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고산정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9월 18일 (토) 04:3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산정
고산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고산정
한자 孤山亭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길 177-42 (가송리)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74호
지정(등록)일 1992년 11월 26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고산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고산정은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의병장인 금난수(琴蘭秀, 1530~1604)가 학문 수양을 위해 명종 19년(1564)에 지은 정자이다.

금난수는 경상북도 봉화 출신으로, 명종 16년(1561) 생원시에 합격한 뒤 여러 관직을 지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향에 은거하며 노모를 모시다가, 정유재란 때 고향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여 안동을 방어하는 데 공을 세웠다.

강물이 넘어오지 못하도록 자연석으로 축대를 높이 쌓은 후 정자를 지어 올렸다. 정자의 오른쪽 전체와 왼쪽 뒷면은 온돌방으로 꾸미고, 왼쪽 앞면에는 마루를 깔았다. 앞면과 양옆에는 난간을 두른 쪽마루를 덧달았다. 정자 안에는 금난수와 그의 스승이었던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이 남긴 시를 쓴 현판이 걸려 있다. 이 일대는 예로부터 절경으로 알려졌으며, 이황도 다른 제자들과 함께 여러 차례 고산정을 찾아와 경치를 즐기며 시를 지었다고 한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금난수 Actor 금난수(琴蘭秀,_1530-1604)
정유재란 Event 정유재란(1597)
일동정사 place 일동정사
고산정 place 고산정
고산정_현판 Objecct 고산정_현판
이황 Actor 이황(李滉,_1501-1570)
서고산벽 Record 서고산벽(書孤山壁)
퇴계집 Record 퇴계집(退溪集)
안동_고산 Place 안동_고산
조선총독부 Actor 조선총독부
조학번식지_비석 Objecct 조학번식지_비석 조선총독부에서 세운 비석이라고 함.
미스터선샤인(드라마) Record 미스터선샤인(드라마) 드라마 촬영지로 유명함.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고산정 금난수 constructor
이황 금난수 hasDisciple
서고산벽 이황 writer
금난수 정유재란 participatesIn
고산정_현판 서고산벽 documents
서고산벽 금난수 depicts
퇴계집 서고산벽 documents
고산정 안동_고산 isNamesakeOf
일동정사 고산정 hasOldName
고산정 고산정_현판 hasPart
고산정 조학번식지_비석 hasPart
조학번식지_비석 조선총독부 isRelatedTo
고산정 미스터선샤인(드라마) isRelatedTo

참고자료

  • 금난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7633 → 인물 설명 ; 1561년(명종 16)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1577년(선조 10) 제릉(齊陵)의 참봉을 비롯하여 집경전(集慶殿)과 경릉(敬陵)의 참봉을 지내고, 1585년 장흥고봉사(長興庫奉事)가 되었다. 그 뒤 직장(直長)·장례원사평을 지냈으나,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노모의 봉양을 위해 고향에 은거하다가 정유재란 때 고향에서 의병을 일으키니 많은 선비들이 호응해서 참가하고 지방민들은 군량미를 헌납했다.그 해 성주판관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고, 1599년 고향인 봉화의 현감에 임명되어 1년 만에 사임하고 집에 돌아왔다.
  • 고산정, 디지털안동문화대전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750 → 기본 내용 ; 금난수는 이황(李滉)의 제자로서 자연과 더불어 학문을 닦는 데 힘썼으며, 1561년(명종 16) 사마시에 합격하여 봉화현감 등을 지냈다. 35세에 당시 선성현(宣城縣, 당시 예안현의 별칭) 제일의 명승이었던 가송협(佳松峽)에 고산정을 짓고 일동정사(日東精舍)라 부르며 늘 경전을 가까이 한 채 유유자적하였다고 한다. / 창건 당시부터 경상북도 예안 지역의 대표적인 절경으로 알려져 이황도 여러 차례 제자들과 함께 와서 「서고산벽(書孤山壁)」·「유고산(遊孤山)」·「고산견금문원(孤山見琴聞遠)」 등의 시를 짓고 경치를 즐겼다고 한다. / 고산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홑처마 팔작지붕집인데, 3m가량의 축대를 쌓아 대지를 조성한 후 얕은 기단 위에 자연석 덤벙주초를 놓고 기둥을 세웠다. 가운데의 우물마루를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을 꾸몄는데, 우측 방은 통간으로 하였으나 좌측 방은 뒤쪽의 1칸만을 온돌방으로 꾸며 결국 마루가 ‘ㄱ’자형으로 깔리게 되었다. 전면과 양 측면에는 계자 난간을 둘렀는데, 출입은 난간의 양측 끝에서만 하게 하였다. / 이황과 금난수의 시가 현판으로 걸려 있다. / 예전에는 이곳에 학이 많이 서식했다고 하나 지금은 없으며, 고산정 왼쪽에 조선총독부에서 세운 조학번식지(鳥鶴蕃殖地)라는 천연기념물 비가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