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성
HeritageWiki
농성 |
|
대표명칭 | 농성 |
---|---|
한자 | 農城 |
주소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 산41-5 |
지정(등록) 종목 | 시도기념물 제74호 |
지정(등록)일 | 1981년 7월 16일 |
분류 |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
시대 | 시대미상 |
수량/면적 | 1동 |
웹사이트 | "농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축성 연대 불명의 옛 성터로 높이 4m 안팎의 축대가 둘레 약 300m에 이르는 타원형의 터전을 둘러싸고 있는데, 축대는 흙을 얇은 층 모양으로 다져서 쌓아올리는 판축(版築) 방법으로 축조되어 있다.
삼국시대에 도적을 막기 위하여 쌓았다는 설, 신라 말기 중국에서 건너온 임(林)씨의 시조가 쌓았다는 설, 고려시대 왜구를 방어하기 위해여 쌓았다는 설, 등이 있으며, 임진왜란 때 왜군을 막기 위해 쌓았다는 설도 있다. 하지만 어느 것도 확실한 근거가 있지는 않다.
그러나 이런 소규모의 흙으로 쌓은 성은 대부분 초기 국가의 형성 단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이 성이 위치한 지형으로 볼 때는 이미 이 지역에 정착하고 있던 세력집단들이 그들의 근거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세운 것으로 보인다.
- 판축(版築) : 판자를 양쪽에 대고 그 사이에 흙을 넣어서 단단하게 다져 담이나 성벽 등을 쌓는 일, 곧 토목공사를 말함.
국문 수정안
평택 농성은 안성천과 아산만이 합쳐지는 지역에 형성된 평야지대에 있는 성이다. 성은 흙으로 쌓였는데, 이와 같이 흙으로 쌓은 성곽들은 대부분 초기 국가의 형성단계에서 나타는 형태이다.
성을 쌓은 이유로 삼국시대에 도적을 막기 위하여 쌓았다는 설, 신라 말기 중국에서 건너온 평택임씨의 시조인 임팔급이 축조하여 생활 근거지로 삼았다는 설, 고려시대 서해안으로 침입하는 왜구를 방어하기 위하여 쌓았다는 설, 임진왜란 때 왜적을 막기 위해 쌓았다는 설이 전한다. 성 바로 옆에는 겨울철에는 따뜻한 물이, 여름철에는 찬물이 나오는 우물이 있었다고 한다.
성의 형태는 타원형으로, 동쪽과 서쪽에는 문터가 남아 있다.
영문
참고
- 농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농성에 건립된 임팔급 동상 구설수, 평택시민신문.
- 농성, 네이버 지식백과 문화원형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