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철조여래좌상
충주 철조여래좌상 Iron Seated Buddha, Chungju |
|
대표명칭 | 충주 철조여래좌상 |
---|---|
영문명칭 | Iron Seated Buddha, Chungju |
한자 | 忠州 鐵造如來坐像 |
주소 | 충청북도 충주시 사직산12길 55, 대원사 (지현동) |
지정(등록) 종목 | 보물 제98호 |
지정(등록)일 | 1963년 1월 21일 |
분류 | 유물/불교조각/금속조/불상 |
시대 | 고려시대 |
수량/면적 | 1구 |
웹사이트 | 충주 철조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충주 철조여래좌상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충주 대원사 극락전에 있다. 불상은 충주 공업고등학교 근처에서 관아공원으로 옮겨졌다가 일본인이 운영하던 마하사(摩訶寺)를 거쳐 1959년부터 대원사에서 모시고 있다. 불상이 처음 모셔진 절이나 위치는 알 수 없으나, 안림동 대원고등학교 근처에 고려 시대 절인 의림사의 절터가 남아 있으며, 여기에서 고려 명종 20년(1190)에 제작한 금고(金鼓)*가 출토된 바 있어서 원래의 위치를 추정해 볼 수 있다. 충주에는 이 철불 외에도 충주 백운암 철조여래좌상(보물 제1527호)과 충주 단호사 철조여래좌상(보물 제512호)이 전해지고 있어서 충주가 과거에 철이 많이 생산된 곳이었음을 알 수 있다.
불상의 높이는 98cm로 오른발을 왼쪽 무릎 위에 올린 결가부좌 자세를 하고 있으며, 머리카락은 소라 껍데기처럼 틀어 말아 올린 모양을 하고 있다. 좁은 이마와 뚜렷한 이목구비, 위로 올라간 눈꼬리와 꼭 다문 입이 근엄한 인상을 준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있으며, 양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고 가슴 앞에는 띠 매듭이 표현되어 있다. 날카로운 인상과 좌우 대칭의 다소 비현실적인 옷 주름 묘사에서 충주 지역에 남아 있는 철불의 특징이 엿보인다.
- 금고(金鼓): 절에서 쓰는 북 모양의 종
- 삼도(三道): 불상의 목에 표현된 세 줄의 주름
영문
Iron Seated Buddha, Chungju
영문 해설 내용
대원사 극락전에 모셔져 있는 이 철조여래좌상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졌다. 충주공업고등학교 근처에서 처음 발견된 뒤 여러 곳으로 옮겨지다가, 1959년부터 대원사에서 모시고 있다. 불상이 처음 모셔진 절이나 그 절의 위치는 알 수 없다. 안림동 대원고등학교 근처에 고려시대 절인 의림사의 옛 터가 남아 있으며, 여기에서 1190년에 제작한 금고(金鼓)가 출토된 바 있어서, 의림사에 모셨던 불상인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충주에는 이 불상 외에도 백운암 철조여래좌상(보물 제1527호)과 단호사 철조여래좌상(보물 제512호) 등 철조 불상들이 전해지고 있어서, 충주가 과거에 철이 많이 생산된 곳이었음을 알 수 있다.
불상의 높이는 98cm이다. 오른발을 왼쪽 무릎 위에 올린 결가부좌 자세를 하고 있으며, 소라 모양의 머리카락으로 덮여 있는 머리에는 부처의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가 있다. 좁은 이마와 뚜렷한 이목구비, 위로 올라간 눈꼬리와 꼭 다문 입이 근엄한 인상을 준다. 목에는 번뇌, 업, 고통을 상징하는 삼도가 새겨져 있다. 양어깨에 걸쳐 입은 옷은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고, 가슴 앞에는 띠 매듭이 표현되어 있다. 날카로운 인상과 좌우 대칭의 옷 주름 등은 충주 지역에서 만들어진 철불의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