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경주 도봉서당

HeritageWiki
Lyndsey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8월 8일 (일) 11:57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주 도봉서당
경주 도봉서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경주 도봉서당
한자 慶州 桃峯書堂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서악4길 58 (서악동, 도봉서당)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97호
지정(등록)일 2006년 2월 16일
분류 유적건조물
수량/면적 일원
웹사이트 경주 도봉서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 서당은 조선 성종 때의 학자였던 불권헌 황정(不倦軒 黃玎, 1426~1497)의 학문과 덕행,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원래 중종 1년(1545) 후손들이 추보재(迫報齋)라는 재실을 세웠는데, 1915년 추보재가 있던 자리에 도봉서당 일곽을 새로이 고쳐 지은 것이 현재의 모습이다.

황정은 성종 8년(1477) 문과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면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 연산군 때 조정이 어지럽게 돌아가자 벼슬을 버리고 시골로 거처를 옮겨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다.

도봉서당, 숭앙문, 추보재, 연어재, 상허당 등 모두 7동의 건물들이 전학후묘(前學後廟)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서재인 연어재는 남쪽과 동쪽 면을 모두 팔작지붕으로 처리하여 두 개의 앞면을 갖게 한 점이 눈길을 끈다.

영문

Dobongseodang Village Study Hall, Gyeongju

A village study hall, called seodang in Korean, was a local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 established to teach classical Chinese and elementary Confucian classics.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