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혜국사
문경 혜국사 |
|
대표명칭 | 문경 혜국사 |
---|---|
한자 | 聞慶 惠國寺 |
해설문
국문
혜국사는 문성왕 8년(846)에 신라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창건한 사찰로, 당시에는 법흥사(法興寺)라 하였다. 이 절은 현재 조령산성 안에 있다.
고려 말 홍건적의 난 때는 공민왕이 이곳으로 피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는 청허(淸虛), 송운(松雲), 기허(騎虛) 3대사(三大師)가 이곳에서 왜란의 위기를 구제할 방책을 세워 나라에 조력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사찰의 이름을 혜국사(惠國寺)라고 바꾸었으며, 명실공히 두각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
고종 3년(1866)에 화재로 사찰이 불에 타 없어졌으나, 그 뒤 주승(主僧) 최송봉(崔松峰)이 경상도관찰사 이상현(李參鉉)의 도움을 받아 대웅전과 사찰의 일부를 중건하였다. 1926년 봄에는 주지승(住持僧) 고만허(高滿虛)와 김룡사(金龍寺) 승려 정문흠(鄭文欽)의 노력으로 다시 공사를 시작하여 7개월 만에 중건하였다.
현재는 대웅전, 산신각, 관음전, 요사 등이 남아 있다. 이 중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이며, 총 59m²의 건물이다. 대웅전 안에는 중앙의 본존과 협시보살*로 이루어진 목조삼존불좌상(경상북도 유형문화재 2009)이 있다. 불상의 배안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보면 수화승(首畫僧) 김문(金文)이 만들어 숙종 10년(1684)에 인근 금학사(金鶴寺, 문경읍 마원리, 현재는 폐사됨)에 안치했던 불상임을 알 수 있다.
본존은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을 맺었으며, 오른발을 위로 하여 결가부좌(結跏趺坐)한 아미타여래좌상이다. 좌우의 협시보살상도 머리 부분이 불상 높이의 1/3에 달할 정도로 크며 그 형식도 본존불과 유사하다. 이 조각상은 17세기 목조 불상 양식의 보편적인 특징이 그대로 드러나면서도 큰 귀, 왜소한 어깨, 상체에 비해 하체부가 과장된 듯한 무릎, 간결한 옷주름 등에서 독특한 조형적 예술성을 보인다.
산신각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이며, 총 23m²이다. 내부에는 칠성탱 2점, 산신탱 1점, 독성탱 1점이 봉인되어 있다. 그리고 요사는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으로 총 132m²의 건물이다.
- 협시보살: 본존불을 좌우에서 보좌하는 보살
- 하품중생: 구품 정토의 하나. 파계하고 악행을 행한 범부가 죽을 때에 아미타불의 공덕을 듣고 80억겁(億劫) 동안 생사에 윤회할 죄를 덜고 정토의 보배 연못에 태어나 6겁을 지내고 연꽃이 피어 법문을 듣고 발심하는 세계이다.
- 인: 부처가 자기의 내심(內心)의 깨달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열 손가락으로 만든 갖가지 표상(表象)
영문
Hyeguksa Temple, Mungyeong
This place is a Buddhist temple which was established in 846 by Buddhist master Chejing (804-880) under the name Beopeungsa.
At the time of the Red Turban invasions of Korea (1359-1362)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King Gongmin (r. 1351-1374) took refuge here and at the tim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1598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Hyujeong (1520-1604), Yujeong (1544-1610), and Yeonggyu (?-1592) who led a band of monk-soldiers trained the band of monk-soldiers here and made a petition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Japanese. After this, its name was changed to "Hyeguksa", meaning that this Buddhist temple greatly contributed to saving the country.
In 1866, the Buddhist temple had burned down in a fire, but head monk Choe Song-bong received help from the governor of Gyeongsang-do Province Yi Sang-hyeon and rebuilt part of the buildings in the Buddhist temple, including Daeungjeon Hall. In the spring of 1926, construction began again due to the efforts of the head monk Go Man-heo and monk Jeong Mun-heum of Gimnyongsa Temple, so it was reconstructed in only seven months.
The currently remaining buildings in the precincts include Daeungjeon Hall, Sansingak Shrine, Gwaneumjeon Hall, and the monks’ living quarters.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Gyeongsangbuk-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made of wood is enshrined inside the main worship hall of Hyeguksa Temple, Daeungjeon. This buddha triad which consists of Amitabha (Buddha of the Western Paradise),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Mahasthamaprapta Bodhisattva, was made in 1684 by the sculptor-monk Gimmun and it was once enshrined in the nearby Geumhaksa Temple. After this, Geumhaksa Temple was closed, but it is unknown when this buddha triad was moved to Hyeguksa Temple.
All three Buddhist statues are depicted sitting in the lotus position and their heads are large, measuring around 1/3 of the overall height of the Buddhist statues. They appear to have the common features of the style of wooden Buddha statues of the 17th century and their large ears, dwarfed shoulders, knees that resemble an exaggerated lower body compared to the upper body, and the simple folds of their robes have a unique refined artistic beauty.
Sansingak Shrine enshrines two Buddhist paintings of Tejaprabha Buddha and the Seven Stars as well as one Buddhist painting of the Mountain Spirit and one Buddhist painting of Hermit Sage, while Gwaneumjeon Hall enshrines a painting depicting Avalokitesvara Bodhisattva wearing a white robe and a gilt-bronz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보조선사 체징(804-880)이 846년에 법흥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한 사찰이다.
고려 말 홍건적의 난 때에는 공민왕(재위 1351-1374)이 이곳으로 피난하였고, 조선시대에 임진왜란 때에는 승병을 이끌던 휴정(1520-1604), 유정(1544-1610), 영규(?-1592)가 이곳에서 승병들을 훈련시키고 왜란의 위기를 극복할 방책을 세웠다. 이후 이 사찰이 나라를 구하는 데 크게 공헌했다는 의미에서 “혜국사”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
1866년에 화재로 사찰이 불에 타 없어졌으나, 주지 최송봉이 경상도관찰사 이상현의 도움을 받아 대웅전을 비롯한 사찰의 일부 건물을 다시 지었다. 1926년 봄에는 주지 고만허와 김룡사 승려 정문흠의 노력으로 다시 공사를 시작하여 7개월 만에 중건하였다.
현재 경내에는 대웅전, 산신각, 관음전, 요사 등이 남아 있다. 혜국사의 중심 전각인 대웅전 안에는 나무로 만든 아미타삼존불좌상(경상북도 유형문화재)이 모셔져 있다. 이 삼존불은 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로 이루어져 있으며, 승려 조각가 김문이 만들어 1684년 인근 금학사에 모셨던 것이다. 금학사는 이후 폐사되었고, 이 삼존불이 언제 혜국사로 옮겨왔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세 불상 모두 결가부좌한 자세로 앉아 있고, 머리 부분이 불상 전체 높이의 1/3에 달할 정도로 크다. 17세기 목조 불상 양식의 보편적인 특징을 보이며, 큰 귀, 왜소한 어깨, 상체에 비해 하체부가 과장된 듯한 무릎, 간결한 옷주름 등에서 독특한 조형적 예술성을 보인다.
산신각에는 칠성탱 2점, 산신탱 1점, 독성탱 1점이 모셔져 있고, 관음전에는 백의관음보살을 그린 그림과 금동관세음보살상이 모셔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