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화당
선화당 |
|
대표명칭 | 선화당 |
---|---|
한자 | 宣化堂 |
주소 |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0-8 (웅진동) |
지정(등록) 종목 |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2호 |
지정(등록)일 | 1982년 3월 4일 |
분류 |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
수량/면적 | 1동 |
웹사이트 | 선화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선화당은 조선 후기 충청도 관찰사가 공무를 집행하던 곳이고, 포정사 문루는 충청도 관찰사가 공무를 집행하던 충청 감영의 정문이다.
선화당에서는 도내의 모든 행정 업무와 군사·조세는 물론이고 송사·형옥 등 사법 업무까지 이루어졌다. 팔도의 감영 모두 관찰사가 집무하는 곳을 선화당이라 하였는데, 이는 “임금의 덕을 드러내어 널리 떨치고, 백성을 교화한다(宣上德而化下民)”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현재 이곳 외에도 경상 감영, 강원 감영, 함경 감영의 선화당이 남아 있다.
현재의 선화당 건물은 1833년(순조 33)에 다시 세운 것으로 일제강점기인 1932년 공주 중동의 구 국립공주박물관 내로 옮겨 1972년 공주박물관이 신축 개관하기까지 박물관 전시실로 이용되었다. 1988년 해체하여 1992년 현재의 위치에 복원하였다.
포정사 문루 정면에는 ‘충청도포정사(忠淸道布政司)’라는 편액이 걸려 있는데, 포정(布政)은 “어진 정사를 베푼다”라는 뜻이다.
현재의 포정사 문루는 1833년(순조 33)에 세웠는데, 세월이 흘러 공주군청 부근으로 옮기면서 교회·사무실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내부와 창틀의 일부를 개조하였다. 1985년에 이를 해체하여 1993년 현재의 위치로 옮기면서 감영 시절의 문루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충청도의 감영은 본래 1395년(태조 4) 청주에 설치되었고, 공주에는 본영(本營)이 아닌 관찰사가 도내를 순찰하다 잠시 머무는 형태의 유영(留營)이 설치되어 있었다. 1602년(선조 35) 당시 관찰사였던 유근(柳根)이 감영을 공주로 이전할 것을 조정으로부터 허가받은 뒤, 공산성을 수축하고 이듬해 산성 안으로 감영을 이전하였다. 이후 감영의 위치가 여러 차례 옮겨졌고, 1707년(숙종 33) 오늘날 감영 터로 불리는 현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일대로 옮겨졌다. 당시 충청 감영에는 50여 채의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선화당, 포정사와 삼문, 부속 건물 1채만 남아 있다.
영문
Seonhwadang Hall
This hall is where the provincial office of the Chungcheong Provincial Office carried out its duties and the gate pavilion of Pojeongsa Temple is the main gate of the Chungcheong Provincial Office.
Chungcheong Provincial Office was initially installed in 1395 in Cheongju, while in Gongju, a provincial office which was wasn't a command post (本營) was patrolling within the province and a temporary post (留營) (?) was installed to stay temporarily. In 1602, Yu Geun (1549-1627) who was a provincial office (officer?) at the time, insisted on relocating the Chungcheong Provincial Office to Gongju and after that was approved, Gongsanseong Fortress was contracted (?) and the Chungcheong Provincial Office was relocated inside the fortress the following year. The location of the provincial office has been moved several times since then and in 1707, it was moved to the area of the senior high school affiliated to the college of education of today's Kongju National University which is called today's provincial office site. At that time, Chungcheong Provincial Office had around 50 buildings, but currently only Seonhwadang Hall, gate pavilion of Pojeongsa Temple, and one auxiliary building remain.
In Seonhwadang Hall, not only all administrative duties and judicial duties such as military and taxes, but also lawsuits and penalties within the province were conducted.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places where the provincial offices of the provincial offices (?) of all the eight provinces worked, were called Seonhwadang Hall, meaning "displaying and widely renowning the philanthropic actions of the king, and helping the people". Apart from this place, the Seonhwadang Halls of Gyeongsang Provincial Office, Hamgyeong Provincial Office, and Gangwon Provincial Office remain.
