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하구려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8월 10일 (수) 10:55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백하구려
Baekhaguryeo House
백하구려,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백하구려
영문명칭 Baekhaguryeo House
한자 白下舊廬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내앞길 35 (천전리)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137호
지정(등록)일 2000년 4월 10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1,547㎡
웹사이트 백하구려,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백하구려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인 백하 김대락(白下 金大洛)이 고종 22년(1885)에 지은 집이다. 백하구려란 ‘백하의 옛 집’이라는 뜻이다.

김대락은 ‘사람 천석, 글 천석, 살림 천석’이라 하여 ‘삼천석 집’으로 불릴 만큼 학문과 경제력을 모두 갖추었던 명문가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지역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1907년 안동 지역 최초의 근대식 중등교육 기관인 협동학교가 설립되자, 나라의 장래를 위해 신학문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백하구려의 사랑채를 확장하여 교실로 사용하게 하였다.

1910년 일제에 국권을 빼앗기자 김대락은 집과 재산을 모두 처분한 후 일가친척 150여 명을 이끌고 만주로 망명하였다. 서간도 지역 최초의 한인 자치단체인 경학사의 조직에 기여하였고, 신흥무관학교의 건립 자금을 대는 등 조국의 광복을 위해 힘썼다. 이러한 공로가 인정되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그에게 추서되었다.

백하구려는 안채, 좌우 날개채, 사랑채, 아래채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마당을 중심으로 ‘口’자형을 이루고 있다. 협동학교 교실로 사용하던 건물은 만주로 망명할 때 철거하였다고 한다. 현재 백하구려에는 김대락의 후손이 살고 있다.

영문

Baekhaguryeo House

Baekhaguryeo House was built in 1885 by Kim Dae-rak (1845-1914), a prominent leader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he name Baekhaguryeo means “Baekha’s Old Cottage” and refers to Kim's pen name.

Born in Andong to a wealthy and educated family, Kim is praised for his lifelong contributions to the welfare of the local community. Early on, Kim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Western education. So, when Andong’s first modern secondary educational institution, Hyeopdong School, was established in 1907, he expanded a part of this house to be used as the school’s classroom.

In 1910, when Korea lost its sovereignty to Japan, Kim sold his property and other assets and fled to Manchuria with about 150 of his extended family members. There, he worked hard for Korea’s independence by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Gyeonghaksa, the first organization dedic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Western Jiandao, and financing the foundation of Sinheung Military School. In 1990, Kim was awarded the Order of Merit for National Foundation for his outstanding contributions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house consists of an outer quarters, a men’s quarters, two wing quarters, and a women’s quarters, which together form a square layout with an inner courtyard. It is said that the building that was used as a classroom was dismantled when Kim left for Manchuria. Presently, the house is resided in by Kim’s descendants.

영문 해설 내용

백하구려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인 김대락(1845-1914)이 1885년에 지은 집이다. 백하구려는 “백하의 옛 집”이라는 뜻이며, 백하는 김대락의 호이다.

김대락은 학덕과 경제력을 모두 갖춘 명문가에서 태어났으며, 평생 지역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신학문의 필요성을 인식한 김대락은 1907년 안동 지역 최초의 근대식 중등 교육기관인 협동학교가 설립되자, 백하구려의 사랑채를 확장하여 교실로 사용하게 하였다.

1910년 일제에 국권을 빼앗기자 김대락은 집과 재산을 모두 처분한 후 일가친척 150여 명을 이끌고 만주로 망명하였다. 서간도 지역 최초의 한인 자치단체인 경학사를 조직하는 데 기여하였고, 신흥무관학교의 건립 자금을 대는 등 조국의 광복을 위해 힘썼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백하구려는 아래채, 사랑채, 좌우 날개채, 안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마당을 중심으로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협동학교 교실로 사용하던 건물은 만주로 망명할 때 철거하였다고 한다. 현재 백하구려에는 김대락의 후손이 살고 있다.

