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모전
숙모전 Sungmojeon Shrine |
|
대표명칭 | 숙모전 |
---|---|
영문명칭 | Sungmojeon Shrine |
한자 | 肅慕殿 |
주소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789 동학사 |
지정(등록) 종목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7호 |
지정(등록)일 | 1984년 5월 17일 |
분류 | 유적건조물/인물사건/인물기념/사우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1동 |
웹사이트 | 숙모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공주 숙모전은 조선의 6대 임금인 단종(端宗, 1411~1457, 1452~1455 재위)과 신라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충절로 이름난 280여 명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원래 이곳은 1456년(세조 2) 김시습(金時習)이 동학사(東鶴寺)에 단을 쌓고,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죽은 사육신의 초혼제*를 지내던 곳이다. 1458년 세조가 동학사에 들렀다가 이 이야기를 듣고 자신으로 인해 억울하게 죽은 이들을 위해 초혼각을 짓게 하였고, 땅 등을 하사하여 스님과 유생들이 함께 제사를 받들게 하였다고 한다.
초혼각은 1728년(영조 4)에 일어난 반란으로 동학사가 불타면서 함께 소실되었고, 1827년(순조 27)에 다시 세웠다. 2년 뒤 동학서원을 세우면서 단종과 사육신, 삼은 등을 제향하였지만 서원은 1883년에 문을 닫았다. 지금의 숙모전 건물은 1864년(고종 1)에 동학사를 대대적으로 수리하면서 규모를 늘려 다시 지은 것이다. 1883년(고종 20)에는 전각 앞에 동무와 서무**를 세워 위패를 나누어 모셨다. 1904년(광무 1)에 ‘숙모전’이라는 사액***을 받고 단종의 왕비인 정순왕후(定順王后)의 위패를 모셨다. 숙모전에서는 지금도 매년 음력 3월 15일과 음력 10월 24일에 대제를 지내고 있다.
- 초혼제: 죽은 사람의 혼령을 위로하는 제사.
- 동무와 서무: 여러 유학자들의 위패를 모신 곳.
- 사액: 임금이 서원에 이름을 지어서 새긴 편액을 내리던 일.
영문
Sungmojeon Shrine
영문 해설 내용
숙모전은 조선의 6대 임금 단종(1411-1457, 재위 1452-1455)과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충절로 이름났던 인물 280여 명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단종은 어린 나이에 왕이 되었지만, 숙부인 수양대군(후의 세조, 재위 1455-1468)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강원도 영월로 유배되었다가 16세의 나이로 죽음을 맞이했다. 현재 숙모전이 있는 자리는 원래 조선의 학자인 김시습(1435-1493)이 1456년 제단을 만들고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 죽은 6명의 대신(사육신)을 추모하는 제사를 지냈던 곳이다. 2년 뒤인 1458년 세조가 동학사에 들렀다가 이 이야기를 듣고 자신으로 인해 억울하게 죽은 이들을 위해 초혼각을 짓게 하였고, 땅 등을 하사하여 스님과 유생들이 함께 제사를 받들게 하였다고 한다.
이때 세워진 초혼각은 1728년에 일어난 반란으로 동학사가 불타면서 함께 소실되었고, 1827년에 다시 세워졌다. 2년 뒤에 동학서원을 세우면서 단종과 사육신을 모셨지만 서원은 1883년에 훼철되었다. 지금의 숙모전 건물은 1864년에 동학사를 대대적으로 수리하면서 규모를 늘려 다시 지은 것이다. 1883년에는 전각 앞에 동무와 서무를 세워 위패를 나누어 모셨다. 1904년에 ‘숙모전’이라는 사액을 받고 단종의 왕비인 정순왕후(1440~1521)의 위패를 추가로 모셨다.
숙모전에서는 지금도 매년 음력 3월 15일과 음력 10월 24일에 대제를 지내고 있다.
