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산이씨 대산종가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6월 27일 (월) 20:04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산이씨 대산종가
Daesan Head House of the Hansan Yi Clan
한산이씨 대산종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한산이씨 대산종가
영문명칭 Daesan Head House of the Hansan Yi Clan
한자 韓山李氏 大山宗家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537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08호
지정(등록)일 2001년 11월 1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일제강점기
수량/면적 3동
웹사이트 한산이씨 대산종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한산 이씨 대산종가는 조선 시대의 학자 대산 이상정(大山 李象靖)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이란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일제강점기에 방치되어 가옥이 퇴락하자, 1930년대에 이상정의 8대손인 이용원(李龍遠)이 규모를 줄여 지금의 모습으로 다시 지었다고 한다.

이상정은 영조 11년(1735)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않았고, 퇴계 이황의 학문을 계승하며 제자를 길러내는 데 힘썼다. 이상정의 제자 명부인 『고산급문록』에 이름이 오른 제자만 273명에 이른다.

대산종가는 중문채*, 사랑채, 안채로 이루어진 ‘口’ 자형의 본채와 별도의 담장을 두른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안채 대청의 오른쪽에는 방 세 개가 연이어 있는데, 가장 안쪽에 있는 방이 이상정이 태어난 ‘태실(胎室)’이며, 나머지 방 두 개는 제례 때 사용하는 빈소이다. 일반적으로 안채는 집안의 여성들이 사용하는 공간이나, 남성과 조상을 위한 빈소가 마련되어 있는 점이 독특하다.


  • 중문채: 중문(中門)이 있는 집채

영문

Daesan Head House of the Hansan Yi Clan

Daesan Head House belongs to the descendants of Yi Sang-jeong (1711-1781, pen name: Daesan), a scholar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A head house is a residence passed down among the male successors of a family lineage. It is unknown when the house was first esta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it was abandoned and fell into disrepair. So, in the 1930s, Yi Sang-jeong’s eighth-generation descendant Yi Yong-won (1915-1959) built the house anew on a smaller scale.

Yi Sang-jeong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735 but chose to devote his life to teaching rather than become a civil official. According to the names in a registry book of his students, Yi taught at least 273 people during his lifetime.

The house features a main quarters and a shrine. The main quarters consists of an inner gate quarters, a men’s quarters, and a women’s quarters, which together form a square layout with a courtyard in the middle. Yi Sang-jeong is said to have been born in the far rear left room of a women’s quarters. The two adjacent rooms are used during the veneration rituals. It is unusual for a women’s quarters, typically reserved only for women, to have spaces dedicated to men and ancestors. The shrine is located to the right of the main quarters inside its own enclosure wall.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조선시대의 학자 이상정(1711-1781, 호: 대산)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은 한 집안의 대를 잇는 후손이 대대로 살아온 집이다. 언제 처음 지었는지는 알 수 없고, 일제강점기에 방치되어 가옥이 퇴락하자 1930년대에 이상정의 8대손인 이용원(1915-1959)이 규모를 줄여 다시 지었다고 한다.

이상정은 1735년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않았고 제자를 길러내는 데 힘썼다. 이상정의 제자 명부에 이름이 오른 제자만 273명에 이른다.

대산종가는 본채와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채는 중문채, 사랑채, 안채가 안마당을 가운데 두고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이상정은 안채 가장 안쪽에 있는 방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안채에 있는 나머지 방 두 개는 제례 때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안채는 집안의 여성들이 사용하는 공간인데, 남성과 조상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점이 독특하다. 본채 오른쪽에 있는 사당은 별도의 담장을 두르고 있다.

