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4월 21일 (금) 11:24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Stupa of State Preceptor Beopin at Bowonsa Temple Site, Seosan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영문명칭 Stupa of State Preceptor Beopin at Bowonsa Temple Site, Seosan
한자 瑞山 普願寺址 法印國師塔
주소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19-2번지
지정번호 보물 제105호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은 고려 광종 때 승려 최고 직위인 국사(國師)를 지낸 탄문(坦文, 900~975)의 승탑*이다. 고려 초기 대표적 화엄종 승려로 광종의 개혁 정치를 후원한 탄문은 975년(광종 26)에 보원사로 와서 머물다가 3개월 만에 입적하였다. 고려 왕실은 시호(공덕을 칭송해 내리는 이름) ‘법인’과 승탑명 ‘보승(寶乘)’을 내리고, 국가의 최고 장인인 국공(國工)을 보내 승탑과 탑비(승려의 행적을 기록한 비)를 제작하도록 하였다. 승탑은 입적한 975년에서 탑비 비문이 완성된 978년 사이에 완성된 것으로 본다.

이 탑은 바닥돌부 지댓돌부터 몸돌부의 지붕돌에 이르기까지 평면이 모두 팔각형으로, 통일신라 승탑의 전형적 양식을 따르고 있다. 아래받침돌의 밑돌에는 8면에 안상**을 새기고 그 안에 사자를 돋을새김으로 표현하였고, 윗돌에는 구름과 용을 새겼다. 몸돌의 8면에는 앞면과 뒷면에 용머리로 장식된 자물쇠가 달린 문, 그 양옆으로 불법을 수호하는 사천왕과 보관을 쓴 보살을 새겼다. 지붕돌은 아랫면에 목조 건물처럼 서까래를 표현하였으며, 8개 모서리 끝에는 고사리 문양이 대칭을 이루는 꽃장식을 조각했다.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은 통일신라 승탑 양식을 계승한 8각 형태와 지붕돌 모서리 끝의 꽃장식 형태가 전형적 고려 전기의 승탑 양식을 보여준다.

영문

Stupa of State Preceptor Beopin at Bowonsa Temple Site, Seosan

A stupa is a structure built to enshrine the relics or cremated remains of a Buddhist monk. This stupa at Bowonsa Temple Site honors Monk Tanmun (900-975), also known as State Preceptor Beopin.

Tanmun was a representative monk of the Hwaeomjong Order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He became a royal preceptor in 968 and was promoted to state preceptor, the highest rank given to a Buddhist monk, in 975. That same year, however, he died while at Bowansa Temple. In recognition of his virtues, the royal court bestowed him with the posthumous name Beopin, meaning “Seal of the Dharma.” The royal court also commissioned the country’s best artisans to make his stele and stupa. The stupa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between 975, when Monk Tanmun died, and 978, when his stele was erected.

The octagonal pagoda consists of a platform, a three-tier pedestal, a body stone, a roof stone, and a decorative top, which is typical of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Each side of the platform is decorated with a carving of a lion inside a floral outline, while the bottom tier of the pedestal is decorated with cloud and dragon designs. The body stone is also decorated with images, including a door with a lock and a decorative dragon’s head on the front and back and the Four Guardian Kings and bodhisattvas on the sides. The underside of the roof stone was carved to resemble the rafters of a wooden roof, while the corners of the eaves are carved into the shape of flowers, which is a common element among early Goryeo stone stupas.

영문 해설 내용

승탑은 스님의 사리나 유골을 모시기 위해 세웠다. 보원사지의 이 승탑은 법인국사 탄문(900-975)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탄문은 고려 초기의 대표적인 화엄종 승려이다. 968년 왕사가 되었고, 975년 승려 최고의 직위인 국사가 되어 보원사에 머물다가 입적하였다. 고려 왕실에서는 탄문의 공덕을 칭송하여 “부처님의 참된 가르침의 표시”라는 뜻의 “법인”이라는 시호를 내렸고, 국가 최고의 장인을 보내 승탑과 탑비를 제작하도록 하였다. 이 승탑은 탄문이 입적한 975년에서 탑비가 세워진 978년 사이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팔각형의 승탑은 통일신라 승탑의 전형적인 양식인 지대석, 3단의 받침돌, 몸돌, 지붕돌, 머리장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대석 각 면에는 안상을 새기고 그 안에 사자를 새겼고, 아래받침돌에는 구름과 용을 새겼다. 몸돌의 앞면과 뒷면에는 용머리로 장식된 자물쇠가 달린 문 모양을 새겼고, 나머지 면에는 불법을 수호하는 사천왕과 보관을 쓴 보살을 새겼다. 지붕돌의 아랫면에는 목조 건물의 지붕을 본따 서까래를 표현하였다. 지붕 각 모서리의 끝에는 꽃 모양으로 장식하였는데, 이는 고려 전기 승탑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 법인(法印) - the seal or distinguishing mark of the dharma -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