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서원
서산서원 |
|
대표명칭 | 서산서원 |
---|---|
한자 | 西山書院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원리 산9번지 외 7필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북도 기념물 제43호 |
지정(등록)일 | 1983년 9월 29일 |
분류 |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원 |
수량/면적 | 22,176㎡ |
웹사이트 | 서산서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서원은 조선 시대에 세워진 사립 교육기관으로, 선현에 대한 제사와 교육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서산서원은 고려 시대의 문신이자 학자인 목은 이색(牧隱 李穡)과 이색의 10대손인 이홍조(李弘祚)를 기리는 서원이다. 서산서원의 역사는 이색을 추모하기 위해 영조 47년(1771)에 세운 서산사(西山祠)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이홍조를 추가로 모셨고, 고종 5년(1868) 서원철폐령으로 헐렸다가 1962년에 다시 세워졌다. 이색은 고려 공민왕(1351~1374 재위)의 개혁부터 조선의 건국까지 격동의 시대를 거치며 끝까지 고려에 대한 절개와 의리를 지킨 인물이다. 여러 요직을 두루 거쳐 재상의 자리에 올랐으며, 대학자로도 이름을 떨쳤다. 조선 건국 후에는 조정에 머물라는 태조(1392~1398 재위)의 권유를 끝내 거절하고 전국을 유람하다가 생을 마쳤다. 이홍조는 어려서 아버지를 잃고 류성룡의 딸인 어머니와 함께 외가인 하회에 머물며 학문을 익혔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켰으며, 안동 소호리(지금의 망호리 지역)에 정착하여 한산 이씨 수은공파의 파조*가 되었다. 이 서원에는 외삼문,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 강당, 내삼문, 사당이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사당 오른편에는 제사 준비를 위한 전사청이 있다.
- 파조(派祖): 같은 갈래에서 갈리어 나온 파(派)의 첫 번째 조상
영문
Seosanseowon Confucian Academy
A Confucian academy, called seowon in Korean, is a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at usually combined the functions of a Confucian shrine and a lecture hall.
Seosanseowon Confucian Academy is dedicated to the civil official of the Goryeo period (918-1392) Yi Saek (1328-1396) and his tenth-generation descendant Yi Hong-jo (1595-1660). The history of the academy goes back to Seosansa Shrine built to venerate Yi Saek in 1771. Later, Yi Hong-jo was also added to the shrine, but in 1868 it was demolished when most shrines and Confucian academies were shut down by a nationwide decree. The shrine was rebuilt in 1962 and received the status of a Confucian academy in 1976*.
Yi Saek was renowned for his steadfast loyalty to the Goryeo dynasty throughout the turbulent period of its collapse and the rise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During the reign of King Gongmin (r. 1351-1374) of the Goryeo dynasty, he served various high-ranking official posts including the chief minister and became an esteemed scholar. After the Joseon dynasty established its rule, he refused the requests of King Taejo (r. 1392-1398) that he remain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raveled around the country until his death.
Yi Hong-jo lost his father at an early age and lived with his mother in her hometown Hahoe Village, Andong. He mobilized a local civilian army during the Manchu invasion of 1637. Having settled in the area of Mangho-ri Village in Andong, Yi Hong-jo became the progenitor of the Sueungong Branch of the Hansan Yi Clan.
The complex consists of a main gate, two dormitories, a lecture hall, an inner gate, and a shrine, all arranged in a straight line. Located to the right of the shrine is a ritual preparation hall.
- Here(https://blog.naver.com/bh7498/220824214228), they say it got the status of seowon in 1976 after the reconstruction. Although, here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695) it is mentioned that it had served the functions of a 지방교육 facility prior to its demolition in 1868.
영문 해설 내용
서원은 조선시대에 설립된 사설교육기관으로, 선현 제향과 교육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서산서원은 고려시대의 문신이자 학자인 이색(1328-1396)과 이색의 10대손인 이홍조(1595-1660)를 기리는 서원이다. 서산서원의 역사는 이색을 추모하기 위해 1771년에 세운 서산사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이홍조를 추가로 모셨고, 1868년 서원철폐령으로 헐렸다가 1962년에 다시 세워졌다.
이색은 고려 공민왕(재위 1351-1374)의 개혁부터 조선의 건국까지 격동의 시대를 거치며 끝까지 고려에 대한 절개와 의리를 지킨 인물이다. 여러 요직을 두루 거쳐 재상의 자리에 올랐으며, 대학자로도 이름을 떨쳤다. 조선 건국 후에는 조정에 머물라는 태조(재위 1392-1398)의 권유를 끝내 거절하고 전국을 유람하다가 생을 마쳤다.
이홍조는 어려서 아버지를 잃고 어머니와 함께 외가인 안동 하회마을에 머물며 학문을 익혔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켰으며, 지금의 안동 망호리 지역에 정착하여 한산이씨 수은공파의 파조가 되었다.
이 서원에는 외삼문, 기숙사인 동재와 서재, 강당, 내삼문, 사당이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사당 오른편에는 제사 준비를 위한 전사청이 있다.
