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상의 묘
박원상의 묘 |
|
![]() 박원상의 묘, 두피디아. |
|
대표명칭 | 박원상의 묘 |
---|---|
한자 | 朴元象의 墓 |
지정(등록) 종목 |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42호 |
지정(등록)일 | 2000년 2월 18일 |
분류 | 유적건조물/무덤/무덤/기타 |
수량/면적 | 1기 |
웹사이트 | 박원상의 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박원상(朴元象)은 고려 말의 문신으로 본관은 순천이다. 고려시대 공조전서를 역임하였다고는 하나 자세한 이력은 전하지 않는다.
박원상의 아버지는 순천 박씨 중시조(쇠퇴한 가문을 다시 일으킨 조상)로 고려 말 대제학을 지낸 박숙정(叔貞)이며, 어머니는 남양 홍씨이다. 박원상에게는 네 명의 아들이 있는데 그중 셋째인 안생(安生)과 그의 아들 중림(仲林)이 각각 박팽년의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된다.
박원상의 묘소는 정확한 조성 시기를 알 수 없지만 송시열이 지은 비문에 따르면 고려 말경에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부부의 묘소가 상하 이 단으로 조성되어 있는 것도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한다.
묘비는 1665년 12월에 처음 세워졌지만 현재의 비는 1751년에 세운 것이며, 한국전쟁 때 총탄에 파인 흔적이 여러 곳에 남아 있다.
박원상의 묘는 순천 박씨의 묘 중에서 후손에 의해 그 직계 선조의 묘임이 확인된 것 중 가장 오래된 것이어서 순천 박씨의 연원을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고려 말의 문신인 박원상의 묘소이다. 박원상의 자세한 이력은 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순천박씨의 묘 중에서 후손에 의해 그 선조의 묘임이 확인된 것 중 가장 오래된 것이어서 순천박씨의 연원을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순천박씨의 시조는 고려 건국에 기여한 박영규이다. 그 이후의 계보는 전해지지 않으며, 박원상의 아버지인 박숙정이 순천박씨를 중흥시킨 중시조로 알려져 있다. 박원상의 증손자 박팽년(1417-1456)은 조선시대의 문신으로, 문장과 글씨로 이름이 높았으며 조선의 대표적인 충신의 한 사람으로 손꼽힌다.
박원상의 묘소는 고려 말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부부의 묘소가 앞뒤로 배치되어 있다.* 묘소 앞에는 상석, 향로석, 묘비가 있다. 묘비는 1751년에 세운 것이며, 한국전쟁 때 총탄에 파인 흔적이 여러 곳에 남아 있다.
- 박원상의 묘가 앞의 것인지 뒤의 것인지 확인 안됨.
참고자료
- 순천박씨 중앙종친회. http://www.suncheonpar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