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포항 상달암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4월 18일 (화) 13:20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포항상달암.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21920000 포항 상달암], 국가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포항 상달암
포항 상달암,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포항 상달암
한자 浦項 上達菴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새마을로766번길 21 (연일읍)
지정번호 보물
지정일 2022년 11월 25일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제사유적 / 제사터
소유자 경주손씨대종회
관리자 경주손씨대종회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포항 상달암,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포항 상달암은 양동마을 경주손씨 입향조*이자 조선 전기 문신인 손소(孫昭)의 묘를 수호하고 제사를 지내는 목적으로 지어진 재실**이다.

손소는 1467년(조선 세조 13년)에 일어난 ‘이시애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임명되는 업적을 세웠다. 또한 중앙과 지방 관직을 두루 지내고 후손들이 연이어 출세함으로서, 양동마을 경주손씨가 명문가로 성장하는데 정치·경제·사회적으로 큰 역할을 한 인물이다.

이 건물은 손소가 세상을 떠난 1484년에 묘소 아래에 있던 분암(墳庵)****을 활용해 고쳐 지었으며, 이후 후손이 기록한 1604년, 1786년 수리 내용을 통해 자세한 내력을 알 수 있다. 본래 불교 건물을 여러 차례 수리하여 유교 건축으로 변화한 것은 이 건물의 중요한 특징이다.

1484년 처음 수리할 때 기존 건물에 누마루인 화수루를 덧댔으며, 본래 지붕에 가적지붕*****을 덧대어 현재와 같이 독특한 건축 형태를 하고 있다.


  • 입향조: 마을에 가장 먼저 정착한 사람이나 조상
  • 재실(齋室): 무덤이나 사당 옆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지은 집
  • 적개공신(敵愾功臣): ‘이시애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내린 칭호
  • 분암(墳庵): 제사를 위한 시설
  • 가적지붕: 본채의 맞배지붕에 덧댄 지붕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