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금포고택
안동 금포고택 Geumpo House, Andong |
|
대표명칭 | 안동 금포고택 |
---|---|
영문명칭 | Geumpo House, Andong |
한자 | 安東 錦圃古宅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금소중앙길 50-2 (임하면)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07호 |
지정(등록)일 | 2013년 8월 19일 |
분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
수량/면적 | 1곽 |
웹사이트 | 안동 금포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금포고택은 예천 임씨 후손이 거주하는 살림집이다. 이 고택이 있는 금소리는 16세기부터 예천 임씨 후손들이 대대로 살고 있는 집성촌이다. 고택의 이름은 조선 시대의 학자인 금포 임정한(錦圃 林鼎漢)의 호를 따서 지었다. 임정한은 시와 문장에 능하여 학문 연구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금포고택은 19세기에 지은 조선 후기 전통 가옥으로서, 전체적으로 ‘口’ 자형이다. 건축구조가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사랑채가 유난히 높은 독특한 건축 형태를 갖추어 집을 지을 당시 집주인의 위세를 짐작할 수 있다. 2008년에 대대적으로 고쳐 지어졌으며, 현재 한옥 체험 시설로 운영되고 있다.
영문
Geumpo House, Andong
This house was built in the 19th century and belongs to the descendants of the Yecheon Im Clan. Geumso-ri Village where the house is located has been home to many generations of the clan since the 16th century.
The house came into possession of the family in 1906 when it was purchased by Im Ha-il* and was named after his grandfather, the scholar Im Jeong-han (1825-1884) who had Geumpo as his pen name. Im Jeong-han was known as a talented poet and writer, as well as an accomplished scholar.
The house has roughly a square layout with a courtyard in the middle. It harmonizes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landscape. The unusually tall men’s quarters indicates that the owner of this house was a person of high status. The house underwent a large-scale renovation in 2008 and is currently used as a traditional Korean house experience facility.
- I took this info from 참고자료
영문 해설 내용
금포고택은 예천임씨 후손이 거주하는 집으로 19세기에 지어졌다. 이 고택이 있는 금소리는 16세기부터 예천임씨 후손들이 대대로 살고 있는 집성촌이다.
집의 이름은 임하일의 할아버지이자 조선시대의 학자인 임정한(1825-1884, 호: 금포)의 호를 따서 지었다. 임정한은 시와 문장에 능하여 학문 연구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금포고택은 전체적으로 ‘ㅁ’자형이다. 주변의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사랑채가 유난히 높은 독특한 형태를 갖추어 집을 지을 당시 집주인의 위세를 짐작할 수 있다. 2008년에 대대적으로 고쳐 지어졌으며, 현재 한옥 체험 시설로 운영되고 있다.
갤러리
금포고택의 대략적인 평면 구성 [1]
참고자료
- 안동 금포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6070000 -> 안동 금포고택은 건립연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록은 없으나 19세기의 건물로 추정된다. 1906년 임정한의 손자 임하일이 김윤규로부터 구입한 집이 그 출발점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처음에는 초가였지만, 이후 어느 시점에 현존하는 와가로 바뀌었을 것으로 보인다. 2008년에 개변되면서 상당부분을 옛 모습으로 가다듬어 관리상태가 양호하다.
- 금포고택,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beomgu05 -> 고택 주인이 직접 운영하는 블로그. 예약 등이 이루어지며 약식 도면을 그려놓았음.
- 금포고택 錦圃古宅, 320년 고택에 민화가 녹아들다, 월간 민화, 2015.7.14. http://artminhwa.com/금포고택-錦圃古宅-320년-고택에-민화가-녹아들다/ -> 금포고택의 가장 큰 특징은 집안 곳곳에 민화가 걸려있다는 점이다. 고택 여기저기를 장식하는 민화는 대부분 차종부 박금화 씨가 직접 그린 것으로, 각 방마다 걸려 있는 그림이 달라 감상하는 재미가 있다. 숙박객들은 안방과 상방, 사랑방에서 투숙이 가능하다. 이 방들은 실제 예천 임씨 대대로 살아오던 공간으로, 숙박체험을 시작하며 숙박객들이 머무를 수 있게 됐다. 각 방에서 내려다보는 경치가 모두 다른 것도 금포고택에서 찾을 수 있는 또 다른 즐거움이다. / 금포고택은 안동에서도 손꼽히는 문어요리의 명소로, 사전 문의 및 예약을 통해 그 특별한 맛을 볼 수 있다. / 금포고택의 곳곳을 장식한 민화와 안동포는 이곳에서 직접 만든 것들이다. 종부인 박차생 씨가 직접 안동포를 짜고, 그 포 위에 며느리인 박금화 씨가 민화를 그리니 그야말로 생활소품으로서의 민화가 공간을 자연스럽게 아우른다.
- 임정한의 삶과 금포고택,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B010302
- 금소리 예천임씨 집성촌,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1149 -> 마을의 안산(案山)인 비봉산(飛鳳山) 봉우리에서 마을을 내려다보면 마을 앞들에 흐르는 물길이 비단 폭을 펼쳐 놓은 듯하여 금수(錦水)·금양이라 하였다가 비봉산 아래의 오동소(梧桐沼)에는 거문고가 있어야 부합된다는 전설에 따라 금소(琴韶)로 개칭하였다.
- (참고) 조선시대 마마(천연두) 의료서 안동 고택서 발견, 중앙일보, 2019.11.5.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624646 -> 한국국학진흥원 측은 5일 "경북 안동시 임하면 금포고택 문중(예천 임씨)이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한 조선 시대 한국학 관련 고서적들 가운데 마마 전문 의료서인 『보적신방』이 나왔다"고 밝혔다. 조선 시대 의료서 가운데 다른 질병과 함께 마마에 대한 증상·치료법 등을 다룬 의료서는 간혹 발견됐지만, 마마만 전문적으로 다룬 의료서 발견은 이례적이다. 가로 7㎝ 세로 19㎝ 크기의 한지 60쪽 분량인『보적신방』은 1806년에 쓰인 것으로 추정됐다. 퇴계학파 관료 학자인 권방(1740∼1808)이 쓴 서문이 책 첫 장에 붙어 있어서다. 저자는 당시 중인 신분에 속한 전의감 직장을 지낸 의원 변광원이다. 그는 마마의 원인과 예방법·해독법, 임상을 통한 경험을 상세히 담았다.
주석
- ↑ 금포고택 도면 안내, 금포고택,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beomgu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