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유옹주 묘
화유옹주묘 |
|
대표명칭 | 화유옹주묘 |
---|---|
한자 | 和柔翁主墓 |
주소 |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여월동 산 32 |
지정(등록) 종목 | 부천시 향토유적 제7호 |
|
해설문
국문
조선 제21대 왕 영조(1724~1776 재위)의 10번째 딸 화유옹주(和柔翁主, 1740~1777)와 남편 황인점의 합장묘이다. 화유옹주는 영조와 귀인조씨(貴人趙氏, 1707~1780)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영조 29년(1753) 호조참판 황자(黃梓, 1689~1756)의 아들 황인점(黃仁點, 1740~1802)과 혼인하였다.
이 묘는 원래 이곳에서 서쪽으로 약 2km 떨어진 작동에 있었다. 1991년 인근의 도로를 확장하면서 한번 자리를 옮겼고, 2005년 현재 위치로 다시 옮기면서 지금의 모습으로 정비하였다.
봉분 주위에는 낮은 담을 둘렀고, 봉분 앞에는 묘비, 혼이 나와 노닌다는 혼유석, 제물을 차려 놓는 상석, 향로를 올려놓는 향로석 등을 갖추었다. 오른쪽에는 어머니 귀인조씨의 묘가 있다.
1991년 묘를 옮기는 과정에서 부부가 생전에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장신구, 도자기, 생활용품 등의 유물 30여 점이 출토되었다. 이 유물들은 18세기 조선의 궁중과 양반들의 생활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로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영문
Tomb of Princess Hwayu
This is the joint tomb of Princess Hwayu (1740-1777), the 10th daughter of King Yeongjo (r. 1724-1776)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and her husband Hwang In-jeom (1740-1802). Hwang In-jeom, whom she married in 1753, was the son of the vice-minister of taxation Hwang Ja (1689-1756).
Originally, the tomb was located in Jak-dong, about 2 km to the west. It was moved once in 1991 due to road expansion and again to its current location in 2005.
The burial mound is surrounded on three sides by low stone enclosure walls. The stone sculptures in front of the mound include a tombstone, a spirit seat, a table, and an incense table. To the right is the tomb of her mother Lady Jo (1707-1780).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tomb in 1991, around 30 artifacts were found inside, including accessories, ceramics, and everyday items, which are presumed to have been used by the couple when they were alive. These artifacts, which provide important insight into the lifestyle of the 18th-century royal court and upper class, are currently housed in the National Palace Museum.
영문 해설 내용
조선 제21대 왕 영조(재위 1724~1776)의 10번째 딸 화유옹주(1740~1777)와 남편 황인점(1740~1802)의 합장묘이다. 화유옹주는 영조와 귀인조씨(1707~1780)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1753년 호조참판 황자(1689~1756)의 아들 황인점과 혼인하였다.
이 묘는 원래 이곳에서 서쪽으로 약 2km 떨어진 작동에 있었다. 1991년 인근의 도로를 확장하면서 한번 자리를 옮겼고, 2005년 현재 위치로 다시 옮기면서 지금의 모습으로 정비하였다.
봉분 주위에는 낮은 담을 둘렀고, 봉분 앞에는 묘비, 혼유석, 상석, 향로석 등이 있다. 오른쪽에는 어머니 귀인조씨의 묘가 있다.
1991년 묘를 옮기는 과정에서 부부가 생전에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장신구, 도자기, 생활용품 등의 유물 30여 점이 출토되었다. 이 유물들은 18세기 조선의 궁중과 양반들의 생활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로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자료
- 화유옹주의 졸기, 『조선왕조실록』 정조 1년(1777) 5월 21일자 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va_10105021_001
- 황인점을 창성위로 삼아 화유 옹주에게 장가들게 하다, 『조선왕조실록』 영조 27년(1751) 10월 5일자 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ua_12710005_003
- 화유옹주,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6JOc_A1741_2_0019447
- 화유옹주, 위키실록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화유옹주(和柔翁主) → 1751년(영조 27) 영조는 호조 참판(參判)황자(黃梓)의 아들 황인점을 화유옹주의 부마로 결정하고, 창성위로 삼았다.(『영조실록』 27년 10월 5일) 이듬해인 1752년(영조 28) 화유옹주와 황인점의 혼인을 거행하려고 하였으나, 영조와 이영빈(李暎嬪)의 딸인 화협옹주(和協翁主)가 세상을 떠나면서 가례가 연기되었다.(『영조실록』 28년 11월 27일) 그리하여 다시 한 해 뒤인 1753년(영조 29) 화유옹주와 부마 황인점의 혼인식을 거행하였다.
- 화유옹주, 디지털부천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bucheon.grandculture.net/bucheon/toc/GC01601336
- 화유옹주 묘, 디지털부천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bucheon.grandculture.net/bucheon/toc/GC01601179
- 화유옹주 묘 출토 유물, 디지털부천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bucheon.grandculture.net/bucheon/toc/GC01600223
- 부천 황인점, 화유옹주 묘 / 화유옹주의 어머니 귀인 조씨의 묘 / 신생옹주 묘와 함께 주목해 볼 역사의 현장, 김희태의 ‘이야기가 있는 역사여행’, 네이버 블로그, 2020.02.16. https://blog.naver.com/bogirang/221810964918
- <화유옹주 유물전> 2월 민속박물관서, 연합뉴스, 1992.01.29.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3590363 → 화유옹주는 영조의 열번째 딸이자 昌城尉 황인점의 부인으로 이번 전시회에는 화유옹주와 황인점이 살아있을때 사용하던 비녀류, 도자류, 백자그릇류, 등잔구류 등 31점의 유물들이 선보인다. 이들 유물들은 지난 해 6월 경기도 부천시 중구 일대 도로확장공사로 인한 분묘이장 작업중 황인점과 화유옹주 무덤에서 나온 부장품들로 그의 8대 종손이 문화재로 기증, 전시회가 열리게 된 것.
- <참고> [조선왕실의 취향] 공주의 옥잔에 장식된 용… 술 마시면 죽는 벌레가 되다, 한국일보, 2020.6.13.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6101916740216 → 화유옹주 묘는 옹주의 남편인 창성위(昌城尉) 황인점(黃仁點ㆍ?~1802)과의 합장묘이므로, 부장품의 하한시기를 1777년부터 1802년까지로 볼 수 있다. 옥잔을 비롯한 분채병, 녹색유리병, 청화백자잔 등 부장품의 일부는 청나라에서 제작되어 청나라를 자주 다녀왔던 남편 황인점에 의해 청 황실의 증여 또는 사행무역을 통해 조선에 유입되었다고 추정되는 것들이다. 황인점은 1776년(정조원년)부터 1793년까지 사신의 신분으로 총 여섯 차례 청나라 수도에 방문하였는데, 두 점의 옥잔은 청 황실로부터 받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