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조선태조어진

HeritageWiki
Lyndsey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6월 21일 (화) 09:08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태조어진
Portrait of King Taejo of Joseon
조선태조어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조선태조어진
영문명칭 Portrait of King Taejo of Joseon
한자 朝鮮太祖御眞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태조로 44-0 (풍남동3가, 경기전 경기전) 어진박물관
지정(등록) 종목 국보 제317호
지정(등록)일 2012년 6월 29일
분류 유물/일반회화/인물화/초상화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폭
웹사이트 조선태조어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어진은 왕의 초상화이다. 조선태조어진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초상화로 조선왕조를 상징한다.

전주는 태조 이성계의 선조들이 살았던 조선 왕실의 본향이다. 조선은 건국 후 태종 10년(1410)에 조선왕실이 일어난 전주에 태조의 어진을 봉안하였다. 그 후 경기전에 모신 태조어진이 낡아서, 고종 9년(1872)에 태조어진을 모사*하여 다시 모셨다.

태조어진은 전주를 비롯해 태조가 태어난 영흥, 고구려의 왕도 평양, 신라의 왕도 경주, 고려의 왕도 개경 등 지방 5곳에 모셨으나 현재는 전주 경기전의 태조어진만이 유일하게 남아 있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권위와 위엄이 돋보이는 태조어진은 왕이 평상시 집무할 때 입는 청색의 곤룡포에 모자인 익선관을 쓰고 검은 가죽신을 신은 전신상으로, 가슴과 어깨에는 왕을 상징하는 다섯 발톱을 가진 용이 그려져 있으며, 비단의 뒷면에 색을 칠하여 색감이 앞으로 배어 나오게 하는 배채법으로 그려져 색감이 은은하고 깊다.

또한 고종 9년에 새로 모신 태조어진은 경기전의 태조어진을 모사하여 숙종 14년(1688)에 한양 영희전**에 모신 어진을 다시 모사한 것이어서, 조선 초기의 어진 제작기법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다.

현재 경기전 정전에 모셔진 태조어진은 1999년에 모사한 것이며, 국보로 지정된 조선태조어진 진본은 어진박물관에 모셔져 있다.


  • 모사(模寫): 어떤 그림을 본보기로 그와 똑같이 본을 떠서 그림
  • 영희전(永禧殿): 조선시대 태조·세조·원종·숙종·영조·순조의 어진을 모셨던 한양의 전각

영문

Portrait of King Taejo of Joseon

This is the portrait of the founding king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Yi Seong-gye (1335-1408), known posthumously as King Taejo (r. 1392-1398). Made in 1872, this portrait is of particular value as it is the only remaining Joseon-period portrait of the king. It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Treasure in 2012.

The king is depicted in an imposing and stately manner appropriate for a founding king. He is seated on a throne wearing his daily uniform, consisting of a blue robe, a winged cap, and black leather boots. The shoulders and chest of the robe are decorated in gold with five-clawed dragon designs, which symbolize the sovereign. Painted on a silk canvas, the portrait uses a coloring technique whereby paint is applied to the back of the canvas to let it seep through to the front, thus creating deep and subtle colors.

In Korea, portraits are traditionally held in shrines as an object of ancestor veneration. The veneration of a dynasty's founder, who was the progenitor of the kingdom, was of particular importance to ensure the country's prosperity. Thus, during the Joseon period, portraits of King Taejo were kept in several shrines across the country. One of the most important of these shrines was located in Jeonju, as Jeonju is where the Yi Clan, to which King Taejo belonged, originated. A portrait of King Taejo was first enshrined in Jeonju in 1410 at the then newly built Eoyongjeon Shrine (renamed Gyeonggijeon in 1442).

