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인동헌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7월 13일 (수) 19:29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태인동헌
Magistrate’s Office of the Taein Local Government
태인동헌, 정읍시 문화관광.
대표명칭 태인동헌
영문명칭 Magistrate’s Office of the Taein Local Government
한자 泰仁東軒
주소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면 동헌길 24 (태성리)
지정(등록) 종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75호
지정(등록)일 1976년 4월 2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수량/면적 1동(604.4㎡)
웹사이트 태인동헌,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동헌은 조선 시대 고을 수령이 업무를 보던 관청이다.

태인동헌은 조선 중종 때 태인 현감 신잠(申潛)이 처음 세웠으며, 현재 건물은 순조 16년(1816)에 다시 세운 것이다.

건물 정면에는 ‘고을을 맑고 편안하게 다스리겠다’라는 뜻의 청령헌(淸寧軒)을 새긴 현판이 걸려있다. 현판은 안동김씨 세도가이자 문장가로 유명한 김조순이 쓴 글씨다.

이 동헌은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곳으로, 건물 내부의 공간구성이 다양하다. 남쪽 전면에는 툇간이 일자로 있고, 그 뒤에 오른쪽으로 대청이 있으며, 왼쪽에는 온돌이 있다. 그 위에 다시 북쪽으로 툇간이 있는데, 이 툇간의 오른쪽 2칸은 대청보다 바닥이 높은 마루이며 나머지는 흙바닥으로 되어 있다.

영문

Magistrate’s Office of the Taein Local Government

This building was the office of the magistrate of the Taein local government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Taein is a former name of the Jeongeup area.

The magistrate’s office was first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r. 1506-1544) by the local magistrate Sin Jam (1491-1554). The current building dates to 1816.

The wooden name plaque on the building’s facade reads Cheongnyeongheon, meaning “House of Clarity and Serenity,” which conveys how a magistrate should govern his jurisdiction with transparency and tranquility. It was calligraphed by the civil official and renowned calligrapher Kim Jo-sun (1765-1832).

This magistrate’s office has maintained its original design. It consists of a wooden-floored hall to the right, an underfloor-heated room to the left, and a wooden-floored veranda along the front. Behind the room is a narrow elevated attic used for storage.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조선시대 태인현의 수령이 업무를 보던 곳이다. 태인은 정읍 지역의 옛 이름이다.

태인동헌은 중종(재위 1506-1544) 때 현감 신잠(1491-1554)이 처음 세웠고, 현재 건물은 1816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건물 정면에는 “맑고 편안한 집”이라는 뜻의 “청령헌”을 새긴 현판이 걸려있는데, 이는 ‘고을을 맑고 편안하게 다스리겠다’는 뜻이 담겨 있다. 현판의 글씨는 문신이자 서화가로 유명한 김조순(1765-1832)이 썼다.

이 동헌은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오른쪽에 대청이 있고 왼쪽에 온돌방이 있으며, 앞쪽 전체에 툇마루가 있다. 온돌방 뒤쪽에는 바닥이 높은 툇칸을 두어 다락방처럼 사용하였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