참고자료

  • 백하구려,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796 -> 백하구려(白下舊廬)는 김대락(金大洛, 1845~1914)이 1885년 4월 19일에 건립한 것으로 보이는 고가이다. 당호는 김대락의 호인 백하(白下)에서 따 온 것이다. 김대락은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초에 국민 계몽과 독립 운동에 헌신하였다. 1977년 대통령표창,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愛族章)이 추서되었다. 1907년 백하구려의 사랑채를 확장하여 안동 지역 최초로 근대식 학교인 협동학교(協東學校) 교사로 변경하였다. 협동학교는 당시 안동 지방의 애국계몽운동에서 중추적 위치에 있던 학교로서 고루한 안동유림을 계몽하는 역할을 담당하였고, 후에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한 투사들의 산실이기도 했다. / 백하구려는 정면 8칸으로, 서쪽 4칸은 사랑채이고, 동쪽 4칸은 중문간을 비롯한 아래채이다. 사랑채는 막돌로 쌓은 2단 기단 위에 서 있으며, 아랫단 기단은 앞쪽으로 3m 가량 돌출되어 있는데, 협동학교 교사로 쓰기 위해 사랑채를 확장할 때 넓힌 것으로 보인다. 앞에 쪽마루가 설치된 동쪽 2칸은 큰 사랑방이고, 이 사랑방 서쪽 뒤에 방이 1칸 붙어 있어 안마당으로 통할 수 있게 하였다. 아래채는 사랑방과 중문간이 있고, 동쪽으로 광, 아랫방, 마루방이 1칸씩 배열되어 있다. 안채는 앞면이 개방된 3칸 대청을 중심으로 동쪽에 남북으로 긴 2칸 방이 놓여 있고, 그 앞으로 2칸 부엌이 앞채의 아랫방에 접하여 있다. 안채와 사랑채 모두 간소한 구조이지만 안채 대청 앞면 기둥은 둥근기둥을 세워 격을 높였다. 면적은 1,547㎡이다. / 사랑채에는 향유(鄕儒)인 금상기(琴相基)가 김대락 사후에 ‘백하구려’라고 쓴 현액이 걸려 있다.
  • 김대락,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1546 -> 본관은 의성(義成), 자는 중언(中彦), 호는 비서(賁西)이다. 만주에 들어가 백두산 기슭에 산다는 뜻에서 백하(白下)라는 별호(別號)를 사용하기도 했다. 1845년(헌종 11)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서 우파(愚坡) 김진린(金鎭麟)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김대락은 1845년 안동에서 세가 좋았던 천전(川前: 내앞) 마을에서 태어나 퇴계학맥을 계승한 정재 류치명의 문하에서 수학한 조부 김헌수, 숙부 김진기, 족숙 김흥락의 문하에서 성장하였다. 이들은 모두 안동의 대유학자였으며, 특히 김진기는 개항기 안동의 대표적인 위정척사 운동가였고, 서산 김흥락은 안동의 전기 의병을 지휘하였던 인물이다.
  • 〔다시 보는 광복〕 서간도 만주벌에서 독립운동을 펼친 내앞마을의 김대락과 김동삼, 시니어 매일, 2019.09.02. http://www.senior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24 -> 백하 선생은 ‘사람 천 석, 글 천 석, 살림 천 석’이라 해서 '삼천석댁'으로 유명했던 내앞마을의 권문세가인 의성 김씨 가문의 장자로 태어났다. 서산 김흥락 선생에게 수학하였고, 그 과정에서 위정척사 사상에 바탕을 두고 의병을 지휘하던 스승의 영향을 받아 전통적인 선비로 살았다. 그러한 선생이 대한협회보를 읽고, 사상의 혁명적 전환을 맞았다. 이때가 이순을 넘긴 나이였다. 이로써 백하 선생이 영남유림의 개화에 끼친 영향은 실로 컸다. 국권이 일제에게 침탈되고, 향산 이만도 선생 같은 선비들의 자정순국을 보면서 백하 선생은 망명을 결심하였다. 선영을 지킬 몇 사람을 남겨둔 채 노비를 풀어 주고, 전장을 처분하여 망명길에 오른 것이다. 선생을 따라 삼원포로 망명한 내앞마을 사람들은 일곱 차례에 걸쳐 150명에 이르렀다. 백하 선생은 삼원포에서 이상룡, 이회영 선생과 함께 서간도 최초인 경학사를 조직하고, 독립군을 양성하기 위하여 신흥강습소를 열었다. 1912년 2월 초 통화현 합니하로 이주한 백하 선생은 한인 지도자들과 함께 그해 6월에 신흥무관학교를 열어 훗날 청산리대첩에 참여하는 많은 독립군을 길러냈다. 1913년 2월 합니하에서 삼원포로 돌아온 백하 선생은 경학사가 무너지면서 생활고에 처한 동포 사회를 재건하기 위하여 일송 선생등과 새로운 자치조직인 공리회를 결성하고 취지서를 작성하였다. 백하 선생은 1914년 12월 10일 서간도 삼원포에서 향년 70세로 별세하여 그 땅에 묻혔다. 선생은 망명 생활을 기록한 「백하일기」를 남겼고,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석주 이상룡 선생의 부인 김우락, 향산 이만도 선생의 자부 김락 여사가 백하 선생의 누이들이다. 두 누이 역시 독립 유공자이다.
  • 경북의 혼 제4부 – 노블레스 오블리주 4) 안동 선비 백하 김대락, 매일신문, 2011.08.05. http://news.imaeil.com/page/view/2011080507393016610
  • 안동 임하면 내앞마을 ‘협동학교’ 독립운동의 산실, 경북일보, 2017.03.01. https://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986364
  • 독립유공자 33명, 안동 ‘내앞마을’ 이야기, 『주간조선』 2543호, 2019.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2&nNewsNumb=00254310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