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순천 동화사 - 권역 안내판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6월 13일 (일) 11:31 판 (참고자료)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순천 동화사 - 권역 안내판
nemosangja, 순천 동화사(桐華寺) 21.01.23,네모상자의 사진 이야기, 네이버 블로그.
대표명칭 순천 동화사 - 권역 안내판
한자 順天 桐華寺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동화사길 208[대룡리 282]



해설문

국문

동화사는 전남 순천시 별량면 대룡리 282번지 개운산에 자리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본사 화엄사의 말사이다.

동화사는 역대 스님들에게 전해온 구전에 의하면 서기 868년경인 통일신라 말에 도선국사에 의해 자리 잡았고, 그 후 도선국사의 제자들에 의해 사찰의 형태를 갖추어 오다가 1097년(고려 숙종2년)에 대각국사 의천에 의해 다시 개창하게 되었다고 한다.

낙안군 개운산 동화사 중수기에서는 대각국사 의천이 남쪽으로 수행을 내려왔다가 낙안에 이르러 동쪽에서 상서로운 구름이 일어나다가 걷히며 첩첩이 쌓인 산봉우리가 나타나는 것을 보고 ‘구름이 걷힌 산’이라는 의미로 개운산(開雲山)이라고 이름을 짓고, ‘봉황이 오동나무 둥지로 알을 품으려 날아드는 모양의 땅(梧桐鳳處形 땅)’에 사찰을 만들고 이름을 동화사(桐華寺)라고 지었다고 한다.

낙안군 개운산 동화사 중수기와 낙안향토지에는 1047년에 대각국사 의천이 창건하였다고 하지만 이는 대각국사 의천(1055~1101)의 출생연대와 맞지 않다. 사찰의 스님들에게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1097년에 대각국사 의천이 창건하였다고 한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동화사는 언제 창건되었는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고려 초기에 대각국사 의천(1055-1101)이 낙안(현재 순천시 낙안면 일대)에 이르자 동쪽에서 상서로운 구름이 나와 산 이름을 개운산(開雲山)이라 짓고, 1097년 지금의 자리에 동화사라는 이름으로 사찰을 열었다고 한다.

기록에 따르면 임진왜란(1592)으로 인해 소실되었던 동화사의 여러 전각들은 17세기에 다시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18세기 이후 사찰의 역사를 알려주는 자료는 전하지 않는다.

현재 경내에 순천 동화사 삼층석탑(보물 제831호)과 동화사 대웅전(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61호)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