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안동권씨 송파재사

HeritageWiki
Kurt1166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4월 27일 (수) 04:33 판 (202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안동권씨 송파재사
안동권씨 송파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동권씨 송파재사
한자 安東權氏 松坡齋舍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교리향교길 31 (교리)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26호
지정(등록)일 2001년 11월 1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廓
웹사이트 안동권씨 송파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2016

안동권씨 복야공(僕射公) 묘단(墓壇)과 판서공파의 파조(派祖)인 권인(權靷)의 묘를 수호하고 제사를 지내기 위해 지은 건물이다. 1743년(영조 19)에 8칸의 기와집으로 창건하였다가 1746년(영조 22)과 1748년(영조 24)에 증축하여 지금과 같은 모습을 유지해 오고 있다.

이 재사는 대문채의 양 끝이 몸채보다 한 칸씩 튀어나온 ‘口’자형 건물이다. 특히 대청과 서재에 설치된 창호는 건축 연대를 가늠 할 수 있는 귀한 형식이다. 1748년 중건 당시의 평면구성과 양식에 큰 변화 없이 옛 양식을 잘 보전하고 있으며, 특이한 창호유형을 잘 보여주고 있는 건물이다.

2022

송파재사는 안동 권씨 복야공파의 시조인 권수홍(權守洪)의 묘단*과 권수홍의 5대손이자 판서공파의 시조인 권인(權靷)의 묘소를 수호하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재사의 이름은 권인의 호에서 따왔으며, 재사 동쪽 언덕에 묘단과 묘소가 있다.

이곳은 조선 영조 19년(1743)에 권인의 묘제**를 위한 재사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영조 22년(1746)에 규모를 늘리고, 영조 24년(1748)에 다시 고쳐 지으면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권수홍의 묘단이 이곳에 설치된 것은 1994년이다. 권수홍의 묘소는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다.

이 재사는 몸채, 좌우 날개채, 대문채가 서로 연결되어 ‘口’ 자형 구조를 이루고 있다. 대문채의 양쪽 끝은 몸채보다 한 칸씩 튀어나온 형태이다. 전체적으로 1748년 고쳐 지을 때의 평면 구성과 형태에서 크게 바뀌지 않고 옛 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으며, 몸채의 대청과 왼쪽 날개채의 방에는 가운데에 기둥을 세운 형태의 창호가 설치되어 있다.


  • 묘단(廟壇): 실제 묘를 대신하여 제사를 지내기 위해 설치한 단
  • 묘제(墓祭): 무덤 앞에서 지내는 제사

영문

2016

This is a ritual house for preparing ceremonial rituals and maintaining the tomb of Gwon In, the founder of the Panseogong Branch of the Andong Gwon Clan, and the tomb altar of Gwon Su-hong, the 5th-generation ancestor of Gwon In.

The ritual house was first built in 1743, and was expanded twice in 1746 and 1748 to its present appearance. The gate quarters in front of the main quarters has a wing at each side, and the overall floor plan and architectural style of the entire building have been well-preserved since their modifications in 1748. The windows in the wooden-floored hall and the western quarters have a post at the center of their frame, and this unique style was popularly used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y.

2022

Songpajarsa is a ritual house for preparing ceremonial rituals and maintaining the tomb altar of Gwon Su-hong and the tomb of his fifth-generation descendant Gwon In. Both men are patriarchs of the Andong Gwon Clan and the founders of its Panseogong and Bokyagong Branches, respectively. The tomb and the tomb altar are located on the hill to the east of the ritual house. The ritual house was named after Gwon In’s pen name Songpa.

It is unknown when the ritual house was first established but the veneration ceremony for Gwon In started taking place here in 1743. In 1746, the ritual house underwent an expansion and in 1748, a reconstruction. The tomb altar of Su-hong was installed here in 1994, as the location of his tomb was unknown.

The ritual house consists of the main quarters, two wing quarters, and a gate quarters, which together form a square layout with a courtyard in the middle. The gate quarters was made wider than the rest of the building **creating pockets of private space on either side of the ritual house. The overall layout of the ritual house has been well-preserved since its reconstruction in 1748. The windows in the wooden-floored hall and the western wing quarters have (a popular in the 17th-18th centuries design featuring***) a post at the center of their frames.


영문 해설 내용

2022

송파재사는 안동권씨 복야공파 파조인 권수홍의 묘단*과 판서공파 파조인 권인의 묘소를 수호하고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재사 동쪽 언덕에 묘단과 묘소가 있다. 재사의 이름은 권인의 호에서 따왔다.

언제 처음 지었는지는 알 수 없고 1743년부터 권인의 묘제를 지내기 위한 재사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1746년에 규모를 늘리고 1748년에 다시 고쳐 지으면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권수홍의 묘소는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어, 1994년 후손들이 권수홍의 5대손인 권인 묘소 근처에 묘단을 설치하였다.

