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김해 묘련사 현수제승법수

HeritageWiki
Maria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2월 1일 (목) 01:09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해 묘련사 현수제승법수
대표명칭 김해 묘련사 현수제승법수
한자 金海 妙蓮寺 賢首諸乘法數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54호
지정일 2019년 8월 1일
분류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1권 1책
웹사이트 김해 묘련사 현수제승법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현수제승법수(賢首諸乘法數)』는 불교의 법수(法數)*를 차례대로 배열하여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만든 불교 사전이다. 1500년(연산군 6)에 경상도 합천 가야산 봉서사(鳳栖寺)에서 처음 판각되었다.

묘련사『현수제승법수』는 1500년에 경상도 합천 가야산(伽倻山) 봉서사(鳳栖寺)에서 개판(開板)**했다는 간기와 해인사 승려 등곡(燈谷)의 발문(跋文)***이 있어 간행 시기와 장소를 분명히 알 수 있다. 시주자들의 인명이 수록되어 있으며 인쇄와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불교사와 서지학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 법수(法數): 불교의 교의 가운데 어떠한 숫자로 이루어진 것
  • 개판(開板): 출판물을 처음으로 찍어 냄
  • 발문(跋文): 책의 끝에 본문 내용의 대강이나 간행과 관련된 사항 등을 짧게 적은 글

영문

Hyeonsu jeseung beopsu (Comprehensive Glossary of Numerical Terminology by Monk Fazang*) of Myoryeonsa Temple, Gimhae

Comprehensive Glossary of Numerical Terminology by Monk Fazang lists the terms from various Buddhist scriptures which contain numerals in their names. It was compiled by the Chinese monk Fazang (643–712)**, who is one of the five patriarchs of the Huayan school of Mahayana Buddhism. In Korea, the first edition of this book was published in 1500 at Bongseosa Temple on Gayasan Mountain in Hapcheon, Gyeongsang-do.

The copy kept at Myoryeonsa Temple was printed with woodblocks in 1500 at Bongseosa Temple and contains*** a record about its publication written by Monk Donggok from Haeinsa Temple. This copy is an important resource in the field of the history of Buddhism and bibliography due to its known year and location of printing, names of the people who provided donations for its publication, as well as its good condition and legibility of the text.


영문 해설 내용

『현수제승법수』는 불교의 법수(法數)를 차례대로 배열하여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만든 불교 사전이다. 1500년에 경상도 합천 가야산 봉서사에서 처음 판각되었다.

묘련사가 소장한 『현수제승법수』는 1500년에 봉서사에서 간행한 것으로, 해인사 승려 등곡이 간행 경위를 기록한 글이 남아 있다. 간행 시기와 장소, 시주자들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으며, 인쇄와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불교사와 서지학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