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 대풍헌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8월 28일 (일) 16:16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울진대풍헌.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701650000 울진 대풍헌], 국가문...)
울진 대풍헌 |
|
대표명칭 | 울진 대풍헌 |
---|---|
한자 | 蔚珍 待風軒 |
주소 | 경상북도 울진군 구산봉산로 105-2 (기성면, 대풍헌 기성구산동회관)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북도 기념물 제165호 |
지정(등록)일 | 2010년 3월 11일 |
분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주거시설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1동(56.46 제곱미터) |
웹사이트 | 울진 대풍헌,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대풍헌이라는 이름은 ‘바람을 기다리는 집’이라는 뜻이다. 이곳은 조선 후기에 구산포에서 울릉도로 가는 수토사(搜討使: 울릉도에 몰래 들어간 주민을 육지로 데리고 나오거나 일본인을 수색하여 토벌하는 군사)들이 배를 띄우기 전에 순풍順風을 기다리며 항해를 준비하던 곳이다.
대풍헌이 처음 세워진 연대는 알 수 없다. 다만 「구산동사중수기(龜山洞舍重修記)」에 조선 철종 2년(1851)에 대풍헌을 고쳐 지으면서 ‘龜山洞舍(구산동사)’와 ‘待風軒(대풍헌)’이라는 현판(懸板)을 걸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후 1906년에 다시 한 차례 고쳐 지었고, 2010년에는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했다.
건물은 남쪽 방향으로 서 있으며 지붕의 형태는 홑처마 팔작기와지붕이다. 건물 구조는 정면 네 칸, 왼쪽 네 칸, 오른쪽 세 칸 규모의 일자형(一字型) 이며, 큰마루와 온돌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큰마루에는 건물의 내력과 수토(搜討) 등에 관한 여러 현판이 걸려 있다.
조선은 숙종 19년(1693)에 일어난 안용복의 1차 도일(渡日: 일본으로 건너감) 사건 이후 울릉도에 수토관(搜討官)을 정기적으로 파견하였는데, 수토 제도는 약 200년 동안 계속되었다. 대풍헌에서 이와 관련된 「수토절목(搜討節目)」, 「완문(完文)」 등의 고문서도 발견되었다.
대풍헌과 이곳의 현판 및 고문서들은 오래전부터 조선이 울릉도·독도를 공식적으로 지키고 관리해 왔다는 역사적인 사실을 증명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
- 울진대풍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4127
- 울진 대풍헌, 디지털울진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uljin.grandculture.net/uljin/toc/GC01800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