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사 동종
상원사 동종 Bronze Bell of Sangwonsa Temple |
|
대표명칭 | 상원사 동종 |
---|---|
영문명칭 | Bronze Bell of Sangwonsa Temple |
한자 | 上院寺 銅鍾 |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50, 상원사 (동산리) |
지정(등록) 종목 | 국보 제36호 |
지정(등록)일 | 1962년 12월 20일 |
분류 |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
소유자 | 상원사 |
관리자 | 상원사 |
시대 | 통일신라 |
수량/면적 | 1구 |
웹사이트 | 상원사 동종,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기존 국문
현존(現存)하는 한국종(韓國鐘)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이 종은 신라(新羅) 성덕왕(聖德王) 24년(725)에 조성(造成)되어 조선(朝鮮) 예종(睿宗) 원년(元年)(1469)에 상원사(上院寺)에 옮겨진 것으로, 한국종의 고유한 특색을 모두 갖추고 있는 대표적인 범종(梵鐘)이다.
음통(音筒)이 있는 종뉴(鐘紐) 아래에 안으로 오므라든 종신(鐘身)이 연결된 형태인데, 이상적인 비례와 안정감 있는 구조, 풍부한 양감(量感)과 함께 세부적인 묘사수법도 매우 사실적이다. 종신에 있는 상대(上帶)·하대(下帶), 4유곽(乳廓)의 문양은 모두 당초문(唐草紋)을 바탕으로 2∼4인의 작은 비천상(飛天像)이 있는 반원권문(半圓圈紋)이 새겨졌고, 종복(鐘腹)에 비천상과 교대로 있는 당좌(撞座)는 8판 연화문으로 표현되었다.
특히 비천상은 경쾌하기 이를데 없는 모습으로 구름 위에서 천의(天衣) 자락을 흩날리며 공후와 생(笙)을 연주하고 있는데, 볼록한 두 뺨, 유연한 신체에 걸친 천의 등은 8세기 전반의 이상적(理想的) 사실풍(寫實風)의 불교조각(佛敎彫刻) 양식을 잘 반영해 주고 있다.
이러한 상원사 종에 보이는 음통, 안으로 오므라든 종신형, 상대·하대, 4유곽의 구조적인 특징은 한국종의 전형(典型)이 되어, 양식적인 변천과정을 거치면서 이후의 모든 종에 계승된다.
수정 국문
초고
범종은 절에서 시각을 알리거나 의식을 행할 때 사용한다. 장엄하게 울리는 소리를 통해 종교적인 분위기를 극대화하며, 종소리를 듣는 자는 자신의 악업을 깊이 뉘우치고 마침내 깨달음을 얻도록 인도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종소리가 울려 퍼지듯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펼친다는 뜻도 지니고 있다.
상원사 동종은 신라(新羅) 성덕왕(聖德王) 24년(725)에 만들어진 것으로, 지금까지 확인된 한국의 종 중 가장 오래되었으며, 조선 예종(睿宗) 원년(元年, 1469)에 상원사로 옮겨 왔다.
종의 꼭대기에는 용뉴(龍鈕)라고 불리는 한 마리의 용으로 장식한 고리가 있고,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이 연꽃과 덩굴 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몸통에는 구슬 장식으로 테두리를 한 넓은 띠를 아래 위에 두르고, 덩굴을 새긴 안쪽 곳곳에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는 주악상(奏樂像)을 새겼다.
종을 치는 자리인 당좌(撞座)는 구슬과 연꽃 무늬로 장식되어 있으며, 당좌 좌우에는 구름 위에서 무릎을 꿇고 하늘을 날며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飛天像)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경쾌한 모습의 비천상은 8세기 전반의 불교조각 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 종은 몸통의 위아래가 안으로 좁혀지는 항아리와 같은 형태를 비롯해 한 마리의 용으로 장식한 용뉴와 음통을 갖추고 있는 등 한국 종 고유의 특색을 보여주며,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은 후대에 만들어지는 범종들의 모태가 되었다.
2008년 지금의 자리에 새로운 종각을 지은 후 원본은 유리 안에, 모사본은 그 옆에 걸어두었다.
- 용뉴에 종의 조성 연대가 새겨져 있다.
