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광덕사 석사자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1월 16일 (수) 16:3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광덕사 석사자
광덕사 석사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광덕사 석사자
한자 廣德寺 石獅子
주소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사길 30 (광덕리)
지정(등록) 종목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52호
지정(등록)일 1984년 5월 17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광덕사 석사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사자는 불교를 상징하는 동물 중 하나로 인도에서부터 인연이 깊다. 일찍부터 인도에서 왕 중의 왕인 승리자로 인식했으며, 어지간한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의 모습을 모범적인 수행자로 비유하기도 한다. 이런 용맹함과 수행자의 이미지를 통해 평화를 지키고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광덕사 석사자는 대웅전을 올라가는 계단 입구 양쪽에 1기씩 자리하고 있다. 원래는 사찰 입구 보화루를 올라가는 돌계단 옆에 있었는데, 도굴꾼들에 의해 불법 반출되었다고 한다. 이후 주지 철웅 스님이 석사자를 되찾아 지금의 위치로 옮긴 것이다.

석사자는 2기 모두 앉아 있는 형태이며 암수 1쌍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받침돌을 따로 두지 않고 각각 한 개의 돌로 조각하였으며, 높이는 약 80cm 크기이다. 전체적으로 마모가 심하여 세부표현들은 확인하기 어렵다. 앞다리는 땅을 지탱하면서 서 있고, 뒷다리는 돋을새김하고 꼬리 역시 짧은 선으로만 표현하였다. 사자의 머리는 하늘을 향하고 있으며, 입을 약간 벌렸는데 안쪽에 이빨을 조각하였다. 머리 주변으로 구름 모양으로 갈기를 조각하였다. 전체적으로 형식화, 도식화가 진행되어 사실감은 다소 떨어지지만 친근감 있는 모습이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사자는 불교를 상징하는 동물 중 하나이다. 인도 고대 문화에서는 왕 중의 왕으로 인식되었으며, 어지간한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의 모습을 모범적인 수행자로 비유하기도 하였다. 이런 용맹함과 수행자의 이미지를 통해 평화를 지키고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광덕사 석사자는 광덕사의 주불전인 대웅전을 올라가는 계단 입구 양쪽에 1기씩 자리하고 있다. 원래는 대웅전 맞은편의 보화루를 올라가는 돌계단 옆에 있었다. 20세기 들어 도굴꾼들에 의해 불법 반출되기도 하였으나, 1985년 주지 철웅 스님이 되찾아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석사자는 2기 모두 앉아 있는 형태이며 암수 1쌍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받침돌을 따로 두지 않고 각각 한 개의 돌로 조각하였으며, 높이는 약 80cm 크기이다. 전체적으로 마모가 심하여 세부 표현들은 확인하기 어렵다. 앞다리는 땅을 지탱하면서 서 있고, 뒷다리는 돋을새김하고 꼬리 역시 짧은 선으로만 표현하였다. 사자의 머리는 하늘을 향하고 있으며, 입을 약간 벌렸는데 안쪽에 이빨을 조각하였다. 머리 주변으로 구름 모양으로 갈기를 조각하였다. 전체적으로 형식화, 도식화가 진행되어 사실감은 다소 떨어지지만 친근감 있는 모습이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