The current Seonhwadang Hall and gate pavilion of Pojeongsa Temple were built in 1833. In 1932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Seonhwadang Hall was moved to Jung-dong in Gongju where Gongju National Museum was, and in 1972, it was used as an exhibition hall until the museum building was (newly?) constructed. In 1988, it was dismantled and rebuilt at the current location in 1992. After this, the gate pavilion of Pojeongsa Temple was moved to the vicinity of Gongju-gun County Office where it was used for different purposes such as a church and an office, and its interior and windowsills were repurposed. After it was dismantled in 1985 and rebuilt at the current location in 1993, it was restored to the gate pavilion during the provincial office. The front side (?) features a wooden plaque which reads "Pojeongsa Temple of Chungcheong-do Province" and "Pojeongsa" means "approaching state matters virtuously" (?).
영문 해설 내용
선화당은 조선 후기 충청감영에서 관찰사가 공무를 집행하던 곳이고, 포정사 문루는 충청감영의 정문이다.
충청감영은 원래 1395년 청주에 설치되었고, 공주에는 본영(本營)이 아닌 관찰사가 도내를 순찰하다 잠시 머무는 형태의 유영(留營)이 설치되어 있었다. 1602년 당시 관찰사였던 유근(1549-1627)이 충청감영을 공주로 이전할 것을 조정으로부터 허가받은 뒤, 공산성을 수축하고 이듬해 산성 안으로 충청감영을 이전하였다. 이후 감영의 위치가 여러 차례 옮겨졌고, 1707년 오늘날 감영 터로 불리는 현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일대로 옮겨졌다. 당시 충청감영에는 50여 채의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선화당, 포정사 문루, 부속건물 1채만 남아 있다.
선화당에서는 도내의 모든 행정업무와 군사·조세는 물론 송사·형옥 등 사법 업무까지 이루어졌다. 조선시대 팔도의 감영 모두 관찰사가 집무하는 곳을 선화당이라 하였는데, 이는 ‘임금의 덕을 드러내어 널리 떨치고, 백성을 교화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곳 외에도 경상감영, 강원감영, 함경감영의 선화당이 남아 있다.
현재의 선화당과 포정사 문루는 1833년에 세운 것이다. 선화당은 일제강점기인 1932년 공주박물관이 있던 공주 중동으로 옮겼고, 1972년 박물관 건물이 신축될 때까지 전시실로 이용되었다. 1988년 해체하여 1992년 현재의 위치에 옮겨 지었다. 포정사 문루는 이후 공주군청 부근으로 옮겨졌고, 교회, 사무실 등 다른 용도로 사용되며 내부와 창틀 등이 개조되기도 하였다. 1985년에 해체한 후 1993년 현 위치로 옮기면서 감영 시절의 문루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포정사 문루 정면에는 ‘충청도포정사’라는 편액이 걸려 있는데, ‘포정’은 ‘어진 정사를 베푼다’라는 뜻이다.
문맥요소
Nodes
ID | Class | Label | Description |
---|---|---|---|
포정사문루 | Place | 포정사문루 | |
충청감영 | Concept | 충청감영 | |
유근 | Actor | 유근(柳根_1549-1627) | |
공산성 | Place | 공산성 | |
선화당 | Place | 선화당 |
Links
Source | Target | Relation |
---|---|---|
포정사문루 | 충청감영 | isRelatedTo |
충청감영 | 유근 | isRelatedTo |
충청감영 | 공산성 | isRelatedTo |
포정사문루 | 선화당 | isRelatedTo |
참고자료
- 『여지도서(輿地圖書)』
- 『세종실록지리지』 149권, 충청도.
- 윤용혁 외, 『충청감영 400년』, 공주시·충남발전연구원, 2003.
- 충청남도·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충청남도 문화재대관 2 도지정문화재Ⅰ』, 2009.
- 선화당(宣化堂),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400920000
- 선화당(宣化堂),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8984
- 선화당,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700527
- 충청감영,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700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