이 재사는 몸채, 좌우 날개채, 대문채가 서로 연결되어 ‘口’자형 구조를 이루고 있다. 대문채의 양쪽 끝은 몸채보다 한 칸씩 튀어나온 형태이다. 전체적으로 1748년 고쳐 지을 때의 평면 구성과 형태에서 크게 바뀌지 않고 옛 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다. 몸채의 대청과 왼쪽 날개채의 방에는 가운데에 기둥을 세운 형태의 창호가 설치되어 있다.

  • 묘단(廟壇): 실제 묘를 대신하여 제사를 지내기 위해 설치한 단.

참고자료

  • 안동권씨 송파재사,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853 -> 1743년(영조 19) 8칸 와가를 매입하여 안동권씨 송파재사로 사용해 오다가 협소하여 1746년(영조 22) 초가 4칸을 증축하였다. 그러나 이 역시 흡족하지 않자 1748년(영조 24) 다시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고쳐 지었다. / 안동권씨 송파재사는 맨 앞쪽 대문채의 양 끝이 한 칸씩 돌출되어 있는 ‘ㅁ’자형 구조를 하고 있다. 대문에 들어서면 가운데 자리한 마당을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기 좌익사(左翼舍)와 우익사(右翼舍)가 배치되어 있고 건너편에 몸채가 놓여 있다. 대문채는 가운데 칸에 대문을 내고 그 좌측으로 온돌방·뒤주·외양간 순으로 배열하였고, 우측으로는 온돌방·광 순으로 배열하였다. 대문채의 좌측 끝과 우측 끝에 각기 외양간과 광이 1칸씩 돌출되어 있다. 몸채는 가운데에 넓은 대청이 자리하고 있다. 좌익사에는 온돌방·서재·통래간을 시설하였고, 우익사에는 온돌방·동재·부엌을 두었다.
  • 안동권씨 송파재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7235 -> 대청과 서재에는 영쌍창(欞雙窓)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건물의 건축연대를 가늠할 수 있는 귀한 창호형식이다. 특히 가운데 설주는 단면 나비를 창틀 두께와 같게 하여 세운 일반형으로, 위쪽은 제비초리맞춤을, 아래쪽은 맞댄맞춤을 베풀고 실내 쪽은 모접기했다. 좌익사 서재의 배면 두 개구부에도 띠살영쌍창이 설치되어 있는데, 두 영쌍창의 가운데 설주는 대청 것과 단면이 다른 ‘T’자형이다. 두께는 우측이 좌측 것보다 약 2배 정도 넓다. 이 재사의 좌익사 서재에 설치된 ‘T’자형 설주는 풍소란대 역할을 겸한 것으로, 이런 유형은 대청의 일반형보다 다소 늦은 17∼18세기에 주로 나타나서 건물의 중건 시기와 일치하고 있다.
  • 복야공파, 안동권씨 홈페이지. http://www.andongkwon.or.kr/page_view.html?page_no=14
  • 복야공파, 안동권씨 대종회. http://www.andongkwon.org/bbs/board.php?bo_table=z2_04
  • 권인,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1231 -> 1374년(공민왕 23)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예의판서(禮儀判書)에 이르렀다. 조선 태조 때 한성좌윤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아니하고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교리 소야촌(所夜村)에 은둔하며 절의를 지켰다. 호를 송파(松坡)라 함은 고려의 수도인 송도(松都)를 잊지 못함을 뜻하는 것이다. 마을 이름인 소야(所夜)를 송파라 함도 여기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 안동권씨 송파재사(安東權氏 松坡齋舍), A Bird Of Paradise, 다음 블로그, 2013.07.09. https://blog.daum.net/elegant0302/2185 -> 안동권씨는 시조 이후 10세(世)를 전후하여 15파로 갈라지는데, 그중에서 추밀원부사공파, 복야공파, 그리고 인가파와 좌윤공파에서 인물이 많이 나왔다. / 복야공파는 복야공 권수홍(權守洪)의 후손들이다. 그의 증손 권한공(權漢功)이 고려 충숙왕 때 시중(侍中, 지금의 총리)을 지냈고, 그의 아들 권중화(權仲和)는 조선 태종 때 영의정에 올랐다. 우찬성(右贊成)을 지낸 권벌, 공조판서 권응수(權應銖) 등도 손꼽히는 인물이다.
  • 안동권씨(安東權氏) 뿌리를 찾아서, kwon, 네이버 블로그, 2022.01.17. https://blog.naver.com/kwon3348/222623810581
  • (참고) 문(門), 호(戶), 영쌍창(欞雙窓), 한옥을 생각하다,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kjn3814/222162200891 -> 영쌍창은 김일진 교수가 제안한 용어이며, 조선 전기와 중기에는 일반적인 형식이었으나 1700년대 이후 사라졌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