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삼수정
예천 삼수정 |
|
대표명칭 | 예천 삼수정 |
---|---|
한자 | 醴泉 三樹亭 |
주소 | 경상북도 예천군 청곡길 67-30 (풍양면, 삼수정)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86호 |
지정(등록)일 | 2005년 6월 20일 |
분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
수량/면적 | 일원 |
웹사이트 | 예천 삼수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삼수정은 동래 정씨 청곡리 입향조*인 삼수 정귀령(鄭龜齡)이 조선 세종 7년(1425)에 세운 정자로 낙동강이 내려다보이는 언덕에 위치한다. 인조 14년(1636)에 무너진 것을 순조 29년(1829) 경상 감사(慶尙監司)로 부임한 정기선(鄭基善)이 다시 지었다. 이후 세 차례 옮겨 지어졌다가 1909년 옛터에 다시 지었다.
정귀령은 정자를 세우면서 회화나무 세 그루를 심었는데, 지금은 한 그루만 남아 노거수*로 성장했다. 회화나무는 예로부터 학자나 벼슬을 상징하는 나무이므로, 후손의 번영을 바라는 그의 마음이 담겨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후손 가운데 여러 명이 높은 벼슬에 올랐다고 한다. 정귀령의 80세 생일잔치 날에 후손들이 자신의 관복을 회화나무에 걸어 놓았는데, 그 모습이 울긋불긋 오색 꽃이 핀 듯하여 보는 이들이 감탄을 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이고, 그 앞에는 사주문이 있다. 구조는 전체를 마루로 하고, 가운데 뒤 칸에 마루방을 둔 독특한 평면형식이다. 이는 영남 지방에서 흔치 않은 사례로 희소가치가 크다.
- 입향조(入鄕祖): 마을에 들어와 터를 잡은 선조
- 노거수(老巨樹): 나이가 많고 매우 큰 나무
영문
Samsujeong Pavilion, Yecheon
Samsujeong Pavilion was first built in 1425 by Jeong Gwi-ryeong (pen name: Samsu), the first person of Dongnae Jeong Clan to settle in Cheonggok-ri Village. The pavilion collapsed in 1636 and was rebuilt in 1829 by one of his descendants Jeong Gi-seon (1784-1839), the governor of Gyeongsang-do Province. The pavilion was then moved several times. In 1909, it was built anew here at its original location.
The pavilion consists of a room in the center-rear surrounded on three sides by a wooden porch. The rear and sides of the pavilion are enclosed with three-quarters-height wooden plank walls. This kind of design is uncommon among traditional pavilions in the Gyeongsang-do region.
In the vicinity, there is a pagoda tree that is said to have been planted by Jeong Gwi-ryeong himself. Traditionally, pagoda trees were regarded as bringing good fortune and thus were often planted in the gardens of scholars’ houses. It was also believed that if one planted a pagoda tree on their property, a prominent scholar would be born there. It is said that Jeong planted not one but three pagoda trees to wish for his descendants’ prosperity, which is why he named the pavilion Samsujeong meaning “Pavilion of Three Trees.” Indeed, several of his descendants are said to have become/became high-ranking state officials. However, over time, two of the three trees died.
- It says "올랐다고 한다" but do we not know for sure?
영문 해설 내용
삼수정은 동래정씨의 청곡리 입향조인 정귀령(호: 삼수)이 1425년 이 마을에 정착하면서 세운 정자이다. 1636년에 무너진 것을 1829년에 경상 감사로 부임했던 정기선(1784-1839)이 다시 지었으며, 이후 세 차례 옮겨 지어졌다가, 1909년 원래 자리였던 지금의 위치에 다시 지어졌다.
건물 중앙 뒤쪽에는 마루방을 두고, 앞면을 제외한 나머지는 나무로 벽을 세운 후 위쪽에 창을 낸 독특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정자는 경상도 지방에서 흔치 않은 사례이다.
정자 주변에는 정귀령이 심었다고 전하는 회화나무가 한 그루 있다. 회화나무는 길한 나무로 여겨졌기 때문에 양반가에서 정원수로 심었으며, 집에 심으면 가문에 큰 인물이나 학자가 난다고 하여 ‘학자나무’라고도 불린다. 원래 정귀령은 후손들의 번창을 기원하며 세 그루의 나무를 심고, ‘나무 세 그루의 정자’라는 뜻으로 정자의 이름을 지었다. 실제로 후손 가운데 여러 명이 높은 벼슬에 올랐다고 한다. 세월이 흐르면서 두 그루는 시들어 죽었고, 지금은 한 그루만 남아 있다.
참고자료
- [정자] 79. 예천 삼수정(三樹亭), 경북일보, 2017.8.3. http://news.imaeil.com/NewestAll/2012042614305928333
- 정기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0021
- 정귀령의 생몰년대는 미상이며, 1424년 결성(현재의 충남 홍성) 현감을 지낸 이듬 해 우망마을로 들어와 정착했다고 한다.
- 1636년에는 병자호란이 일어난 해이다. 정자 주변에 심어졌던 회화나무가 병자호란으로 인해 시들어 죽었다고 하며, 지금 남아있는 한 그루도 1829년에 정자가 중건되자 이후 새싹이 움터 자란 것이라는 이야기가 전한다.
- 정자 안에는 정귀령의 후손인 정원용과 정지집이 지은 글들을 새긴 현판이 걸려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