갤러리

참고자료

  • 한산이씨 대산 종가,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982 -> 한산이씨 대산 종가는 이상정(李象靖, 1711~1781)이 태어난 집으로, 후에 이상정의 8세손인 이용원(李龍遠, 1915~1959)이 규모를 조금 줄여 새로 건립하였다. 한산이씨 대산 종가는 원래 큰 규모의 집이었으나 일제강점기에 3년가량 집을 비워 두어 퇴락하자 이상정의 8세손인 이용원이 1930년대에 규모를 조금 줄여 새로 건립하였다. / 정침은 정면 5칸, 측면 5칸의 완전 ‘ㅁ’자형 건물이다. 정면의 가운데 칸에 중문간을 두고, 우측에 사랑방 2칸통을 앉혔으며 좌측에는 광 2칸을 배열하였다. 사랑 공간은 정면에 툇마루를 앞마당 쪽으로 돌출하여 시설하고 다른 공간보다 높은 팔작지붕을 얹어 사랑 공간의 위용을 드러내게 하였다. 사랑 공간에 사랑 대청을 두는 것이 전형적인 모습인데, 한산이씨 대산 종가는 툇마루를 넓게 하여 사랑 대청을 대신하도록 하였다. 툇마루 전면에는 계자각(鷄子脚) 난간이 설치되어 있고, 우측면으로는 쪽마루가 시설되어 있다. 안채는 중문간에 들어서면 안마당 건너에 앉아 있다. 안방 좌측에는 1칸 식방(食房)과 1.5칸 부엌, 그리고 1칸 창고와 반 칸 통래간이 뻗어 좌익사(左翼舍)를 이루고 있으며, 안대청 우측에는 중사랑방 1칸과 빈소방 2칸, 그리고 통래간 1칸이 연이어져 우익사(右翼舍)를 이루고 있다. 중사랑방은 이상정이 출생한 방이라 하여 ‘태실(胎室)’이라 부르며, 빈소방은 제례 때 사용하는 방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이 부분이 여성의 공간으로 사용되는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안채의 배면과 우익사 주위에 동선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쪽마루를 비교적 많이 깔아 놓았다. 한산이씨 대산 종가는 정면의 중문간 외에 우측면에도 출입문을 두었는데, 문얼굴이 우측면의 것이 훨씬 크고 높아 주 출입구임을 알 수 있으며 현재도 이 문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1900년대 이후부터 주 출입구가 측면으로 옮겨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한산이씨 대산 종가는 이전 시기의 중문간 수법을 준용한 과도기적 유형에 속한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박공지붕집이다. / 한산이씨 대산 종가는 이전에 존재하였던 종택을 본보기로 삼아 1930년대에 건립한 근세 한옥으로, 드물게 전통 양식에 따라 건립하여 보존할 가치가 높다.
  • [종가] 35.안동 한산 이씨 대산 종택, 경북일보, 2016.11.14.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976290
  • 한산이씨대산종가 (韓山李氏大山宗家),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4080000
  • 이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4611 -> 1735년(영조 11) 사마시와 대과에 급제하여 가주서가 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1739년 연원찰방(連原察訪)에 임명되었으나, 이듬해 9월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와 대산서당(大山書堂)을 짓고 제자 교육과 학문 연구에 힘썼다. 1755년 벼슬을 버리고 돌아와 고신(告身)을 박탈당하였다. 그 이후로는 오직 학문에만 힘을 쏟아 사우들과 강론하고, 제자를 교육하는 데 전념하였다. 이상정은 이황(李滉) 이후 기호학파에 비해 상대적으로 침체된 영남학파에서 이황의 계승을 주창하고 일어난 이현일·이재로 이어진 영남 이학파의 중추적 인물이다. 이상정은 외할아버지 이재를 통해 영남 이학파의 학풍을 계승하는 한편, 그 근원이 되는 이황의 사상을 계승하고 정의하는 입장에서 사상적 터전을 마련하였다. 이상정의 학문적 흐름은 동생 이광정(李光靖)과 남한조(南漢朝)를 통해 유치명(柳致明)으로 이어지고, 이진상(李震相)에 이르러 유리론(唯理論)으로 전개되었으며, 조선 말기에 이르러서는 곽종석(郭鍾錫)으로 계승되었다.
  • 대산종택, 경북북부권문화정보센터. https://www.cultureline.kr/html/contents/focus/01.html?mode=view&aseq=17309
  • 망호리 한산이씨 집성촌,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1159
  • 대산종택 홈페이지. https://daesanjongtaek.modoo.at/?link=c9td5nwq

주석

  1. 대산종택, 경북북부권문화정보센터. https://www.cultureline.kr/html/contents/focus/01.html?mode=view&aseq=17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