참고자료
- 서산서원,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695 -> 1771년(영조 47) 이색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영당(影堂)인 서산사(西山祠)로 건립되었다. 이색의 10세손인 수은(睡隱) 이홍조(李弘祚, 1595~1660)를 추가로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해 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1962년 후손들이 뜻을 모아 다시 지은 것이다. 1976년 유림의 공의로 서산서원으로 승격되었다. / 건물은 명교당, 숭덕사, 내삼문, 강수재, 존양재, 외삼문, 전사청, 주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당인 명교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정면 5칸 중 중앙 3칸을 대청으로 하였고, 양측 칸은 통간의 온돌방으로 꾸몄다. 대청 뒤쪽 판벽에는 매 칸 중앙에 양개판문을 달았는데, 문틀 아래 윗면 중앙에 중간창설주를 세웠던 홈이 문틀에 남아 있다. 근년에 판문을 새로 만들고 문틀에 나무를 덧대어 보수하는 과정에서 중간창설주를 뽑아버린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러한 2연 독창 형식의 흔적이 1700년대 건물에 남아 있는 예는 흔치 않다. 강당 뒤편에 단청한 내삼문과 토석 담장으로 둘러싸인 숭덕사는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사당으로서 높이 1m 가량의 축대를 쌓은 뒤에 세운 초익공계의 5량가 건물이다. 강수재 및 존양재는 강당 앞면에 대칭으로 배치된 동재와 서재에 해당하는 건물인데, 그 평면도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당 쪽으로 2통칸의 온돌방과 툇마루가 병렬로 꾸며져 있고, 외측 2칸은 누마루 형식으로 되어 있는 건물로 근년에 건립한 것이다.
- 서산서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700430000 -> 이 서원은 조선 영조 47년(1771)에 세웠다. 이색의 10대손인 이홍조를 추가로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해 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1962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경내 건물로는 사당과 강당 등 주요 건물과 동재·서재, 제물을 준비하여 두던 전사청과 관리인의 숙소인 주사 등 부속시설이 있다.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해마다 3월과 9월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 서산서원, 안동관광 http://www.tourandong.com/public/sub4/sub4.cshtml?seq=553&page=10&searchKey=0&search= -> 조선영조 47년(1771)에 목은(牧隱) 선생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목은영당(牧隱影堂)인 서산사(西山祠)를 세웠고, 1976년 사림(士林)의 공의로 서원으로 승격하여 목은 선생을 배향하고 선생의 10대손 수은(睡隱) 이홍조(李弘祚, 1595∼1660) 선생을 종향(從享)했다. 묘우인 숭덕사는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맞배지붕으로 이색 영정을 보관하고 있으며 이색을 주향(主享)으로 하고, 이홍조의 위패를 봉안했다. 강당인 명교당은 서원의 각종 행사와 유림의 회합 및 학문 강론 장소로 사용되는데, 가운데 마루를 두고 양옆에 협실을 배치하였다. 향사 때에 동북쪽 방은 대신(臺臣)들이 사용하고 서쪽 방은 유사들과 집례, 축관이 사용하였다. 향사 때 사용하는 제물은 장만하여 전사청에 보관하였다. /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고종 5)에 훼철되었다가 1962년에 후손들이 복원하였다.
- “한국정신문화의 원류, 書院을 찾아서, <12>정신문화의 1번지, 안동의 서원 … 서산서원(西山書院)”, 대경일보, 2017.04.18. https://www.dk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7850 -> 경북 안동시 일직면 원리에 있는 서원이다. 1771년(영조 47년) 지방유림의 공의로 목은(牧隱) 이색(李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목은영당(牧隱影堂)인 서산사(西山詞)를 세웠고, 1868년(고종 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1960년 사림의 공의로 복설하고 서원으로 승격하여 목은 이색을 배향하고, 선생의 10대손인 수은(睡隱) 이홍조(李弘祚)를 종향하였다. 서원에서는 3월과 9월 중정(中丁)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1983년 경북기념물 제43호로 지정되었다. / 조선 중기문신이자 의병장, 수은(睡隱) 이홍조(李弘祚)(1595-1660) ; 이홍조 관련 연혁 (1595년(선조 28년) 전라도(全羅道) 함열(咸悅)출생이다. 조부는 이대형(李大馨), 부친은 찰방을 지낸 해산(海山) 이문영(李文英), 어머니는 풍산류씨(豊山柳氏)로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딸이다. / 8세 되던 해에는 모친을 따라 외가인 안동 하회에 가서 외조부 서애 류성룡에게 글을 익혔다. 이후 13세부터는 막내 외숙인 수암(修巖) 류진에게 본격적으로 배우며 학문과 덕행을 익혀 나갔다. 인조반정 이후 몇 차례 향시에 합격했으나 한양에서 치르는 성시에는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 1636년(인조 14년) 43세 때 병자호란이 터져 인조가 남한산성에 포위되자 안동 인사들의 추대로 의병장이 되어 의병을 모집하였다. 서둘러 의병을 이끌고 길을 재촉하는 도중 참판 전식(全湜)이 영남의병대장이 되어 문경고을에 머물고 있음을 듣고 문경으로 달려갔다. 함께 군사를 모의하고 의병을 격려하고서 남한산성을 향해 행군을 서두를 즈음 적에게 항복하여 남한산성의 포위가 풀렸음을 듣고 군사를 해산하고 돌아왔다. / 이홍조는 경상도 안동부 일직현 소호리(蘇湖里, 현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에 자리를 잡아 수은공파(睡隱公派, 일명 안동소호리파)의 시조가 되어 후손들이 안동에서 번창하게 되었다.
- 서산서원, 한국서원연합회. http://www.seowonstay.com/bbs/board.php?bo_table=slist&wr_id=1075&sca=&sfl=wr_subject&stx=%EC%84%9C%EC%82%B0%EC%84%9C%EC%9B%90&sop=and
- 이홍조,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1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