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화방사
남해 화방사 |
|
대표명칭 | 남해 화방사 |
---|---|
한자 | 南海 花芳寺 |
해설문
국문
남해 화방사는 여러 유·무형 문화재와 자연 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전통 사찰이다. 화방사는 ‘남해 화방사 산닥나무 자생지’, ‘남해 화방사 채진루’ 등의 유형 문화재와 함께 지금까지 전승되어 오는 무형 문화재인 지역 사당패의 역사를 간직한 곳으로 남해 문화 역사의 산실이다.
신라 문무왕 때 원효 대사가 보광산(지금의 ‘금산’)에는 보광사를, 망운산 남쪽에는 이 절의 시작으로 알려진 연죽사를 지었다. 13세기에는 진각 국사 혜심이 연죽사를 지금 위치에서 서남쪽으로 400m 떨어진 곳으로 옮기고 ‘영장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후 임진왜란 때 사라져 없어진 것을 조선 인조 14년(1636)에 서산 대사의 제자인 계원 스님과 영철 스님이 지금 위치에 옮겨 고쳐 짓고, 지형이 연꽃 모양을 하고 있어 절의 이름을 ‘화방사’라고 지었다. 1984년에는 화재로 소실된 보광전을 복원하고 ‘대웅전’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호국 사찰로 이름 높은 화방사는 임진왜란 당시 승병들의 근거지로 사용되었으며 오랫동안 이순신 장군의 제사를 지내 왔다. 또한 화방사의 승장*과 승려들은 남해 충렬사 옆 호충암을 지키기도 하였다. 화방사 채진루에는 1997년에 남해 충렬사의 ‘충무이공묘비’를 똑같은 크기로 복원한 목판비가 서 있다.
한편 화방사에는 종이를 만드는 시설이 있어 종이를 대량으로 생산하였는데, 「각항 진상지의 본전에 대한 순영방의 등서」에 따르면 종이의 종류와 품질에 따라 값을 매겼다고 한다. 또한 화방사는 「중건중수기」, 「현판기문」 6편, 「완문절목」 13편, 「선생안」 7편 등의 기록물을 소장하고 있어서 남해의 역사와 불교사를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승장: 승려들로 구성된 군대의 장수.
영문
Hwabangsa Temple, Namhae
Hwabangsa Templ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historic Buddhist temples of the Namhae area.
The history of this temple began when the eminent monk Wonhyo (617-686) founded Yeonjuksa Temple in the southern part of Mangunsan Mountain. In the 13th century, Monk Hyesim (also known as State Preceptor Jingak, 1178-1234) oversaw a relocation of the temple, during which it was renamed Yeongjangsa. It is said that Yeongjangsa Temple was located about 400 m to the southwest of today’s Hwabangsa Temple. It served as a base of monk soldier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nd was eventually destroyed by the enemy’s troops. In 1636, monks Gyewon and Yeongcheol rebuilt the temple at the current location under the current name Hwabangsa, which means “the Temple of Flower Fragrance” and refers to the lotus-like shape of the surrounding terrain. The temple’s original main worship hall Bogwangjeon burnt down in 1981 and was replaced with the current Daeunjeon Hall in 1984.
Hwabangsa was known as a temple protecting the state* and held veneration rituals to the national hero Admiral Yi Sun-sin (1545-1598). He is also venerated at Chungnyeolsa Shrine (Historic site) located 8.5 km to the north where the temple’s monks built Hochungam Hermitage to protect the shrine. Also, in 1997, a wooden replica of the stele honoring Yi Sun-sin at Chungnyolsa Shrine was installed in the temple’s Chaejinnu Pavilion.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 temple oversaw a large-scale production of paper. It is said that various types of paper of different quality and prices were produced here. Nearby, there is a natural habitat of Diplomorpha, a raw material for high-quality paper.
Hwabangsa Temple is home to several cultural heritages including a Natural Habitat of Diplomorpha and Chaejillu Pavilion and holds numerous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the records of the temple’s reconstructions and renovations and various government-issued documents. It is an important part of the Namhae area’s history as well as the history of Buddhism in Korea.
- Can we just say that they trained monk soldiers or something?
영문 해설 내용
화방사는 남해 망운산에 있는 전통 사찰이다.
화방사의 역사는 신라의 승려 원효(617-686)가 망운산 남쪽에 연죽사를 창건하면서 시작되었다. 13세기에는 진각국사 혜심(1178-1234)이 연죽사를 옮겨 짓고 영장사로 이름을 바꾸었는데, 영장사는 지금의 화방사에서 서남쪽으로 약 400m 떨어진 곳에 있었다고 한다. 영장사는 임진왜란 당시 승병들의 근거지로 사용되다가 왜적에 의해 소실되었고, 1636년 승려 계원과 영철이 지금의 화방사를 다시 지었다. 화방사라는 이름은 꽃향기가 나는 사찰이라는 뜻으로, 사찰이 위치한 지형이 연꽃 모양을 하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화방사의 주불전은 보광전이었는데 1981년 화재로 소실되었고, 1984년 새 주불전으로 지금의 대웅전을 지었다.
화방사는 호국사찰로 이름이 높았으며, 오랫동안 명장 이순신(1545-1598)을 기리는 제사를 지내 왔다. 화방사에서 북쪽으로 약 8.5km 떨어진 곳에는 이순신을 기리는 사당인 충렬사(사적)가 있는데, 화방사의 승장과 승려들은 충렬사 옆에 호충암이라는 암자를 짓고 사당을 지키기도 하였다. 채진루에는 이순신을 기리기 위해 충렬사에 세워진 비석을 본떠 1997년에 만든 목판비가 있다.
또한 조선시대 화방사는 종이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곳이기도 하였다. 생산된 종이의 종류와 품질에 따라 값을 매겼다고 하며, 지금도 화방사 인근에는 고급 종이의 원료가 되는 산닥나무가 분포하고 있다.
화방사는 산닥나무 자생지(천연기념물)와 채진루(문화재자료)를 비롯한 여러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사찰의 중건중수 기록, 정부 기관에서 화방사에 발급한 문서 등 다양한 기록물을 소장하고 있어, 남해의 역사와 불교사를 연구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