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규 묘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4월 4일 (월) 12:5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한규 묘
작성자 심자, 향토문화재 제4호 이한규 묘, 심자의 톡톡, 네이버 블로그, 2021.12.24.
대표명칭 이한규 묘
한자 李漢珪 墓
주소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여월동 산55번지
지정(등록) 종목 부천시 향토유적 제4호



해설문

기존 국문

없음.

수정 국문

초안

조선시대의 무관 이한규(李漢珪, 1622~1729)의 무덤으로, 부인 안동권씨와의 합장묘이다.

이한규는 숙종 2년(1676)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영조 4년(1728)에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는 데에 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그는 조선의 4대 임금 세종(世宗, 재위 1418~1450)의 아들인 화의군 이영(和義君 李瓔, 1425~1489)의 후손으로, 그가 부천 지역에 정착한 이후부터 일대에 그의 후손들이 세거하게 되었다.

봉분 주위에는 12간지를 새긴 보호석을 둘렀고, 앞에는 묘비, 상석, 혼유석, 장명등 1기, 망주석 1쌍, 문인석 1쌍 등의 석물을 세웠다. 비문은 정조 4년(1780) 증손자 이문덕(李文德)이 지은 것이다.

묘는 본래 경기도 양주에 있었는데, 영조 19년(1743) 그의 후손들이 지금의 자리로 이장하였다고 한다.

  • 경상남도 진주 촉석루의 표정사 공원 논개사당 뒤편에 그의 선덕을 기려 세워진 선덕비가 있다.
  • 장명등은 일본인이 훔쳐가려던 것을 빼앗아 세워 놓았다고 한다. 묘역에 사당이 있었는데 소실되었고, 하마비는 도굴되어 없어졌다고 한다.
  • 이한규는 부천 일대에 세거하는 전주이씨 화의군파의 입향조로 여겨진다.(디지털부천문화대전 참조)

1차 수정

조선시대의 무신 이한규(李漢珪, 1622~1729)와 부인 안동권씨의 합장묘이다.

이한규는 조선 제4대 왕 세종(1418~1450 재위)의 아홉째 아들인 화의군(和義君, 1425~?)의 6대손이다. 숙종 2년(1676) 무과에 급제하였고 여러 관직을 두루 지냈다. 무관임에도 항상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고, ’장수가 되는 도(道)는 명을 받는 날에 그 집안을 잊어야 하고, 진영을 방비하기로 약속함에 임하여서는 그 어버이를 잊어야 하며, 북채를 두드리면 자기 자신을 잊어야 한다.’며 군관들을 격려하였다.

이한규의 묘는 본래 경기도 양주에 있었는데, 영조 19년(1743) 전주이씨 화의군파 후손들이 지금의 자리로 묘를 옮겼다.

봉분 아랫부분에 돌을 둘렀는데, 이러한 형태는 조선 전기에 유행한 양식이다. 돌에는 12간지를 나타내는 동물을 새겼다. 묘 앞에는 묘비, 제물을 차려 놓는 상석, 혼이 나와 노닌다는 혼유석, 한 쌍의 돌기둥인 망주석, 불을 밝히는 장명등, 문인 모양의 문인석을 갖추었다. 묘비의 비문은 정조 4년(1780) 증손자 이문덕(李文德)이 지었다.

영문

참고자료

  • 이한규 묘, 디지털부천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bucheon.grandculture.net/bucheon/toc/GC01601154
  • 입향성씨, 디지털부천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bucheon.grandculture.net/bucheon/toc/GC01601408 → 전주이씨는 5개 파가 세거하고 있는데, 이옥(李沃)관련항목 보기·이성의(李成義)를 입향조로 하는 효령대군파, 이경(李經)을 입향조로 하는 임영대군파, 이양·이병덕을 입향조로 하는 밀성군파, 이한규(李漢珪)를 입향조로 하는 화의군파, 이명인·이종응(李種應)을 입향조로 하는 덕흥대원군파가 있다. 전주이씨 이외에 이시진을 입향조로 하는 여주이씨, 이형신을 입향조로 하는 덕수이씨도 있다.
  • 이한규,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people.aks.ac.kr/front/dirSer/ppl/pplView.aks?pplId=PPL_6JOc_A1662_1_0024645&curSetPos=0&curSPos=0&category=dirSer&isEQ=false&kristalSearchArea=P
  • 이한규, 디지털부천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bucheon.grandculture.net/bucheon/toc/GC01601253
  • (부천) 형조판서 이한규(李漢珪) 묘-전주이씨-, 개미실 사랑방, 네이버 블로그,2019.01.20. https://blog.naver.com/roaltlf/221441918343 → 묘역 사진 상세.
  • 향토문화재 제4호 이한규 묘, 심자의 톡톡, 네이버 블로그, 2021.12.24. https://blog.naver.com/simjy0/222603830053
  • 화의군,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화의군 → 세종의 여섯째 아들이자 서장자이며, 계유정난 당시 수양대군(세조)에 맞선 육종영 중 한 사람이다. 성종대에 방면되었으나 종친의 지위를 박탈당하였다가 중종대에 복권되었다. / 1425년(세종 7년) 9월 5일, 세종(世宗)과 당시 궁인이었던 강씨(姜氏, 영빈 강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사육신 등의 왕위 복위 거사가 일어났을 때 세조가 화의군에게 묻기를 “성삼문을 파직 처리함이 옳지 않으냐.”는 물음에 화의군은 묵묵부답함으로써 전라도 금산(錦山)에 어머니 강씨와 함께 유배되었다. / 언제 사망하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1489년(성종 20년) 화의군은 자신의 서자를 종적에 편입시켜줄 것을 호소하였다. 화의군의 행적에 관한 기록은 이 기록이 마지막이기 때문에 적어도 1489년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세종의 자녀들 중 가장 장수하였고, 제일 마지막에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