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산동리 남근석

HeritageWiki
Maria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10월 25일 (화) 05:19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산동리 남근석
산동리 남근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산동리 남근석
한자 山東里 男根石
주소 전라북도 순창군 팔덕면 산동리 452번지
지정번호 전라북도 민속문화재 제14호
지정일 1979년 12월 27일
분류 유물/기타종교조각/민간신앙조각/석조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기(721㎡)
웹사이트 산동리 남근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남근석은 남성 생식기 모양의 돌로, 민족 고유 신앙인 남근숭배의 신앙물이다. 자손이 귀하거나 아기를 낳지 못하는 여성들이 남근석에 정성을 다해 소원을 빌면 아기를 가질 수 있다는 믿음 때문에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전설에 따르면 산동리 남근석은 500여 년 전에 과부로 지내던 한 여인이 두 개의 남근석을 치마에 싸 가지고 오다가 너무 무거워서, 한 개는 창덕리에 두고 다른 한 개는 이곳에 세웠다고 한다.

매우 정교하면서도 사실적으로 묘사한 이 남근석은 아랫부분에 연꽃무늬를 새긴 점이 특이하다. 매년 정월 대보름이면, 아기를 갖기 원하는 많은 여인들이 이곳에서 기도하였다고 한다.

영문

Phallic Stone in Sandong-ri

A phallic stone is an object of folk worship. It is either a natural stone that resembles a phallus or an artificial sculpture made in the shape of a phallus. Most of phallic stones were made as a result of a common belief that if a woman who has trouble conceiving sincerely wishes upon such statue, she will be granted a child.

According to a legend, Phallic Stone in Sandong-ri was erected* some 500 years ago by one widow. It is said that she was trying to move two stones, but since they were too heavy, she put one up here, and one in Changdeok-ri, 1.5 km to the south from this spot.

This phallic stone was vary elaborately and realistically sculptured from granite and it is quite particular as it features a lotus flower pattern engraved at the bottom. It is said that on the first full moon in the first lunar month of each year, many women would come here to pray for child.

  • I’m sorry! XD

영문 해설 내용

남근석은 남자의 성기 모양을 조각하여 세우거나 비슷한 형태의 자연 암석을 대상으로 하는 신앙물이다. 아기를 낳지 못하는 여성들이 남근석에 정성을 다해 소원을 빌면 아기를 가질 수 있다는 믿음 때문에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전설에 따르면 산동리 남근석은 500여 년 전에 한 과부가 세웠다고 한다. 과부는 두 개의 남근석을 옮기다가 너무 무거워서, 하나는 이곳에 세우고 하나는 남쪽으로 약 1.5km 떨어진 창덕리에 세웠다고 한다.

화강암으로 매우 정교하면서도 사실적으로 묘사한 이 남근석은 아랫부분에 연꽃무늬를 새긴 점이 특이하다. 매년 정월 대보름이 되면, 아기를 갖기 원하는 많은 여인들이 이곳에서 기도하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