- 이 종은 안동 근처의 어느 사찰에 있다가 안동 문루로 옮겨졌고, 이후 예종이 즉위한 원년에 상원사에 봉안하게 되었다고 한다. (안동 지리지인 『영가지』에 기록되어 있다고 함.) 종을 옮겨오는 길에 죽령에서 움직이지 않아 종의 꼭지(유곽 안 종뉴)를 하나 떼어 안동으로 보낸 후에야 움직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1차 수정
범종은 절에서 시각을 알리거나 의식을 행할 때 사용한다. 장엄하게 울리는 소리를 통해 종교적인 분위기를 극대화하며, 종소리를 듣는 자는 자신의 악업을 깊이 뉘우치고 마침내 깨달음을 얻도록 인도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종소리가 울려 퍼지듯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펼친다는 뜻도 지니고 있다.
상원사 동종은 신라 성덕왕 24년(725)에 만들어진 것으로 지금까지 확인된 한국의 종 중 가장 오래되었다. 원래 어느 사찰에 보관되어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안동 지역 읍지인 『영가지(永嘉誌)에 의하면』, 이 종은 안동에 있었는데 조선 예종 원년(1469) 왕명에 의해 상원사로 옮겨 왔다.
종의 꼭대기에 있는 용 모양으로 장식된 부분은 용뉴(龍鈕)라고 하며, 이곳에 쇠줄을 연결하여 종을 매단다. 용뉴 옆에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이 연꽃과 덩굴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종의 몸통에는 구슬 장식으로 테두리를 한 넓은 띠를 위아래에 두르고, 덩굴을 새긴 안쪽 곳곳에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는 천인(天人)들의 모습을 새겼다. 종을 치는 자리인 당좌(撞座)는 구슬과 연꽃무늬로 장식되어 있으며, 당좌 좌우에는 구름 위에서 무릎을 꿇고 하늘을 날며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飛天像)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경쾌한 모습의 비천상은 8세기 전반의 불교조각 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이 종은 몸통의 위아래가 안으로 좁혀지는 항아리와 같은 형태를 비롯해 한 마리의 용으로 장식한 용뉴와 음통을 갖추고 있는 등 한국 종 고유의 특색을 보여주며,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은 후대에 만들어지는 범종들의 모태가 되었다.
2008년 지금의 자리에 새로운 종각을 지은 후 원래의 종은 유리 안에, 모본은 그 옆에 걸어두었다.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
- (지자체 제공) 상원사 동종 과학적 조사 보고서, 2017, 서진문화유산(주)
- 상원사 동종 화마로부터 지킨다, 강원도민일보, 2008.6.3. 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366096 → 오대산 상원사는 에밀레 종과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종소리를 내는 동종을 화마로부터 보호를 위해, 오는 11월초까지 새로운 종각을 완공한다는 것. 새로운 종각이 지어질 위치는, 현재 동종이 자리하고 있는 상원사 앞 마당에서 10여m 떨어진 위앞쪽 기단석축 부근으로 종각 공사가 끝나면 국보 36호 상원사 동종은 새로 건립된 종각으로 이전된다. 새로 지어질 상원사 동종각은 화재가 발생하면 동종이 지하 수장고의 물속으로 자동으로 들어가, 고온의 불에도 종이 녹아 내리지 않도록 한 첨단방화시설로 설계돼 있다.
- 상원사 동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7239 → 높이 167㎝, 입지름 91㎝. 용뉴 좌우에 오목새김된 명문에 의해 이 종이 725년(성덕왕 24)에 주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처음에 어떠한 목적으로 주성되어 어느 절에 보관되어 있었는지 알 수 없으나, 안동의 『영가지(永嘉誌)』에 의하면 안동루문(安東樓門)에 걸려 있던 것을 1469년(예종 1) 국명(國命)에 의하여 현 위치로 옮겨 보관해 오고 있다고 한다. 현재는 종구(鐘口) 일부에 작은 균열이 생겨 수리를 거친 뒤 모작품(模作品)을 만들어 사용하고, 이 종은 사용하지 않고 있다.
- 상원사/상원사 동종, 로데오의 어릴적 푸른 꿈,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okspdlqj/221253657650 → 종을 옮겨오는 길에 죽령에서 움직이지 않아 종의 꼭지(유곽 안 종뉴)를 하나 떼어 안동으로 보낸 후에야 움직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 오대산 산행 –2. 상원사 ③동정각과 만화루, 박태근의 이야기가 있는 여행, 네이버 블로그, 2020.8.26. https://blog.naver.com/cakemart/222017729132 → 상원사 오층석탑과 만화루 사이에 동정각이 있습니다. 그 속에는 유명한 상원사 동종이 보관되어 있지요. 이 전각은 2000년 초까지만 해도 상원사 경내의 마당에 있었는데 지금은 이곳으로 옮겨져 있습니다. / 상원사 변천 과정 링크 연결되어 있음.