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신문왕릉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3년 1월 18일 (수) 11:01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주 신문왕릉
Tomb of King Sinmun, Gyeongju
대표명칭 경주 신문왕릉
영문명칭 Tomb of King Sinmun, Gyeongju
한자 慶州 神文王陵
지정(등록) 종목 사적 제181호
분류 유적건조물/무덤/왕실무덤/고대



해설문

국문

이 능은 신라 제31대 신문왕(681~692 재위)을 모신 곳으로 알려져 있다. 신문왕은 문무왕의 맏아들로 부왕의 뜻을 이어받아 옛 백제와 고구려 백성을 융합하는 데 힘썼다. 국학*(國學)을 설립하여 인재를 양성하였고, 귀족들의 기반이 되던 녹읍**을 폐지하고 관료전***을 지급하였다. 지방을 통치하기 위하여 전국을 아홉 개의 주(州)로 나누고 중요한 거점 다섯 곳에 소경(小京)을 설치하였다. 신문왕이 죽은 후에는 낭산 동쪽에서 장사를 지냈다고 한다. 이 능은 낭산 남쪽 끝자락에 있다. 무덤 가장자리의 둘레돌은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5단으로 쌓고 그 위에 덮개돌을 얹었다. 바깥쪽으로 사다리꼴 모양의 석재를 받쳐 놓았다. 정남쪽에 배치한 받침석의 윗부분에 ‘문(門)’자가 새겨져 있는데, 이곳이 무덤방으로 들어가는 널길 입구라는 것을 표시한 듯하다.


  • 국학: 고대 신라의 최고 교육기관.
  • 녹읍(祿邑): 신라 때 관리에게 주던 토지로서 조세를 거둘 수 있는 권리인 수조권(收租權)뿐만 아니라 그 토지에 딸린 노동력과 공물을 모두 수취할 수 있는 특권이 주어졌다.
  • 관료전(官僚田): 통일 신라 시대에 관리에게 지급한 토지. 관리에게 토지를 지급하되 수조권(收租權)만 인정할 뿐 노동력 징발권을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왕권 강화에 기여한 제도로 세습이 불가능하였다.

영문

This is known to be the tomb of King Sinmun (r. 681-692), the 31st ruler of the Silla dynasty (57 BCE–935 CE).

King Sinmun was the eldest son of King Munmu (r. 661-681). He worked to incorporate the people of the former Baekje and Goguryeo kingdoms after Silla had defeated them and gained most of their territory in 660 and 668, respectively. To foster talent, he established Silla’s first state educational institution. He also changed the system of land distribution to government officials, by only granting property rights of the land, not of the tenant farmers and agricultural goods produced on the land, as it used to be. This was because the previous system had let the aristocracy gain too much power.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the various regions, he divided the kingdom into nine major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established five minor capitals in key locations.

Encircling the base of the tomb mound are five layers of stone bricks with a layer of flat stones atop them. Trapezoidal stone buttresse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base. The stone platform at the front of the tomb is an entrance leading to the chamber inside the tomb mound.

Semantic Data

Semantic Network Visualization

다루고자 하는 정보

  • 무덤의 유형
  • 추정 무덤의 현 위치
  • 기록에 의한 장사 진행한 곳
  • 왕의 친적 관계
  • 왕과 같이 활동한 인물



Identified Individuals

id class label infoUrl iconUrl
D00-0181-0000 Heritage 사적_제181호:경주_신문왕릉
D00-0008-0000 Heritage 사적_제8호:경주_사천왕사지
신문_장사 Event 신문_장사
낭산_동쪽 Place 낭산_동쪽
낭산 Place 낭산
덮개돌 Concept 덮개돌
벽돌_5단 Concept 벽돌_5단
신문왕릉_둘레돌 Object 신문왕릉_둘레돌
신문왕릉_받침석 Object 신문왕릉_받침석
문무 Actor 문무왕
신문 Actor 신문왕
효소 Actor 효소왕
자의 Actor 자의왕후
김씨부인1 Actor 김씨부인1
신목 Actor 신목왕후

RDF Triples

source target relation
D00-0181-0000 신문 ekc:isTombOf
D00-0181-0000 D00-0008-0000 ekc:isNear
D00-0181-0000 신문왕릉_둘레돌 dcterms:hasPart
D00-0181-0000 신문왕릉_받침석 dcterms:hasPart
신문왕릉_둘레돌 덮개돌 dcterms:medium
신문왕릉_둘레돌 벽돌_5단 dcterms:medium
신문_장사 신문왕 edm:isRelatedTo
신문_장사 낭상_동쪽 edm:happenedAt
낭상 낭상_동쪽 dcterms:hasPart
문무 신문 edm:isNextInSequence
신문 효소 edm:isNextInSequence
문무 신문 ekc:isFatherOf
신문 효소 ekc:isFatherOf
신문 자의 ekc:isMotherOf
신목 효소 ekc:isMotherOf
자의 문무 ekc:hasWife
신문 신목 ekc:hasWife
신문 김씨부인1 ekc:hasWife

Spatial Data

gId type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사적_제181호:경주_신문왕릉 능묘 D00-0181-0000 35.817927 129.246057 경북 경주시 배반동 453-1번지
사적_제8호:경주_사천왕사지 사지 D00-0008-0000 35.819668 129.242598 경북 경주시 배반동 935-2번지
낭산_동쪽 영역 낭산_동쪽
낭산 낭산 35.823371 129.241806 경북 경주시 보문동

Timeline Data

sid type indexYear label id hanja solarDate lunarDate timeType
681-신문왕-왕위에오름 사건 681 신문왕-왕위에오름 신문 681.07 month
692-신문왕-죽음 인물 692 신문왕-죽음 신문 692.07 month

English Terms

termSource korTerm chiTerm engTerm definition
해설 신문왕 神文王 King Sinmun
명칭 사적_제181호:경주_신문왕릉 慶州 神文王陵 Tomb of King Sinmun, Gyeongju
해설 덮개돌 flat stones
해설 벽돌_5단 five layers of stone bricks
해설 굴식돌방무덤 横穴式石室墓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해설 낭산_동쪽 狼山東 to the east of Nangsan Mount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