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남양주 흥국사 성임당탑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8월 22일 (월) 20:28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남양주흥국사성임당탑.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102030000 남양주 흥...)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남양주 흥국사 성임당탑
남양주 흥국사 성임당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남양주 흥국사 성임당탑
한자 南楊州 興國寺 聖任堂塔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덕릉로1071번길 58
지정번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3호
지정일 2006년 7월 3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남양주 흥국사 성임당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흥국사 성임당탑은 처음부터 이곳에 자리 잡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탑 몸돌 위쪽에는 ‘성임당축존지탑(聖任堂竺尊之塔)’이라는 글이 새겨져 있어, 이 탑이 승려의 사리나 유골을 보관한 승탑임을 알 수 있다. ‘성임당’은 탑 주인공인 승려의 당호*이며 ‘축존’은 승려의 법명**이다. 아직 성임당의 행적이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아 정확한 건립연대는 알 수 없지만, 탑의 모양과 돌을 다듬은 방법으로 보아 18세기 전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탑의 모양을 살펴보면, 탑의 아래쪽 받침돌과 위쪽 지붕돌은 팔각형이고, 그 중간에 탑의 몸돌과 위쪽 지붕돌 위의 장식돌은 원형이다. 이는 신라 시대부터 유행한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 양식이다. 한편, 받침돌 위아래로 새겨진 연꽃 문양연화문, 蓮華文과 띠처럼 길게 뻗은 코끼리 눈 문양안상문, 眼象文, 높은 지붕돌, 그 위 장식돌에 새겨진 작은 구슬을 꿰맨 듯 연결하여 만든 고리 문양연주문, 連珠文은 조선 후기에 나타나는 표현 형태이다. 이러한 승탑 형태는 조선 후기 경기도와 강원도를 중심으로 유행하였는데, 탑의 규모가 큰 것으로 보아 탑의 주인공이 유력한 승려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 당호(堂號): 도를 훌륭하게 닦은 승려에게 법사가 지어 주는 별도의 이름
  • 법명(法名): 절에서 일정 기간 불자로 수행하고 도덕의 기준이 되는 규범을 받을 때 스승이 지어 주는 이름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

  • “남양주 흥국사 성임당탑”, 『경기도 문화재 총람 도지정편 1』, 경기도, 경기문화재연구원, 2017, 268~26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