송화댁의 정원과 마찬가지로 물길과 연못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크기는 조금 작다. 설화산에서 흘러내려온 물을 마당으로 끌어들여 휘돌아 나가도록 수로를 놓았는데, 이 수로는 원래 있던 농수로를 다듬은 것으로 자연석을 쌓아 산속의 물길처럼 만들었다. 물길에는 배 모양의 돌을 놓아 물을 헤치며 올라가는 배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정원을 한 바퀴 돌아볼 수 있도록 물길에 다리를 설치했고, 물이 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도록 폭포를 만들기도 하였다. 물길과 연못 주변에는 다양한 나무를 심어 자연적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