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성읍객사
HeritageWiki
팽성읍객사 |
|
![]() "경기도지정 유형문화재", 평택시史, 평택시. |
|
대표명칭 | 팽성읍객사 |
---|---|
한자 | 彭城邑客舍 |
주소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동서촌로 101-3 |
지정(등록) 종목 | 시도유형문화재 제137호 |
지정(등록)일 | 1989년 6월 1일 |
분류 |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일곽 |
웹사이트 | "팽성읍객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팽성읍객사는 왕을 상징하는 전패(殿牌)를 모시고 관리들이 한달에 두번 궁궐을 바라보며 행하는 예(절)을 하던 곳이며, 다른 지방에서 온 관리들이 머물던 숙소로 사용되었다.
조선 성종 19년(1488)에 크게 지었으며, 그 후로 2번의 수리를 거쳤다. 일제시대에는 양조장으로 바뀌었다가 주택으로 사용되었는데, 1994년 해체·수리하면서 옛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현재는 대문간채와 본채가 남아 있으며, 규모가 그리 크지 않지만,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객사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 전패(殿牌) : 조선시대 지방관청의 객사(客舍)에 왕의 초상을 대신하여 봉안하던 목패(木牌).
영문
영문 해설 내용
객사는 각 고을에 설치했던 관아로, 고을 수령이 망궐례를 행하거나 관리나 사신이 숙소로 사용했던 시설이다.
팽성읍객사는 조선시대 팽성현의 객사이다. 망궐례가 행해지는 건물인 정청을 중심으로 숙소로 사용되는 동헌과 서헌이 양 옆에 있다. 정청은 동헌과 서헌보다 높게 지어졌으며 지붕 위 용마루의 양 끝에는 용 모양의 장식 기와가 올려져 있다. 이와 같은 기와는 맞은 편 대문의 지붕 용마루에도 놓여져 있는데, 이는 관아로서의 위엄을 나타냈다.
이 객사는 성종 19년(1488)에 지어졌으며, 그 후로 2번의 수리를 거쳤다. 일제강점기에는 양조장으로 바뀌었다가 주택으로 사용되었으며, 1994년 복원되었다.
- 망궐례: 직접 궁궐에 나아가서 왕을 뵙지 못할 때 멀리서 궁궐을 바라보고 행하는 예
참고
- 팽성읍객사, 경기문화재연구원.
- 팽성읍 객사, 경기건축포털.
- 팽성읍객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경기도문화재 : 육구삼+ 팽성읍 객사 彭城邑 客舍, 경기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