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고창 무장객사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4월 21일 (목) 10:45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고창무장객사.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500340000 고창 무장객사], 국...)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창 무장객사
고창 무장객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고창 무장객사
한자 高敞 茂長客舍
지정(등록) 종목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34호
지정(등록)일 1973년 6월 23일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고창 무장객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조선시대 무장현의 객사로 쓰이던 건물이다. 객사는 중앙에 임금을 상징하는 전패*를 모신 정청(正廳)과, 그 좌우에 공무로 찾아온 관리들의 숙소인 익헌(翼軒)이 있는 관아 건물이다.

무장객사는 중앙의 정청이 좌우의 익헌보다 한 칸 앞으로 돌출되었다. 지붕구조는 정청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고, 좌우 익헌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솟을지붕 모양이다. 이 객사는 정청을 수리할 때 발견된 상량문**에 의하면 인조 27년(1649)에 다시 세워진 건물이다. 객사 건물은 1936년부터 1987년까지 면사무소로 사용하면서 일부 고쳤다가, 1990년에 원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객사 정청에는 ‘송사지관(松沙之館)’의 현판이 있다. 조선 태종 17년(1417)에 무송현(茂松縣)과 장사현(長沙縣)을 합치면서 각각 앞글자를 따서 지명을 무장(茂長)이라 했다. ‘송사(松沙)’는 각각 뒷글자를 따서 무장을 달리 표현한 것이다.

무장객사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객사와 기단이 원형대로 잘 남아 있는 유적이다. 객사 건물의 석축 기단을 오르내리는 계단에는 서쪽에 호랑이, 동쪽에 용을 새겼다. 기단 양옆의 모서리 돌에도 연꽃과 화병 그림을 새겼는데 무장객사를 지을 때 사찰의 기단석을 철거해 다시 사용한 것이다. 여기서 성리학을 숭상하고 불교를 억압하던 조선의 숭유억불 정책을 엿볼 수 있다.


  • 전패(闕牌) : 국왕을 상징하는 ‘전殿’자를 새긴 나무패로, 조선시대 고을 객사 안에 모심.
    • 상량문(上樑文) : 건물 지을 때, 최상부 부재인 마룻대를 올리는 상량식의 축문.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