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삼호정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4월 21일 (목) 10:16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502790000 고창 삼호정], 국가문화유산포털,...)
고창 삼호정 |
|
대표명칭 | 고창 삼호정 |
---|---|
한자 | 高敞 三湖亭 |
지정(등록) 종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79호 |
지정(등록)일 | 2021년 4월 9일 |
분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
시대 | 조선후기 |
수량/면적 | 1필지 1동 536㎡ |
웹사이트 | 고창 삼호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삼호정은 영조27년(1751)에 옥천 조씨인 인호 조현동(仁湖 趙顯東), 덕호 조후동(德湖 趙垕東), 석호 조석동(石湖 趙錫東) 삼형제가 인천강변에 은거하며, 글을 읽고 풍류를 즐기려 지은 정자이다. 삼형제의 호는 첫째는 인천강 이름을 따라 인호라고, 둘째는 강물의 성품을 따라 덕호라고, 셋째는 물의 여울 이름을 따라 석호라고 지었다. 모두 호(湖) 자가 있어 삼호정이라고 하였다. 세월이 흘러 정자가 사라지자 고종 1년(1864)에 후손 조윤모와 조한모 등이 다시 지었다.
정자는 규모가 앞면 3칸, 옆면 3칸이고 지붕이 옆에서 보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중앙에 자리한 방을 포함해 바닥은 전체가 마루인데 방 뒤쪽 가운데 마루는 한 단 높게 만든 누마루이다. 이런 평면과 외관은 호남지방 정자의 일반적 특징이다. 정자 건물은 기초석 형태와 처마를 떠받치는 공포의 형식, 부재들의 짜맞춤 수법이 독창적이어서 건축학적 가치가 있다.
정자에는 조후동이 삼호정의 유래와 건립 목적을 쓴 글과 삼형제의 시를 새긴 현판이 있다. 이와 함께 송시열 후손인 입재 송근수가 삼호정을 다시 세운 유래를 쓴 글과 일제강점기 고창 문인인 염재 송태회, 보정 김정회, 학산 김노수 등의 시를 새긴 현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