팽성읍객사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6월 21일 (금) 03:21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팽성읍객사.jpg |사진출처="[http://sisa.pyeongtaek.go.kr/bbs/board.php?bo_table=ca06&wr_id=19 경기도지정 유형문화재]", 평...)
팽성읍객사 |
|
![]() "경기도지정 유형문화재", 평택시史, 평택시. |
|
대표명칭 | 팽성읍객사 |
---|---|
한자 | 彭城邑客舍 |
주소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동서촌로 101-3 |
지정(등록) 종목 | 시도유형문화재 제137호 |
지정(등록)일 | 1989년 6월 1일 |
분류 |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일곽 |
웹사이트 | "팽성읍객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팽성읍객사는 왕을 상징하는 전패(殿牌)를 모시고 관리들이 한달에 두번 궁궐을 바라보며 행하는 예(절)을 하던 곳이며, 다른 지방에서 온 관리들이 머물던 숙소로 사용되었다.
조선 성종 19년(1488)에 크게 지었으며, 그 후로 2번의 수리를 거쳤다. 일제시대에는 양조장으로 바뀌었다가 주택으로 사용되었는데, 1994년 해체·수리하면서 옛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 현재는 대문간채와 본채가 남아 있으며, 규모가 그리 크지 않지만, 조선 후기의 전형적인 객사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 전패(殿牌) : 조선시대 지방관청의 객사(客舍)에 왕의 초상을 대신하여 봉안하던 목패(木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