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도산서당(부 고산숙)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6월 16일 (목) 15:19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도산서당(부고산숙).jpg |사진출처=[https://www.sj.go.kr/tour/page.do?con_uid=2864&cmd=2&code_uid=119&srchCode=119&mnu_uid=3760...)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도산서당(부 고산숙)
파일:도산서당(부고산숙).jpg
도산서당, 도지정문화재, 성주문화관광.
대표명칭 도산서당(부 고산숙)
한자 道山書堂(附 高山塾)
주소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문방3길 25-11(문방리)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기념물 제59호
지정(등록)일 1985년 10월 15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당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415㎡
웹사이트 도산서당(부 고산숙),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도산서당

서당과 서원은 조선시대의 사립학교로, 서당은 초등 교육을 맡았으며 서원에서는 고등교육이 이루어졌다.

이 서당은 조선 정조 23년(1799) 홍우범(洪宇範, 1777~1856)이 초가집을 세워 ‘죽림재’라 하고 교육을 시작한 데서 비롯되었다. 순조 6년(1806) 그 후손들이 서당을 확장하여 ‘대방재’로 이름을 바꾸고, 배우고자 하는 자는 신분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와서 배울 수 있게 하였다. 그 후 운영을 계승한 홍우범의 조카 홍영이 부족한 공간을 보완하고자 문중의 뜻을 얻어 철종 11년(1860)에 현재의 위치에 서당을 확장하여 세우고, ‘도산서당’이라 하였다.

조선 말엽의 건축물로 특이한 형태는 아니지만 오늘날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양식으로 조선 말기의 건축을 대표하는 형태이다. 또한 신분을 차별하지 않는 평등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많은 인재들을 양성하였다. 6·25전쟁 이후부터 1966년까지 상록학원을 개설하여 글을 모르는 사람들에게 교육하여 국가 및 지역 문화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고산숙

서당과 서원은 조선시대의 사립학교로, 서당은 초등 교육을 맡았으며 서원에서는 고등교육이 이루어졌다.

이 서당은 조선 정조 23년(1799) 홍우범(洪宇範, 1777~1856)이 초가집을 세워 ‘죽림재’라 하고 교육을 시작한 데서 비롯되었다. 순조 6년(1806) 그 후손들이 서당을 확장하여 ‘대방재’로 이름을 바꾸고, 배우고자 하는 자는 신분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와서 배울 수 있게 하였다. 고종 9년(1872)에 성산 이씨 문중의 이문승이 중심이 되어 기존의 ‘대방재’를 고쳐짓고, 이름을 고쳐 ‘고산숙’이라 하였다.

조선 말엽의 건축물로 특이한 형태는 아니지만 오늘날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양식으로 조선 말기의 건축을 대표하는 형태이다. 또한 신분을 차별하지 않는 평등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많은 인재들을 양성함으로써 국가 및 지역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영문

도산서당

고산숙

영문 해설 내용

도산서당

서당은 마을 단위로 설립한 초등 단계의 사설교육기관으로, 주로 유학에 바탕을 두고 한문을 가르쳤다.

도산서당은 1799년 학자 홍우범이 초가집을 세워 학생들을 가르치기 시작한 데서 비롯되었다. 1806년 그 후손들이 서당을 확장하여 ‘대방재’로 이름을 바꾸었고, 배우고자 하는 자는 신분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와서 배울 수 있게 하였다. 홍우범의 조카 홍영이 서당 운영을 이어받은 후에는 부족한 공간을 보완하고자 1860년에 현재의 위치에 서당을 옮겨 확장하고 ‘도산서당’이라 이름을 붙였다. 도산서당에서는 신분을 차별하지 않는 평등교육을 실시하며 많은 인재들을 양성하였다. 한국전쟁 이후부터 1966년까지는 이곳에 상록학원을 개설하여, 국가 및 지역 문화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도산서당은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온돌방을 두었다. 오늘날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양식이며, 조선 말기의 건축을 대표하는 형태이다.

고산숙

고산숙은 1872년 성산이씨 문중의 이문승이 중심이 되어 세운 서당이다.

문방리 마을에는 1799년 학자 홍우범이 초가집을 세워 학생들을 가르치던 서당이 있었다. 1806년 그 후손들이 서당을 확장하여 ‘대방재’로 이름을 바꾸었고, 배우고자 하는 자는 신분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와서 배울 수 있게 하였다. 1860년 서당이 다른 곳으로 옮겨 확장되면서 ‘도산서당’이라 하였고, 대방재가 있던 자리에는 1872년 기존의 건물을 고쳐 지어 서당을 짓고 ‘고산숙’이라 하였다. 고산숙에서는 신분을 차별하지 않는 평등교육을 실시하였고, 많은 인재들을 양성함으로써 국가 및 지역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