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김병호 고가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7월 29일 (목) 12:11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병호 고가
Kim Byeong-ho’s House
김병호 고가, 경기도문화재: 육구삼+ Series, 경기문화재단.
대표명칭 김병호 고가
영문명칭 Kim Byeong-ho’s House
한자 金丙浩 古家
주소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오촌리 181번지
지정(등록) 종목 경기도 민속문화재 제5호
지정(등록)일 1984년 9월 12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김병호 고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김병호 고가는 조선 고종 30년(1893)에 지어졌다. 문화재로 지정할 당시 거주자의 이름을 땄다. 집 주인이 거주하는 ㄱ자형 안채와 하인들이 거처하는 ㄴ자형 행랑채가 마주보고 있는 튼ㅁ자형 집이다. 안채는 넓은 마루를 중심으로 좌우에 안방과 건넌방을 배치하고, 안방 앞쪽으로 부엌을 둔 전형적인 경기도 주택의 모습이다.

김병호 고가의 특이한 점은 건넌방 옆에 방을 2개 덧달아 내고 그 앞에 툇마루를 두어 손님을 접대하는 사랑방 기능을 갖추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가장 좌측에 있는 방은 조상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사용하였다. 건넌방은 툇마루가 있어야 할 공간까지 방을 넓혀 생활 영역과 사랑·사당 영역을 완전히 구분하였다. 이러한 가옥 구조는 조선 말기 상공업의 발달로 신분 질서가 느슨해지자 지방의 부유한 농민들이 일정한 격식을 갖춘 양반의 집 구조를 따르던 당시의 모습을 보여준다.

행랑채는 일제강점기 때 불타고 해방 이후 다시 지었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의 본거지였던 용문산 용문사의 활동을 집주인과 마을 주민이 돕자 일제가 마을 일대를 불 질렀다고 전한다.


  • 위패 : 죽은 사람의 이름 등 인적 사항을 적은 나무패

영문

Kim Byeong-ho’s House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조선 말기인 1893년에 지은 민가이다. 1984년 문화재로 지정될 당시 거주자의 이름을 따라 명칭이 정해졌다.

가옥은 안마당을 중심으로 집 주인이 거주하는 본채와 하인들이 거처하는 행랑채가 마주보고 있어 ㅁ자형을 이룬다. 원래는 규모가 훨씬 더 큰 가옥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이 가옥의 주인과 마을 주민들이 독립운동을 돕자 일제가 마을 일대에 불 질렀다고 전한다. 당시 화재로 이 집도 지금의 본채를 제외한 모든 부분이 소실되었다고 하며, 행랑채는 해방 이후에 다시 지었다.

본채는 넓은 마루를 중심으로 양옆에 안방과 건넌방을 배치하고, 안방 앞쪽으로 부엌을 두었다. 이러한 ㄱ자형 건물은 경기도 지역 주택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이 건물의 특이한 점은 건넌방 옆에 마루방을 덧달고 그 앞에 툇마루를 두어 손님을 접대하는 사랑방 기능을 갖추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안채 가장 왼쪽에 있는 방은 조상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사용하였다. 사랑방과 사당 같은 영역은 일반적으로 조선시대 양반 가옥을 이루는 주요 요소였다. 이 집의 구조는 조선 말기 신분 질서가 느슨해지자 지방의 부유한 농민들이 일정한 격식을 갖춘 양반의 집 구조를 따르던 당시의 모습을 보여준다.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