문맥요소
Nodes
ID | Class | Label | Description |
---|---|---|---|
숙모전 | Place | 숙모전 | |
L34-0067-0000 | Heritage | (충청남도_문화재자료_제67호)_숙모전 | |
조선_단종 | Actor | 조선_단종(端宗,_재위_1452-1455) | |
김시습 | Actor | 김시습(金時習,_1435-1493) | |
조선_세조 | Actor | 조선_세조(世祖,_재위_1455-1468) | |
사육신 | Concept | 사육신(死六臣) |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발각되어 1456년 죽임을 당한 여섯 충신을 이르는 말. |
동학사 | Place | 동학사(東鶴寺) | |
성삼문 | Actor | 성삼문(成三問,_1418-1456) | |
박팽년 | Actor | 박팽년(朴彭年,_1417-1456) | |
하위지 | Actor | 하위지(河緯地,_1412-1456) | |
이개 | Actor | 이개(李塏,_1417-1456) | |
유성원 | Actor | 유성원(柳誠源,_?-1456) | |
유응부 | Acrot | 유응부(兪應孚_?-1456) | |
정순왕후 | Acrot | 정순왕후(定順王后,_1440-1521) | 단종 비 |
황보인 | Acrot | 황보인(皇甫仁,_1387-1453) | |
김종서 | Acrot | 김종서(金宗瑞,_1383-1453) | |
정분 | Acrot | 정분(鄭苯,_?-1453) | |
엄흥도 | Acrot | 엄흥도(嚴興道) | 단종 시신 거둔 지사. |
계유정난 | Event | 계유정난(1453) | 수양대군이 왕위를 빼앗기 위하여 일으킨 사건 |
이인좌의_난 | Event | 이인좌의_난(1728) | |
조선_고종 | Acrot | 조선 고종(高宗,_재위_1863-1907) | 동학사 중건 및 동무, 서무 건립 |
숙모전_동무 | Object | 숙모전_동무 | |
숙모전_서무 | Object | 숙모전_서무 | |
계룡산_초혼각지 | Place | 계룡산_초혼각지 | |
J34-0018-0000 | Heritage | (충청남도_기념물_제18호)_계룡산_초혼각지 | |
동학사_초혼각 | Concept | 동학사_초혼각 | 세조가 동학사에 왔다가 사연을 듣고 짓게 했다고 함. 현재 터 남아있음. |
Links
Source | Target | Relation |
---|---|---|
숙모전 | L34-0067-0000 | isDesignatedAs |
숙모전 | 동학사 | currentLocation |
조선_단종 | 숙모전 | isEnshrinedIn |
정순왕후 | 숙모전 | isEnshrinedIn |
성삼문 | 숙모전 | isEnshrinedIn |
하위지 | 숙모전 | isEnshrinedIn |
박팽년 | 숙모전 | isEnshrinedIn |
이개 | 숙모전 | isEnshrinedIn |
유성원 | 숙모전 | isEnshrinedIn |
유응부 | 숙모전 | isEnshrinedIn |
김시습 | 숙모전 | isEnshrinedIn |
황보인 | 숙모전 | isEnshrinedIn |
김종서 | 숙모전 | isEnshrinedIn |
정분 | 숙모전 | isEnshrinedIn |
엄흥도 | 숙모전 | isEnshrinedIn |
황보인 | 계유정난 | isRelatedTo |
김종서 | 계유정난 | isRelatedTo |
정분 | 계유정난 | isRelatedTo |
조선_세조 | 계유정난 | isRelatedTo |
조선_세조 | 숙모전 | isRelatedTo |
숙모전 | 계룡산_초혼각지 | hasPart |
계룡산_초혼각지 | J34-0018-0000 | isDesignatedAs |
계룡산_초혼각지 | 동학사_초혼각 | isRelatedTo |
동학사_초혼각 | 조선_세조 | founder |
사육신 | 김시습 | isRelatedTo |
성삼문 | 사육신 | member |
박팽년 | 사육신 | member |
하위지 | 사육신 | member |
이개 | 사육신 | member |
유응부 | 사육신 | member |
유성원 | 사육신 | member |
숙모전 | 이인좌의_난 | isDamagedBy |
숙모전 | 숙모전_서무 | hasPart |
숙모전 | 숙모전_동무 | hasPart |
숙모전_서무 | 조선_고종 | isRelatedTo |
숙모전_동무 | 조선_고종 | isRelatedTo |
참고자료
- 공주시, 『공주의 문화유산 1: 도지정문화재 및 향토문화유적』, 2012, 222~224쪽.
- ‘숙모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97840&cid=40942&categoryId=37404
- ‘숙모전’, 디지털공주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gongju.grandculture.net/gongju/toc/GC01701558
- ‘숙모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40067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