As portraits were subject to deterioration over time, they were reproduced over the years. The first portrait enshrined in Jeonju was made in 1409 based on the original 1398 portrait kept in Gyeongju. In 1688, the Jeonju copy served as the model for a copy that was placed in Yeonghuijeon, a shrine in the capital dedicated to the Joseon kings. The current portrait was reproduced from the Yeonghuijeon copy, as the original 1409 Jeonju copy had deteriorated. Thus, despite having been made in the late 19th century, this portrait preserve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and style of the early Joseon period.

To ensure its preservation, the portrait has been kept at the Royal Portrait Museum since 2010. To show how it would have originally been enshrined, a copy made in 1999 is now exhibited in the main hall of Gyeonggijeon Shrine.

  • 안내판이 경기전에 설치되는 경우
    • 첫문단 : Enshrined in the main hall of Gyeonggijeon Shrine, this portrait, made in 1999, is a copy of an 1872 portrait of the founding king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Yi Seong-gye (1335-1408), known posthumously as King Taejo (r. 1392-1398). The original 1872 portrait is of particular value as it is the only remaining Joseon-period portrait of the king. To ensure its preservation, the original portrait has been kept at the Royal Portrait Museum, located behind Gyeonggijeon Shrine, since 2010. In 2012, it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Treasure.
    • 마지막 문단 : 생략


  • 역사 이야기 길어서 어진 모습을 묘사하는 부분을 앞으로 옮기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 If we add the royal palace and Yeonghuijeon that’s already seven locations. Here it says there were 26 official portraits in total.
    • 태조어진이 보관한 곳이 안드리가 말한 것처럼 약간 복잡하고 외국인들이 어차피 지명 잘 모를 것 같아서 제가 이 부분을 생략했고 대신에 외국인들이 잘 모를 수 있는 조상숭배와 어진의 중요성에 대한 배경정보를 추가했어요.
      • -->생략 : The portraits were kept at five location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the home of King Taejo’s ancestors Jeonju, his birthplace Yeongheung, and the capital cities of the predecessor kingdoms Goguryeo (37 BCE-668 CE), Silla (57 BCE-935 CE), and Goryeo (918-1392), namely, Pyeongyang, Gyeongju, and Gaegyeong (present-day Gaeseong).

영문 해설 내용

이 초상화는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1335-1408, 재위 1392-1398)를 그린 것으로 조선왕조를 상징하는 문화유산이다.

조선시대 태조어진은 태조의 선조들이 대대로 살았던 전주를 비롯해 태조가 태어난 영흥, 고구려의 왕도 평양, 신라의 왕도 경주, 고려의 왕도 개경 등 지방 5곳에 모셨으나 현재는 전주의 태조어진만이 유일하게 남아 있다.

조선 건국 후인 1410년 태조의 어진이 전주에 봉안되었고, 어진을 모신 곳을 경기전이라 이름하였다. 1410년 처음 경기전에 모신 어진은 1398년 경주에 모셔진 본을 모사한 것이었다. 1688년 역대 왕들의 어진을 모시기 위해 한양에 영희전을 세울 때에는 당시 경기전 본을 모사하였다. 세월이 지나 경기전에 모신 어진이 낡게 되자, 1872년 영희전 본을 모사하여 다시 모셨다. 따라서 태조어진은 조선 건국 초에 제작된 태조어진의 원래 모습과 양식적 특징을 잘 보존하고 있다. 현재 경기전 정전에 모셔진 태조어진은 1999년에 모사한 것이며, 국보로 지정된 진본은 경기전 경내에 있는 어진박물관에 모셔져 있다.

태조어진은 왕이 평상시 집무할 때 입는 청색의 곤룡포에 익선관을 쓰고 검은 가죽신을 신은 전신상으로,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권위와 위엄이 돋보인다. 가슴과 어깨에는 왕을 상징하는 다섯 발톱을 가진 용이 그려져 있으며, 비단의 뒷면에 색을 칠하여 색감이 앞으로 배어 나오게 하는 배채법으로 그려져 색감이 은은하고 깊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